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고전 철학의 이해

중국 고전 철학의 이해

김수중 (지은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000원 -0% 0원
1,300원
24,700원 >
26,000원 -0% 0원
0원
2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800원 -10% 1040원 17,680원 >

책 이미지

중국 고전 철학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고전 철학의 이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66840791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22-03-02

책 소개

중국은 역사가 깊고, 드넓은 지역을 아우르고 있기 때문에 중국 고전 철학을 이해하려면 중국의 지리적, 역사적 배경을 함께 파악해야 한다. 이 책은 학기마다 수강 인원 초과를 기록하는 저자 김수중 교수의 '중국철학사' 강의를 밑거름 삼아 쓰인 책이다.

목차

제1부 고전시대 철학의 등장
1장 중국철학의 특색과 지리적 배경
1. 한 발은 안에, 한 발은 밖에
2. 중국의 지리적 특징: 닫힌 세계
3. 농경문화: 대가족 제도와 소박실재론
4. 온화한 기후와 현세주의
5. 동양과 서양: 사유 방식의 차이

2장 하상주(夏商周): 고전 삼대의 사회와 문화
1. 고전 삼대(三代)
2. 주나라 사회와 문화
3. 제자백가의 등장
참고 자료: 태양숭배와 동양문화

3장 공자(孔子): 전통의 계승과 혁신
1. 생애와 시대
2. 유가의 기원과 공자의 혁신
3. 사회정치 사상
4. 전통의 계승과 합리적 태도
참고 자료: 역지사지(易地思之): 전통 윤리의 황금률

4장 묵자(墨子): 노동자 대중의 철학
1. 묵적(墨翟)과 그 집단의 성격
2. 묵자의 근본 사상
3. 사회와 권력의 기원
4. 윤리 도덕의 배경이 되는 종교관

5장 양주(楊朱): 내 생명이 가장 귀중하다
1. 춘추전국시대의 은둔(隱遁) 사상
2. 양주의 근본 사상
3. 사상사적 배경
4. ‘위아론’의 두 가지 길

6장 맹자(孟子): 유가의 윤리학과 인간론을 세우다
1. 맹자의 생애와 사명 의식
2. 올바른 삶의 길: 윤리학
3. 인간의 본질: 성선설
4. 정치경제 사상
5. 호연지기(浩然之氣)
참고 자료: 호연지기: 선비 정신의 뿌리

7장 명가(名家): 이름과 진상
1. 명변(名辯) 사조의 등장 배경
2. 혜시(惠施)의 합동이론(合同異論)
3. 공손룡(公孫龍)의 이견백론(離堅白論)
4. 기타 변자들의 명제들

8장 노자(老子): 대지에 선 농부의 철학
1. 도가 사상의 연원과 노자
2. 노자의 근본 사상
3. 비판과 부정의 철학
4. 도(道): 진상의 추구
부록: 『노자』의 판본과 현대의 발굴 성과
1972년, 원형 보존된 미라 ‘마왕퇴의 귀부인’ 발굴

9장 장자(莊子): 해방과 달관의 철학
1. 속견(俗見)에서 진상(眞相)으로
2. 도(道)의 체득(體得)
참고 자료: 노장 사상의 재음미

10장 순자(荀子): 고전 사상의 종합
1. 순자(荀子)와 그의 철학적 특색
2. 혁신적 자연관
3. 인간관: 성악설
4. 사회관: 예악론(禮樂論)
5. 정명론: 논리 사상의 체계화
참고 자료: 순자와 아리스토텔레스

11장 한비자(韓非子): 효율적 통치를 위한 철학
1. 법가의 형성과 한비자
2. 한비자의 역사관과 인간관
3. 군주의 세 가지 통치 도구
4. 황로 사상과 법가
5. 한비자 사상의 의의와 한계

제2부 현대적 관점에서 본 중국철학의 주제들
1장 주역, 중용, 사이버네틱스 -역용(易庸) 사상의 현대적 해석 시론
1. 서론
2. 사이버네틱스의 주요 관점
3. 시중(時中)과 역동적 평형
4. 역용(易庸)과 흑상 이론
5. 맺는 말

2장 유가의 덕목들과 도덕원리
1. 서론: 덕의 윤리
2. 원시 유가의 덕목들
3. 유가의 도덕원리
4. 유가 도덕의 재음미
5. 맺는 말

3장 동양적 삶의 방식과 범주의 문제
1. 문제제기
2. 카테고리와 홍범구주
3. 존재 세계에 대한 동양의 대분류
4. 류(類)와 유추(類推)
5. 동서의 사유 패러다임과 그 배경

4장 해방 50년, 중국철학의 연구와 과제
1. 머리말
2. 시기별 전개 양상
3. 논점과 과제
4. 맺는 말

저자 후기

저자소개

김수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경희대학교에 30여 년 철학과 교수로 근무하면서 중앙도서관장, 문과대학 학장 등을 지냈다. 밖으로는 북경대학교 철학과 연구교수, 한국양명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명말 태주학파의 사회사상」, 「동양철학과 매체」, 「양명학의 대동사회의식에 관한 연구」 등이 있고, 공저로 『인간이란 무엇인가』, 『공동체란 무엇인가』, 『마음과 철학(유학편)』 등이 있다. 현지 조사를 중시하고 자전거 여행을 좋아하여, 중국, 유럽, 시베리아 등 세계 각지를 답사하였다. 2017년 정년퇴임 이후에는 동두천 왕방산 기슭에서 저술에 힘쓰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중국의 전통사회에서는 언제나 근본이 되는 농업을 중시하고 말단이 되는 상업을 경시해 왔다. 사대부는 직접 토지를 경작하지는 않았지만 지주의 신분으로서 그들의 운명은 농업에 매여 있었다. 또 대부분의 사대부들은 농부들과 함께 전원에서 생활했기 때문에 사대부들의 우주관과 인생관은 농부의 것을 대변하고 있었다.


고대의 종교와 신화 중심의 세계관에서 중국 전통의 윤리와 유가 사상이 발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즉, 하나라 이전까지 지배적이었던 샤머니즘 문화가 제사 중심의 문화로 발전하였고 상나라 시대 최고로 성행하던 제사 문화는 주나라에 와서는 예악 문화로 발전하였다.


묵자가 생각할 때, 당시 민중의 삶을 피폐하게 만드는 전쟁은 제후들이 자기 영토를 넓히고 백성의 수를 늘리고자 하는 욕망에서 나온 것들이다. 따라서 전쟁에서 승리한다 한들 지배층만 부유해지고 일반 노동자 민중에게는 희생만 요구될 뿐 아무 도움이 안 된다. […] 묵자는 이 모든 것이 이기적인 차별(別)에서 나온다고 본다. 가(家)를 서로 구별하고 국(國)을 서로 구별하고 우리 가, 우리 국만 사랑하는 데에 그 원인이 있다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42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