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산을 품은 왕들의 도시 1 (서울편 1 : 서울 풍경의 탄생, 정도전)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전기(개국~임진왜란 이전)
· ISBN : 9791160233216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23-03-17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전기(개국~임진왜란 이전)
· ISBN : 9791160233216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23-03-17
책 소개
'역사 인물 환생 인터뷰' 시리즈 첫 번째 책. 경복궁과 서울 도시 건설의 설계자 정도전에게 듣는다. 경복궁이 북악산 아래에 자리 잡는 과정, 경복궁과 종묘와 사직단에 적용된 독특한 풍경과 배치 원리가 광화문부터 근정전, 경회루, 향원정까지 어떻게 구현되는지, 나아가 수도 서울의 도로망과 성벽에 준 영향까지 듣는다.
목차
책 머리에
1부_ 서울은 하늘의 도시이지 땅의 도시가 아니다
처음에는 왜 서울 천도를 반대했어요?
풍수가 미신이란 분이, 왜 풍수도시로 설계해요?
명당은 ‘땅의 기운이 솟는 곳’이 아니라 ‘권위의 공간’
‘땅의 도시’가 아니라 ‘하늘의 도시’
2부_ 경복궁이 아니라 ‘경복궁이 놓인 풍경’이 웅장하고 화려하다
고려 개성이 조선 서울의 모델
웅장한 게 아니라 ‘웅장하게 보이면’ 된다
화려한 게 아니라 ‘화려하게 보이면’ 된다
경회루에는 자연병풍이 있다
경회루의 건물, 연못, 섬들이 사각형인 이유
3부_ 임금의 권위를 담고 있는 산, ‘하늘산’이 만든 서울 도시 풍경들
하늘-궁궐이 아닌 하늘-산-궁궐의 풍경이 상징하는 것
왜, 세종대로사거리-시청-숭례문의 도로가 없었나요?
근정전터, 회랑, 인왕산과 안산에 깔린 시각 체험 효과
종묘와 사직단에 적용된 3단계 원칙
관청은 앞에, 시장은 뒤에 있어야 하는데?
보편을 따르면서도 독특하다
4부_ 산을 품은 도시, 서울은 ‘유교 나라’ 조선의 수도였다
1년만에 궁궐과 종묘를 완성하다
왜 성곽짓기가 수월했죠?
‘유교의 도시’임을 알 수 있는 것은?
성곽 방어력이 높지 못한 이유
서울이 세계문명을 풍부하게 하다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