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뇌과학/인지심리학
· ISBN : 9791168342750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5-03-24
책 소개
목차
서문
이론편 : 내면소통 명상을 위해 배워야 할 것들
1장 마음근력이란 무엇이며 왜 키워야 하는가
2장 편도체 안정화와 전전두피질 활성화가 필요한 이유
3장 마음근력 훈련 효과의 근거 - 신경가소성과 후성유전학
4장 감정은 몸의 문제다 - 불안장애와 만성통증
5장 내부감각 훈련 - 감각과 신체를 통한 감정조절
6장 고유감각 훈련과 움직임 명상
7장 배경자아와 자기참조과정
8장 자기확언 제대로 하기 - 자기가치확인 이론
9장 여섯 가지 자타긍정 - 전전두피질 활성화를 위하여
실습편: 내면소통 명상 가이드
내면소통 명상 시작하기
명상 가이드 사용법
실습 1 호흡 명상
실습 2 뇌신경계 이완 명상
실습 3 내부감각 명상
실습 4 고유감각 훈련
실습 5 격관 명상 – 자기참조과정 훈련
실습 6 자타긍정 명상 – 용서, 연민, 사랑, 수용, 감사, 존중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마음근력은 ‘마음’에만 관련된 것이 아니다. ‘마음근력’이라는 말 자체가 이러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가 있다. 그러나 《내면소통》과 유튜브 강의를 통해 여러 번 강조했듯이 몸과 마음은 한 덩어리다. 뇌는 몸이면서 동시에 마음에 관한 것이다. 감정은 통증과 마찬가지로 몸의 문제다. 나는 지금 몸과 마음의 ‘연결성’을 강조하려는 것이 아니다.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별개인 두 개의 실체가 어떠한 연결고리를 통해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뜻이다. 그러나 몸과 마음은 그러한 두 개의 별개 실체가 아니다. ‘나’라는 하나의 존재에 들어 있는 다양한 기능과 측면이 곧 나의 몸과 마음인 것이다.
- 서문 중
현대인은 대부분 만성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편도체가 늘 활성화되어 있다. 마음근력 훈련을 위해서 무엇보다도 편도체를 안정화해야 하는 이유다. 우선 내면소통 명상을 통해 불필요한 공포나 두려움을 줄이고, 만성적인 스트레스를 완화해야 한다. 즉 위급한 순간에도 편도체가 아니라 전전두피질이 주도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뇌의 기능적 습관을 바꿔놓을 필요가 있다. 그래서 마음근력 훈련은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하나는 편도체 안정화 중심의 훈련이고, 다른 하나는 전전두피질 활성화 중심의 훈련이다. 이것이 바로 내면소통 명상이 ‘편안전활(편도체 안정화와 전전두피질 활성화)’을 강조하는 이유다.
- <마음근력이란 무엇이며 왜 키워야 하는가>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