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산을 품은 왕들의 도시 2 (서울편 2 : 서울 풍경의 확산, 태종, 광해군, 경승람)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전기(개국~임진왜란 이전)
· ISBN : 9791160233223
· 쪽수 : 234쪽
· 출판일 : 2023-03-17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전기(개국~임진왜란 이전)
· ISBN : 9791160233223
· 쪽수 : 234쪽
· 출판일 : 2023-03-17
책 소개
경복궁 건설에 적용된 원리는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에 어떻게 구현되었을까? 창덕궁 후원이 산속의 자연풍경인 이유, 창덕궁과 경희궁에 독특한 진입로가 만들어진 이유, 그 많던 서울의 정원들이 사라진 이유를 듣는다.
목차
책 머리에
1부_ 태종 인터뷰 : 하늘·보현봉·창덕궁(돈화문)의 웅장한 풍경을 체험하게 하라
서울로의 재천도를 결정하다
창덕궁이 완성되다
창덕궁터는 어떤 원리로 잡았을까
서울에서 가장 멋진 그림
2부_ 태종 인터뷰 : 창덕궁과 창경궁의 구조는 독특하고 후원은 아름답다
돈화문에서 인정전까지 길은 왜 두 번 꺾일까
창경궁은 왜 남향이 아니라 동향일까
궁궐 안의 산속 자연풍경, 창덕궁 후원
자연풍경을 더욱 돋보이게 만드는 방법들
경복궁과 창덕궁은 왜 성벽이 아니라 담장으로 둘러쌓나
3부_ 광해군 인터뷰 : 경희궁의 미스터리, 왜 숭정전은 서북쪽 귀퉁이에 있을까
교하천도가 실패한 근본 이유
장풍국과 득수국 지형의 방어력에 대한 오해
왕의 기운이 서렸다는 소문과 경희궁 건설
왜 정전이 궁궐의 귀퉁이에 있을까
하늘-인왕산-경희궁(숭정문)의 풍경을 찾아 진입로를 꺾다
4부_ 『동국여지비고』 저자 경승람 인터뷰 : 궁궐 밖 정원들은 진정한 자연정원이었다
서울의 궁궐 밖에는 전통정원이 왜 이리 없을까
정원의 본질로 돌아가면 보인다
사라진 계곡의 풍경을 찾아서
자연정원이 엄청 많았다
문명사적 관점에서 새로운 눈을 갖는다는 것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