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66290442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1-06-30
책 소개
목차
총론: 왜 이용후생의 인문도시 당진인가/ 안외순
1. 이용후생과 당진
2. 책의 구성과 소개
3. 맺음말
제1부 전통시대 인문도시 당진의 이용후생의 역사
당진의 선사 문화/ 안덕임
1. 머리말
2. 구석기시대
3. 신석기시대
4. 청동기시대
5. 초기철기시대
6. 맺음말
고려의 건국과 치국, 그리고 당진/ 김영수
1. 서론
2. 복지겸(卜智謙)의 정치 활동
3. 박술희(朴述希)의 정치 활동
4. 결론
당진의 유학 전통과 구봉 송익필/ 박학래
1. 들어가는 말
2. 당진 지역 유학 전통의 수립과 전개
3. 구봉 송익필의 학문과 이용후생의 전통
4. 맺음말
면천 군수 박지원의 목민 활동/ 김문식
1. 박지원의 면천 군수 부임
2. 이방익 표류기의 저술
3. 천주교인에 대한 설득
4. 면천군의 환경 정비와 정리곡 관리
5. 목민서 「칠사고」의 편찬
6. 『과농소초』「한민명전의」의 저술」
제2부 근대 저항과 계몽적 이용후생의 인문도시 당진
성(聖) 김대건 신부와 당진의 천주교, 그리고 이용후생/ 안외순
1. 서론
2. 당진 솔뫼와 한국 천주교의 못자리, 그리고 김대건 가문
3. 성 김대건 신부의 생애, 그리고 이용(利用)과 후생(厚生)의 마음
4. 맺음말
당진 지역의 동학농민전쟁/ 장수덕
1. 머리말
2. 합덕민란의 발발과 동학의 확산
3. 동학농민전쟁사에 빛나는 승전곡전투
4. 내포 동학농민군 최고의 수접주 이창구
5. 맺음말
당진의 3·1운동/ 김남석
1. 머리말
2. 당진의 지역적 배경
3. 3·1운동의 전개
4. 당진 3·1운동의 성격
5. 맺음말
심훈의 저항과 계몽, 이용후생의 한 방식/ 유진월
1. 서론
2. 일제강점기와 저항 의식
3. 저항과 계몽의 이용후생
4. 결론
제3부 빙해(氷海)에서 평화의 관문도시 당진으로
당진의 문화유산 현황과 활용 정책/ 남광현
1. 당진의 역사적 정체성과 문화유산 현황
2. 문화유산 진흥정책과 도시 이미지 개선 필요성
3. 문화유산 정책의 기본 방향
4. 스타문화재 육성과 지속 가능한 문화유산 체계 마련
5. 맺음말
인문도시 당진의 도시재생사업/ 박현옥
1. 서론
2. 인문도시 당진 2018~2020
3. 국내외 도시재생사업과 사례
4. 당진시의 도시재생 관련 사업
5. 결론 및 제언
책속에서
‘이용후생의 인문도시 당진’은 우리 선조들이 물려준 이러한 자랑스러운 당진의 인문자산들을 충분히 향유함으로써 진정한 이용후생의 의미와 가치를 새기고, 앞으로도 이러한 인문 전통을 대대손손 전수하기 위해서 제대로 된 세계관과 정의감의 ‘정덕’을 보유하고서 ‘자본 중심’으로 돌아가는 ‘가짜 산업과 문명’을 감시하고 통제할 것이다. 그것은 박지원이 ‘가짜 도덕’을 팔아 이용후생을 외면했던 조선 후기 지식인들에 대해 경종을 울리면서 ‘이용·후생·정덕’이라고 했듯이, 이제는 ‘가짜 이용·후생’을 파는 자본과 물질만능주의에 대항하여 다시 ‘정덕·이용·후생’을 되새길 때이다. 어느 때건 길은 하나다. ― 왜 이용후생의 인문도시 당진인가 중에서
당진 지역은 예로부터 사람들이 거주하기 좋은 자연환경 여건을 갖추고 있다. 또한 해안 지역에 위치하여 해로를 통한 외부 문화의 유입과 그러한 문화적 요소를 전달해 주는 통로의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자연 입지 환경을 무대로 당진 지역에는 구석기시대부터 사람들이 살기 시작하였다. 신석기시대에는 서해안식 주거지가 유행하여 서해안을 통한 인근 해안 지역과의 교류를 보여주었다. 청동기시대에는 전기의 역삼동식 문화가 발달되어 차령산맥 동쪽의 충청 내륙 지방과 다른 문화적 특성을 전개하였고 점진적으로 송국리 문화 단계로 이행하여 갔다. 초기철기시대에는 당진 지역이 철기 문화의 유입과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 당진의 선사 문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