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마르틴 하이데거
· ISBN : 9791166841354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2-12-0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서론: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사유가 『말도로르의 노래』를 불러야 하는 이유
2장 함께-있음과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
3장 선악을 향한 분열적 운동으로서의 현존재의 존재와 시간
4장 선악의 피안을 지향하는 실존의 운동으로서의 현존재의 존재
5장 결론: 잠재적 악과 폭력의 가능성이 부단히 분화하고 산개할 장소로서의 일상세계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왜 하이데거의 존재론은 이전의 사유와 달리 그토록 특별한가? 하이데거의 존재론이 본래적으로 퇴행적인 사유이기 때문이다. ‘퇴행적’이라는 말이 하이데거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담고 있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 실은 그 반대이다. … 고차원적인 존재를 향한 전통 철학적 사유의 관점에서 보면 퇴행적인 것으로 규정될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사유야말로 실은 존재의 진실을 온전하게 발견하도록 할 최고도로 고차원적인 사유이다. _머리말
로트레아몽이 암시한 길은 하이데거의 존재론이 원래 가야만 했으나 가지 않은 길이다. 지극한 선이 지극한 악이 되고, 반대로 지극한 악이 지극한 선이 되며, 그럼으로써 존재의 근원적 의미가 성스러움과 사악함의 역동적 통일 속에서 드러나도록 하는 사유의 늪이야말로 존재론이 제 길로 들어서기 위해 지나야만 하는 곳이다. _1장 서론: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사유가 『말도로르의 노래』를 불러야 하는 이유
일상적 함께-있음의 한계를 근원적으로 넘어서 있는 존재자로서 자신을 발견함이란 논리적으로 자신을 비일상적인 존재자로, 그리고 타자와 본래적으로 함께-있지-않는 존재자로, 발견함과 같은 것으로 여겨지기 쉽다. 그러나 존재론적으로 일상성이란, 그리고 타자와 함께-있음이란, 결코 극복되어 무화될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니다. … 그러니 현존재는, 존재론적으로, 일상적이면서 동시에 비일상적이어야 하고, 타자와 함께-있으면서 동시에 함께-있지-않아야 한다. _2장 함께-있음과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