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 개념어 사전

디지털 개념어 사전

(디지털 시대를 장악하는 핵심 키워드 100)

구본권 (지은이)
한겨레출판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지털 개념어 사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개념어 사전 (디지털 시대를 장악하는 핵심 키워드 100)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0406146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1-06-16

책 소개

《공부의 미래》 《로봇 시대, 인간의 일》 등의 저자이자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디지털 인문학자인 구본권은 디지털 기술이 바꿀 세상의 모습을 이해하고, 그에 적응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열쇳말들을 제시한다.

목차

서문 디지털 세상을 여는 열쇳말 100∘5

1장 로봇을 이기는 스마트한 인재의 자질 : 디지털 시대의 인재론

미래 일자리∘16
코딩∘19
지식의 반감기∘22
리더의 핵심 자질∘25
로보어드바이저∘28
메타 인지∘31
분산 기억∘34
뉴스 요약봇∘37
디지털 교육∘40
희소해지는 창의성∘43
검색엔진∘46
실시간 검색어∘49
TMI∘52
번역기∘55
직관∘58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61
디지털 문맹∘64
인포데믹∘67
솔로몬의 역설∘70

2장 기술의 빛과 그림자: 알고리즘의 윤리론

잊혀질 권리∘74
설명을 요구할 권리∘77
모바일 신언서판∘80
소프트웨어 의존 사회∘83
자동화 의존∘86
유령노동∘89
비밀번호∘92
시빅 해킹∘95
프라이버시 디바이드∘98
디지털 제네바협약∘101
시간의 역설∘104
정보 비만∘107
업그레이드 피로∘110
팀 쿡의 애플∘113
셀카∘116
셀카봉∘119
구글안경∘122
웨어러블∘125
3D 프린터∘128
양자컴퓨터∘131
머신 비전∘134
딥페이크∘137
자율주행∘140
다크 패턴∘143
디폴트 세팅∘146
구글링∘149
매크로∘152
택시 앱∘155
인터넷의 종말∘158
대체불가토큰NFT∘161
별점∘164

3장 과잉연결 속에서 잃어버린 것들: 스마트폰과 SNS의 관계론

연결되지 않을 권리∘168
스마트폰 중독∘171
스마트폰의 새로운 사용법∘174
스팸전화 거부 법∘177
댓글 스티커∘180
카톡 수신 확인∘183
내용증명 대화∘186
메신저 대화∘189
소셜미디어 권력∘192
좋아요∘195
페이스북 삭제∘198
페이스북의 ‘추억 팔기’∘201
페이스북 진짜 사용법∘204
클럽하우스∘207
디지털 해독∘ 210
디지털 시대의 여가∘213
조모JOMO∘216
언플러그드 여행∘219
도파민 단식∘222
인스타그래머블∘225
비대면 서비스∘228
멀티태스킹∘231
셀카이형증∘234
예의 바른 무관심∘237
무료 서비스∘240

4장 로봇, 인공지능, 인간의 경계에서: 포스트휴먼의 존재론

포스트휴먼Post Human∘244
켄타우로스 인간∘247
뇌 임플란트∘250
인간의 로봇화∘253
로봇 실명제∘256
로봇세∘259
로봇의 얼굴∘262
로봇의 죽음∘265
킬러로봇∘268
로봇 천국∘271
로봇 간 전쟁∘274
스마트 리플라이∘277
경비로봇∘280
로봇 시대, 인간의 취약점∘283
‘노예 소녀’ 로봇∘286
로봇물고기∘289
범용 인공지능∘292
감정을 읽는 기계∘295
호기심 장착한 인공지능∘298
위키피디아∘301
인공지능 면접관∘304
인공지능 사장님∘307
얼굴인식∘310
알고리즘 의사결정 선언∘313
자율주행의 운전자∘316

저자소개

구본권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한양대에서 언론학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겨레신문 기자로 오래 활동했으며 한겨레 사람과디지털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국가교육위원회 전문위원으로 있으며 한양대 등에서 겸임교수를 지냈다. 디지털 사회에서 지식과 정보의 구조 변화, 그에 대한 인간 인식 변화와 사회적 현상에 대해 연구하고 글 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 『메타인지의 힘』, 『로봇시대, 인간의 일』, 『공부의 미래』, 『뉴스를 보는 눈』, 『유튜브에 빠진 너에게』,『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디지털 시대의 본질은 새로운 변화가 끝없이 몰아치는 세상이라는 겁니다. 첨단 기술과 도구, 그로 인한 경제와 산업의 변화, 문화 현상 등을 따라잡지 않으면 이내 세상을 이해하지도, 주도적으로 삶을 설계하지도 못하게 됩니다.……디지털 기술이 산업과 사회의 구조와 질서를 바꾸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의 구체적 개념과 적용 사례를 아는 게 첫걸음입니다. 바로 그것이 이 책에서 다루는 열쇳말들의 목록입니다._<서문-디지털 세상을 여는 열쇳말 100>


로봇이 ‘신속 정확’하게 기사를 작성하고 투자 자문을 하는 것을 바라보는 두 관점이 교차한다. 하나는 사람의 영역으로 여겨져 온 일을 로봇이 빼앗는다는 불안감이고 다른 하나는 로봇에 맡길 수 있는 일은 로봇에 맡기고 사람은 로봇이 할 수 없는 일을 하면 된다는 관점이다. 이는 전자계산기나 엑셀 같은 수식 관리 프로그램을 바라볼 때와 유사하다. 암산과 계산 능력에서 기계와 경쟁하려 하면 승산이 없지만, 전자계산기와 엑셀을 활용해 기존 업무를 개선하려고 나서면 그 도구는 일자리를 위협하는 칼이 아니라 자신이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칼이 된다. 일을 과거의 관점으로 보는 대신 강력한 도구를 활용해서 어떻게 새롭게 할 수 있을까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다._<005 로보어드바이저>


컴퓨터가 할 수 없고 사람만 할 수 있는 기능은 ‘질문하기’다. 사람은 다른 어떠한 생명체도 갖지 못한 호기심과 인지적 불만족을 지닌 존재다. 사람들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게 천재성의 비밀을 물어볼 때마다 아인슈타인은 “나는 별다른 재능이 없다. 다만 호기심이 왕성할 따름이다”라고 답했다.
다행히 스마트폰 환경에서는 “왜 그런데? 왜 그래야 하는데”라고 묻는 것으로도 실마리를 풀 수 있다. 즉시 답변해주는 기계를 거느리고 사는 환경에서는 ‘똑똑하게 질문하는 법’을 가르치는 게 교육과 인간 개발의 새로운 목표가 되고 있다._<011 검색엔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