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63635512
· 쪽수 : 758쪽
· 출판일 : 2022-02-25
책 소개
목차
에라토에서
섬
알려진 세계
해부학
자연
돌고래의 코골이
도구
새 바람
갑오징어의 영혼
거품
양羊의 계곡
굴을 위한 레시피
무화과, 꿀벌, 물고기
돌숲
코스모스
피라 해협
용어해설
부록
미주
색인
리뷰
책속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쓴 조개에 대한 글을 읽자 모든 것이 되살아났고, 좀 더 읽다 보니 조개의 해부학적 구조를 기술한 부분이 나왔다.
입 가까이에 위胃가 있는데, 달팽이의 이 기관은 새의 모이주머니를 닮았다. 이 아래에 두 개의 흰 구조물이 있는데, 젖꼭지처럼 생겼다. 갑오징어에도 비슷한 구조가 있다. 다만 갑오징어의 것보다 달팽이의 것이 더 두드러진다. 위 뒤에 있는 식도는 단순하고 길쭉한 구조로, 껍데기 가장 안쪽에 있는 간肝까지 이어진다. 이 모든 내용은 뿔고둥과 나팔고둥의 껍데기 내부를 관찰하면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
이런 직설적인 단어들이 아름다움을 전달할 수 있을지 의아하게 여기는 독자들도 있겠지만, 나에게는 그랬다. 확실히 향수를 불러일으키기는 했지만, 향수가 전부는 아니었다. 난 아리스토텔레스가 무엇을 말하려고 했는지 이해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몸소 바닷가로 걸어가서 달팽이를 집어 들고, ‘속이 어떻게 되어 있을까?’라고 궁금해 했을 것이다. 그리고 관찰했고, 내가 23세기 후에 발견한 것을 그도 발견했을 것이다. 우리와 같은 과학자들은 형이상학적 고찰만큼이나 역사의 곁가지를 파헤치는 데 관심이 없다. 우리는 선천적으로 앞만 보고 달린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글은 너무 경이로워 차마 지나칠 수가 없었다.
_에라토에서 #1
아리스토텔레스는 약 110가지 동물의 해부학적 구조를 설명했다. 이중에서 35가지 정보는 폭넓거나 정확한 것으로 보아, 그 자신이 직접 설명한 것이 틀림없다. 아리스토텔레스 연구의 질質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뭐니뭐니해도 갑오징어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설명이다. 갑오징어 한 마리를 손에 들고 그의 설명을 읽으면 쉽게 이해가 된다.
나는 테이블에 흐물흐물하고 색이 옅고 끈적끈적한 갑오징어를 올려놓는다. 아리스토텔레스가 했던 것처럼 겉부분부터 시작한다. 입이 있고, 날카로운 턱이 둘이고, 다리가 여덟에 촉수가 둘
이고, 외투막mantle sac과 지느러미가 있다. 이제 몸속을 들여다봐야 하는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말하지 않는다. 오늘날 그리스 주부들이 하듯이, 한 손으로 촉수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외투막을 잡은 채 냅다 찢었을까? 현대 해부학자의 기술, 인내심, 정교한 장비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유산이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르긴 몰라도 이보다는 섬세했을 것이다. 다른 곳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두더지의 얼굴 피부를 세심히 절개해 그 아래에 있는 조그만 눈을 드러낸 과정을 기술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외투막을 촉수에서부터 꼬리까지 길게 절개한다. 배쪽 절개부ventral incision에서 생식기관이 드러난다. 등쪽절개부dorsal incision에서는 갑오징어의 뼈가 보이고, 그 아래로 큼직한 적색 구조─아리스토텔레스는 미티스(mytis)라고 부른다─와 소화계가 드러난다.
_해부학 #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