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7741066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3-06-26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AI 시대를 헤쳐 나갈 절대반지
1장 그들은 왜 실패했나 -메타인지의 시작
1. 예상하지 못한 기념비적 실패의 공통점
2. 성공은 왜 지속되기 어려운가
3. 실패와 메타인지의 연결고리
2장 나의 좌표를 파악한다는 것 -메타인지의 핵심
1. 영국은 어떻게 바다를 제패했을까
2. 북극점 탐험의 성공과 실패를 가른 결정적 차이
3. 나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방법
3장 이성적이라는 착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메타인지의 어려움
1. 물고기는 물을 모른다
2. 생각을 움직이는 두 개의 시스템
3. 뇌는 합리적이지 않다, 합리화할 뿐
4. 계몽주의자들이 놓친 진실
4장 왜 배울수록 모르는 게 많아질까 -메타인지와 학습
1. 더닝-크루거 실험이 알려주는 것
2. 불확실성을 대하는 태도가 지적 역량을 가른다
3. 메타인지는 더 많은 무지를 발견하는 일
5장 디지털과 인공지능 시대의 필수능력 -인공지능과 메타인지
1. 정보의 대혼돈 시대에 달라진 풍경
2. ‘실시간’ 기술이 불러온 충격
3. 알고리즘과 필터가 우리의 생각을 지배한다
4. 가상과 실재가 뒤섞인 세계에서 혼란에 빠지지 않으려면
6장 중요한 것은 왜 눈에 보이지 않을까 -메타인지와 비가시적 세계
1. 보이는 세계, 보이지 않는 세계
2. 인간을 탁월한 존재로 만든 능력
3.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눈, 메타인지
7장 메타인지는 삶의 양면성을 끌어안는 통찰력 -메타인지와 역설의 지혜
1. 자유와 선택의 역설
2. 왜 독일인들은 스스로 자유를 포기했나
3. 역설은 보이는 것 너머의 진리를 발견하는 힘
8장 최고의 지혜를 향한 출발점 -메타인지 기르기
1. 신호를 발견하고 읽어내기
2. 메타인지의 첫걸음: 질문에 답이 있다
3. 메타인지는 자신의 한계를 받아들이는 일
4. 장기적 목표와 동기의 발견
5. 다른 사람의 눈을 빌리는 법
6. 메타인지의 도구들
9장 맺음말: 나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여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들이 실패한 이유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두 가지 공통된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하나는 객관적 상황을 파악하는 데 실패했다는 것이다. 외부 현실에 대한 잘못된 인지와 판단, 곧 대상 인지의 실패다. 다른 하나는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과 판단이 틀릴 리 없다고 확신하는 것이다. 인식 주체에 대한 인지 실패다. 자신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를 깨닫지 못하고, 해당 사안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고 착각하는 것이다. 실패한 이들이 간과했던 두 가지, 대상 인지와 인식 주체에 대한 인지가 바로 이 책에서 다루고자 하는 메타인지다.
- 〈1장 그들은 왜 실패했나>
북극점에 도달하기 위한 숱한 난관의 역사는 목표 지점이 계속 움직이고 있으며 정확한 측정과 검증 도구가 없는 상황에서 탐험의 어려움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는 자신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조건도 일깨운다. 먼저 목표가 고정돼 있는지 유동하는지를 알아야 하며, 자신의 현재 위치와 이동 중인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측정 도구의 특성과 한계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것을 알지 못하면 아무리 고생스럽고 목숨을 건 용기 있는 도전도 잘못된 목표에 다가갈 따름이다.
- <2장 나의 좌표를 파악한다는 것>
럼스펠드 매트릭스에서 확인했듯이, 무지의 발견은 지식의 출발점이자 과학 발전의 원동력이다. 컬럼비아대학의 생물학 교수 스튜어트 파이어스타인은 무지와 실패는 과학을 지탱하는 두 개의 기둥이자 과학 발전의 엔진이라고 말했다. 과학의 세계에서 지식은 끊임없이 발전하면서 과거의 지식을 계속 보완하고 대체하며, 한때 확고부동한 철칙으로 여겨지던 지식을 임시적이고 가변적인 것으로 만든다. 물리학의 역사는 뉴턴의 고전역학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으로 대체되고, 이는 다시 닐스 보어와 하이젠베르크 등의 양자역학으로 보완되고 대 체되어온 변화와 발전의 과정이다.
- <4장 왜 배울수록 모르는 게 많아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