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91161661346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1-09-29
책 소개
목차
인사말 1 _강학근 목사 7
인사말 2 _박영호 목사 8
1차 콘퍼런스: 포스트 코로나와 하나님의 창조
1) 빅뱅 천문학과 하나님의 창조 _성영은 교수 15
2) 현대생물학과 하나님의 창조 _박치욱 교수 39
3) 질의응답 _사회: 권수경 교수 63
2차 콘퍼런스: 포스트 코로나와 인간에 대한 이해
1) 인공지능기술의 현황과 전망 _김상범 교수 81
2) 뇌 과학이 본 인간이해 _박해정 교수 99
3) 질의응답 _사회: 권수경 교수 120
고신총회70주년 준비 콘퍼런스의 취지와 목표 _권수경 교수 139
3차 콘퍼런스: 포스트 코로나와 미래목회
1) 빅데이터가 바꿀 우리의 미래 _정원혁 대표 153
2) 코로나 시대, 교회교육의 길 찾기 _박신웅 목사 173
3) 질의응답 _사회: 안재경 목사 213
4차 콘퍼런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주도하기
1) 과학과 기술의 현 상황과 미래전망 _성영은 교수 237
2) 과학과 기술 그리고 기독교 세계관 _권수경 교수 253
3) 과학기술의 변화에 따른 목회적/실천적 대응전략 _제인호 목사 265
4) 대토론회 _사회: 안재경 목사 274
발제자와 토론자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계가 공부를 한다고 합니다. 도대체 기계가 어떻게 공부한다는 것일까요? ‘경험(Experience)을 학습해서 테스크(Task)의 성능(Performance)이 개선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머신러닝, 기계학습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기계에게 데이터를 줍니다. 맨 처음에는 학습해 보라고 했습니다. 작은 데이터를 주었습니다. 그랬더니 뜻밖에 학습을 해냅니다. 어떻게 했을까요? 그 속에 규칙이 있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출퇴근하는 길에 분명히 규칙이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암살범이 여러분을 저격하려거나, 반대로 혹은 누군가 여러분을 기쁘게 하려고 깜짝 선물을 전달하고 싶다고 하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데이터 패턴을 통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것, 그것이 기계학습입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회교육은 지식전달 중심의 ‘성경공부’에서 역량 강화 방식의 프로젝트 학습(PBL)으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과제를 수행하면서 실질적인 고민을 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개인의 신앙 역량이 강화되는 방식을 택하는 것이다. 가령 예를 들어 전도나 선교 여행을 부모(교사)와 직접 기획하고 함께 준비하여, 전도지역이나 선교지에 가서 복음을 직접 전해보고 자신의 믿음이 어떠한지를 확인해 보는 과정을 거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이것에 대해 라영환 교수는 사고 중심의 교육에서 실천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하고, 공동의 추억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마치 자신의 청소년 시절 문학의 밤을 준비하며 학생들 자신의 역량을 강화했듯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