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반도 국제관계사의 재인식

한반도 국제관계사의 재인식

옥창준, 신욱희, 구갑우, 오정현, 이혜정, 량미화, 은용수 (지은이)
사회평론아카데미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660원
21,340원 >
22,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20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반도 국제관계사의 재인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반도 국제관계사의 재인식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67070173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1-08-13

책 소개

저자들은 모두 한반도의 국제정치적 규정성, 그리고 그에 대한 미시적 탐구의 중요성에 공감하였다. 따라서 저자들은 북핵문제, 미중 갈등, 한일 분규 같은 현안의 역사적인 기원에 관해 심층적인 과정추적을 단계적으로 수행하기로 했다.

목차

서문

경합하는 ‘태평양’ 구상: 1949년 태평양‘동맹’의 재해석
I. 머리말
II. “파도치는 태평양”과 1947년 아시아 관계회의
III. 비동맹의 기원: 1949년 뉴델리 회의
IV. 연맹과 동맹 사이의 ‘태맹(太盟)’
V. 맺음말: ‘태평양’의 유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한미일 관계의 위계성 구성
I. 서론
II. 위계성과 지위
III. 경험적 사례로서의 샌프란시스코 체제
IV. 결론

한반도 평화체제 만들기의 국제정치적 기원
―북한자료를 통해서 본 정전협정 4조 60항의 합의 과정―
I. 문제 설정
II. 정전협상과 외국군 철수의 의제화
III. 정전협정 4조 60항의 형성과 북한
IV. 정전협정 4조 60항의 평가
V. 정전협정 4조 60항의 현재성: 결론에 대신하여

1954년 제네바 정치회담과 한반도 국제관계: 전후 분단체제의 형성
I. 문제 제기
II. 제네바 정치회담의 성립 배경
III. 제네바 정치회담과 미중 적수게임
IV. 제네바 정치회담과 한미 동맹게임
V. 결론

1954년 한미 합의의사록의 재조명: ‘114일의 한미 분규’
I. 문제 제기
II. 배경: 휴전의 거래
III. 발단: 워싱턴 정상회담과 북진-군비증강
IV. 전개: 반일과 워싱턴 실무협상의 결렬
V. 파국: 환율-유류파동, 통일방안과 한미 ‘협의’
VI. 결론

북한의 상대적 자율성과 북중소 삼각관계
―8월 전원회의 사건의 전후 과정을 중심으로―
I. 문제 제기
II. 전후 북한 분파들의 정책 갈등과 “종파집단”의 부상
III. 반김일성 세력의 반격과 8월 전원회의
IV. 중소 개입과 김일성의 대응
V. 맺음말

한국 외교안보정책에 대한 탈식민주의 이론적 검토
―식민성의 역사적 형성과 변용에 관하여―
I. 서론
II. 탈식민주의 이론
III. 한국의 탈식민 역사 과정: 식민성의 생성과 변용
IV. 혼종 식민성 극복하기
V. 맺음말

찾아보기
지은이 소개

저자소개

구갑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연구 분야는 평화 연구, 국제정치경제, 북한외교다. 지은 책으로는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2007), 『국제관계학 비판』(2008)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탈식민적 분단국가의 재생산: 남북한과 아일랜드-북아일랜드의 사회적 장벽 비교”(2012), “북한 핵 담론의 국제정치”(2017), “평창 ‘임시평화체제’의 형성 원인과 전개”(2018), “북한의 ‘우리 국가제일주의’ 담론의 계보학”(2024), “신공화주의적 평화의 길”(2025)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혜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노스웨스턴 대학교 정치학 박사. 연구 관심사는 미국 외교, 국제관계이론, 한반도 국제관계사다. 최근 저작으로는 “자유주의 국제질서와 중국, 그리고 미국 패권: 아이켄베리의 대중국 인식 변화 비판”(공저, 2025), “트럼프의 귀환: 대침체와 코로나19 팬데믹의 복합 위기, 그리고 미국의 재건”(2025), 『한반도 국제관계사의 재인식』 (공저,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은용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며, 영국 라우틀리지(Routledge) 출판사의 IR Theory and Practice in Asia 총서 편집장을 맡고 있다. 국제정치이론을 주로 연구해 왔으며 특히 대안적인 시각으로 기존의 문제를 재해석하고 새로운 방향을 찾는 데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연구로는 약소국의 주체적 행위성과 21세기의 새로운 국제질서를 논의한 논문 “Unpacking the dynamics of weak states’ agency”(2022), 질 들뢰즈의 리좀(rhizome) 개념을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한 논문 “Calling for IR as “becoming-rhizomatic””(2021), 그리고 서구중심주의라는 오랜 문제를 자기성찰적으로 접근한 논문 “An Intellectual Confession from a Member of the ‘Non-Western’ IR Community: A Friendly Reply to David Lake’s “White Man’s IR””(2019)이 있으며, 탈서구적 국제정치이론 개발과 관련된 지식사회학적 난제와 해법을 제시한 저서 What is at Stake in Building “Non-Western” IR Theory?(2018)가 있다. “혼종 식민성: 탈식민주의로 바라본 한국의 외교안보정책”이라는 논문으로 2021년도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옥창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정치학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이래저래 여러 책과 인연을 맺었지만 아직 단독 저서는 없다. 언젠가 한국학의 맥락에서 국제정치학사를 정리하고 싶다는 생각을 마음에 품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 외교사를 탈식민적 관점에서 정리해 보려고 자료를 모으며 궁리하고 있다(고 말하고 다닌다). 함께 쓴 책으로 《한반도 국제관계사의 재인식》 등이 있으며, 《경합하는 ‘태평양’ 구상 : 1949년 태평양 ‘동맹’의 재해석》 《북한의 상상 지리와 '평양 선언'》등의 논문을 썼다. 옮긴 책으로 《제국과 의로운 민족》 《냉전의 지구사》(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오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 석사 한동대학교 국제어문학부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우드로윌슨센터에서 KF Junior Scholar로 활동하였다. 논저로 “1954년 제네바 정치회담과 한반도 국제관계”(2021)가 있다.
펼치기
량미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외교학 전공 박사수료 북한의 대중국 상대적 자율성을 주제로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논저로 “박근혜 정부의 정치경제학과 한중 협력”(2016)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