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91160401158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7-11-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기억을 따라가는 여행
^^Part 1 무엇을 쓸 것인가
제1강 나의 삶을 기록한다는 것^^
1. 기억이 나를 본다
2. 글쓰기, 나를 발견하는 과정
3. 삶을 소중하게 기념하고 놓아주다
4. 일단 시작하라
^^제2강 무엇을 쓸 것인가^^
1. 글감, 어떻게 모을까
2. 내 인생의 변곡점 발견하기
3. 어린 시절의 기억 떠올리기: 인생 전반부
4. 젊은 날의 기억 떠올리기: 인생 중반부
5. 장년, 노년의 기억 떠올리기: 인생 후반부
^^^^제3강 이야기의 씨앗을 찾아서^^
1. 최초의 기억을 찾아서
2. 삶의 연대기, 자전적 기억
3. 장소가 말해주는 이야기
4. 기억을 불러오는 감각들
5. 앨범 꺼내보기
^^Part 2 어떻게 쓸 것인가
제4강 글쓰기, 시작이 반이다^^
1. 배울 것은 오직 글의 구성
2. 뫼비우스의 띠 구성법
3. 스토리, 어떻게 전개할 것인가
4. 친구에게 이야기하듯 시작하라
^^제5강 이야기를 완성하는 몇 가지 방법^^
1. 장면 만들기 연습
2. 섹션 카드 만들기
3. 쓰다가 막혔을 때 돌아가기
4. 연대기 작성하기
5. 다시 질문하기
6. 이야기를 완성하는 또 다른 방법
^^제6강 생생한 글쓰기를 위한 몇 가지 요령^^
1. 구체적인 글의 힘
2. 소재에 이야기를 붙여라
3. 첫 문장에 대하여
4. 꾸준히 글을 쓰기 위한 네 가지 원칙
5. 읽기를 도와주는 TTS(Text?To?Speech)
6. 좋은 문장을 위해서: 천천히 읽기, 필사하기
7. 통일된 카테고리로 글쓰기
^^제7강 글의 힘은 ‘퇴고’에서 나온다^^
1. 전체 흐름에 따라 재구성하기
2. 퇴고하기(1)
3. 퇴고하기(2)
4. 자서전, 누구나 완성할 수 있다
에필로그_내 삶, 한 편의 글이 된다면
부록_단행본 및 전자책 출간 방법
책속에서
삶은 기억이고, 기억은 기록될 때에만 전승될 수 있습니다. 두꺼운 책일지라도 그 안에 기록된 것이 없다면 책으로써 의미가 없습니다. 그래서 인생이 한 권의 책이 되기 위해서는 기록의 과정을 거쳐야만 합니다. 하지만 자신의 삶을 기록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기록하고 싶어도 시간이 없다거나 마음의 여유가 없다거나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여 시간도 있고, 마음의 여유도 있고, 그 방법을 안다고 해도 그것을 실천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우리가 자서전을 쓰는 것은 결국 자기 삶을 하나의 줄에 꿰는 행위입니다. 글감을 모으는 것은 과거의 기억을 찾아가는 과정입니다. 우선 생각나는 대로 메모해보십시오. 시간 순서로 더듬어서 큰 사건들을 기록하고, 가까운 사람들의 이름을 적어보고 그 사람들과 함께했던 일들을 적어보고, 친구들도 떠올려보고, 옛 연인도 불러보고… 이렇게 하나씩 하나씩 과거로 들어가보면 매일 새로운 것들이 나타날 것입니다. 이런 것도 있었어? 아, 맞아 그때 누구랑 어디를 같이 갔었지. 자기 안으로 더 깊이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더 구체적이고 진실한 자기와 만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