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생활풍속사
· ISBN : 9791166842672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3-11-20
목차
_차 례
책머리에 4
들어가는 말 11
1. 최흥원, 일기로 들여다보다 17
50여 년의 일상, 책력에 기록 19
퇴계학파로서의 정체성 확립 24
아내의 빈자리, 첩을 들여야 하나? 28
최흥원의 조력자들 33
학자와 지주 사이에서 41
2. 집안 경영, 나눔과 정성에 기반하다 47
나눔과 호혜의 일상생활 49
손님 접대에 쏟는 정성 57
3. 재산 관리, 꼼꼼한 경영자를 자처하다 61
백여 명의 ‘식구’를 먹여 살려야 63
한 해의 먹거리, 농사 관리 68
노비의 감독과 물건을 바치는 사람들 74
살림에 보탬이 되는 선물과 부조 80
4. 제사 지내기, 사제의 역할에 충실하다 83
종손의 지위 확립 85
제사의 실행 89
제사 예법, 원칙과 시속 사이의 고민 95
제수의 마련과 감독 97
5. 혼인, 집의 격을 높이는 데 기여하다 101
아들 주진의 혼인 105
사촌 아우 흥부의 혼인 110
조카 사진과 상진의 혼인 112
혼인 성씨들과의 교유 117
6. 자녀 교육, 최고의 매니저였다 123
애틋한 아들과 손자의 공부 126
아우들 공부 모임 만들어 주기 133
두 조카, 매질로 가르치다 135
영남 최고의 교사진 확보 138
동화사와 부인사, 또 하나의 학교 143
과거 응시, 기대하고 또 기대하고 148
책을 빌리고 빌려주고 153
7. 생필품 마련, 시장 곳곳에 사람을 보내다 159
어머니 밥상에 올릴 반찬거리 161
장사꾼 물건 중에는 도둑맞은 것도 있거늘 165
구입 대행과 심심찮은 중고 거래 169
8. 의학지식, 가족을 질병에서 구하다 173
평생 지속된 어머니의 병환 175
아내와 아들의 갑작스러운 죽음 179
최흥원의 의학 지식과 질병 치료 182
대구부 의국과 의원의 도움 192
9. 전염병의 급습, 지혜로 살아가는 방법을 익히다 199
3-4년에 한 번은 급습하는 전염병 201
최흥원의 전염병 예방 매뉴얼 206
전염병을 뚫고 치른 혼례 211
천연두로 생사를 넘나드는 둘째 아우 213
나오는 말 218
주석 222
참고문헌 226
책속에서
최흥원은 집을 경영하는 데 안살림을 책임져 줄 아내가 일찍 사망했지만, 재혼하지 않아 애로사항이 많았다. 아내가 사망한 다음 해인 1741년 1월 1일 새해에 가장 먼저 떠오른 심상은 아내 없이 홀아비가 된 자신의 처지였다. 그는 새해를 맞이하니 홀아비의 심정이 즐겁지 않았다고 고백했다. 3월 13일은 둘째 아들의 생일이었는데, 낳은 어미가 있지 않으니 참으로 슬프다고 했다. 아내가 죽은 이후 최흥원의 외롭고 쓸쓸한 심정이 일기 곳곳에 묻어났다.
최흥원은 직접 농사를 관리 감독했다. 농사철에는 파종과 추수로 바빴다. 종들에게 밭에 보리를 파종하도록 했는데, 파종 시기가 늦어 싹이 날까 걱정했고, 해안의 보리타작을 위해 종 10여 명을 보내기도 했으며, 계집종들에게도 모내기, 김매기, 가을걷이, 보리타작 등을 시켰다. 종 상만을 강각동에 보내어 거둔 모초로 재를 만들게 하여 가을갈이에 대비하도록 했다. 매일 밭갈이와 곡식 수확을 점검하느라 바쁘게 쫓아다니니, 그런 자신이 우습기도 하고, 한탄스럽기도 했으며, 날마다 생업에 대처하고 힘을 쓰느라 어머니를 제대로 보살피지 못한 자신을 탓하기도 했다. 논과 밭이 여러 곳에 있어서 최흥원이 일일이 관리하거나 감독할 수 없었다. 아우를 비롯하여 아들 주진, 사촌 통숙과 문희 등에게 파종과 타작을 감독하게 했고, 그들은 최흥원에게 작업 결과를 보고했다.
최흥원은 다시 조선적에게 공부하러 간 아들이 어떻게 공부하고 있을지 궁금했다. 그런데 11월 21일에 주진이 오한과 발열 증세가 있다는 소식을 듣고 몹시 걱정되었다. 12월 10일에 종이 열 몇 장과 오미자를 아들에게 보냈다. 12월 28일, 아들이 계속 아프다는 소식을 듣고 나서 걱정이 멈추질 않았다. 그 사이의 사정은 알 수 없지만, 주진은 1738년 10월 1일에 조선적의 집에서 돌아왔다. 아들과의 오랜만의 상봉에 최흥원의 마음은 매우 설렜다. 아들의 모습을 보니 의젓하게 자라서 위로가 되었으나, 학습에는 진전이 없는 듯하여 다소 실망스럽고 답답한 심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