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64712717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4-08-30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노자, 무위자연의 길^^
1강. 도란 무엇인가?
2강. 아무것도 하지 않고 모든 것을 하려면
3강.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놀라운 방법
4강. 비어 있음의 참된 의미
5강. 지식을 넘어 밝음으로
6강. 생선만 잘 구워도
7강. 노자의 시대, 공자의 정신
^^2부 공자의 길, 인간의 길^^
8강. 나를 팔아 천하를 구한다
9강. 공자의 핵심, 인과 예
10강. 철학이 필요한 이유, 곤궁할 때 빛나는 철학
11강. 공자의 도를 네 글자로 말하면, 극기복례
12강. 공부의 달인에게 배우는 집중 공부법
13강. 사람과 잘 지내는 방법, 공자의 관계론
14강. 오래된 미래, 공자를 나오며
3부 장자, 자유로운 삶의 길^^
15강. 정저지와에서 붕정만리로
16강. 쓸모없이 사는 게 잘 사는 것이라고?
17강. 삶을 잊고 어슬렁거리다
18강. 연봉과 승진이라는 미끼를 물지 않는 법
19강. 나답게 당당하게 산다는 것
^^4부 맹자, 호쾌한 대장부의 길^^
20강. 맹자와 그의 시대
21강. 맹자의 깃발, 왕도정치
22강. 백성이 근본이다, 혁명의 근거
23강. 사람은 본래 선하다, 성선설과 인간 본성 논쟁
24강. 호연지기, 흔들리지 않는 당당한 삶의 비결
25강. 양주와 묵가 그리고 맹자
26강. 도가의 도, 유가의 도
^^5부 성리학, 사대부의 길^^
27강. 유학, 권력을 만나다
28강. 성리학이란 무엇인가?
29강. 공부의 비결, 격물치지와 거경함양
30강. 성리학의 나라, 조선의 철학 논쟁
31강. 살아 있는 철학, 죽은 철학
^^6부 한비자에게 배우는 인간 경영의 길^^
32강. 한비자, 법가를 종합하다
33강. 주인이 하인에게 친절한 이유
34강. 법가란 무엇인가?
35강. 호랑이가 개를 굴복시킬 수 있는 이유
36강. 세, 군주의 수레
37강. 법가의 빛과 그늘
^^7부 불교, 고통을 넘어선 행복한 삶의 길^^
38강. 싯다르타, 해탈의 철학을 말하다
39강. 해탈로 가는 여덟 가지 바른 길
40강. 불교의 세계관, 연기란 무엇인가?
41강. 있는 것이 없다고? 무상, 무아, 공
42강. 업과 윤회, 윤회는 없다
43강. 자비와 보시의 의미, 사랑하면 행복하다
44강. 이고득락, 영원한 행복에 이르는 길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도대체 노자는 도덕경 〈1장〉에서 무슨 말을 하고 싶었던 것일까요? 크게 보면 거대한 우주의 도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런 광대하고 무한한 우주에서 우리 인간은 너무 작습니다. (중략) 우주는 끝이 있는지, 죽으면 어떻게 되는지 인간은 알지 못합니다. 광대한 우주를 움직이는 원리인 도는 사람의 말이나 생각으로 포착할 수 없는 것인데, 눈앞에 보이는 작고 사소한 지식에 매달려 서로 다투고 싸우는 것이 사람입니다. 노자는 우주를 보는 큰 생각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입니다.
/ 1강. 도란 무엇인가? 중에서
노자와 공자를 함께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중략) 노자는 자연의 이치인 도를 따를 것을 권했습니다. 공자는 자연의 도가 아닌 인간의 도를 말합니다. 물론 공자가 말하는 인간의 도는 하늘, 즉 자연이 부여한 인과 예입니다. 두 사람 모두 자연의 도를 말하지만, 도의 내용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중략) 노자가 자연과 일체가 되는 무위의 삶을 좇았다면 공자는 사회 공동체 속에서 도덕적 삶을 위한 수양과 노력이라는 인위를 강조했습니다. 노자는 물질문명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내지만, 공자는 문명을 바르게 하려고 합니다.
그렇다고 노자와 공자가 전혀 다른 것은 아닙니다. 모두 하늘, 자연의 이치에 기초해 있습니다. 무엇보다 좋은 삶을 모색하는 철학이라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같습니다. 춘추전국시대의 혼란함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이것이 노자와 공자의 문제의식이었고 다만 그들이 얻은 해법, 답이 달랐을 뿐입니다.
답이 다른 것은 좋은 것입니다. 덕분에 우리는 도가와 유가라는 해법 두 가지를 얻게 되었습니다.
/ 7강. 노자의 시대, 공자의 정신 중에서
공자가 살았던 시대는 춘추시대 말기였습니다. 전쟁은 끝이 없었고, 권력자들은 백성의 고혈을 짜 자기 배를 채우는 데 여념이 없었습니다. 철학은 시대와 긴밀한 연관이 있습니다. 시대의 문제에 응답하기 위한 노력에서 철학이 탄생하기 때문입니다. 공자와 그의 철학을 살피면서 시대를 함께 봐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8강. 나를 팔아 천하를 구한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