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개념 잉태가 소통이다

개념 잉태가 소통이다

이권효 (지은이)
북랩
14,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320원 -10% 2,500원
740원
15,0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400원 -10% 520원 8,840원 >

책 이미지

개념 잉태가 소통이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개념 잉태가 소통이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8362970
· 쪽수 : 238쪽
· 출판일 : 2022-05-02

책 소개

보통 사람들에게 익숙한 12가지 개념을 다룬다. 그리고 그 개념들에 대해 사전적 의미를 넘어 입체적으로 성찰한다. 이를 통해 개념 잉태가 왜 필요한지, 그것을 왜 실천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 개념 잉태로 소통을 성찰하다

1장
캠퍼스

캠퍼스(校庭, campus) - 삶의 광장 캄푸스
캠퍼스 품는 캄푸스
메타(meta)와 가(假)는 현실의 확장
캠퍼스·캄푸스·캔버스·컴퍼스의 닮음

2장
일상

일상(日常, daily life) - 태양을 닮은 당당함
태양은 단단한 열매
일상의 한결같은 당당함
일상 중용은 항상성(호메오스타시스)

3장
소통

소통(疏通, communication) - 생명의 교감
소통은 생명의 탄생 과정
‘건곤감리’보다 ‘건곤함항’
소통은 지혜로 들어가는 문
경청(傾聽)보다 인청(忍聽)과 겸청(兼聽)

4장
호기심

호기심(好奇心, curiosity) - 아름다움의 추구
호기심이 궁금하다
호기심과 엽기심의 차이
호기심은 윤리적 탐구

5장
꼰대

꼰대(ggondae) - 고리삭음의 짝
고리삭음은 젊음의 적(敵)
무불경(無不敬)! 공경의 힘!
성인(成人)을 함께 추구

6장
논리

논리(論理, logic) - 상황의 올바른 무늬
논리의 윤리적 성격
흑백논리보다 회색논리
합리와 비합리는 알맹이 빠진 말
어떤 이치(理)인가

7장
기업

기업(企業, corporation) - 높은 발돋움
기업의 인륜적 책임
경영은 공동체라는 베 짜기
발돋움으로 북돋움

8장
융합

융합(融合, fusion) - 함께 먹는 따뜻한 밥
융합은 어떤 결합인가
융합으로 끓는 가마솥

9장
얼굴

얼굴(人面, face) - 얼(정신)의 모습
얼굴은 ‘얼 + 굴’
관상의 새로운 뜻
배움으로 가꾸는 얼굴

10장
날씨

날씨(氣象, weather) - 태양의 씨앗
사람도 광합성 동물
기후 위기는 관점의 차이일까
지구는 태양의 밭
지구 뒤덮는 우주 쓰레기
태양의 날줄과 씨줄

11장
가짜 뉴스

가짜 뉴스(fake news) - 허투루 외침
‘있는 그대로’는 무엇일까
애매모호한 현실
생각이 사실을 만든다
‘~처럼(as-if)’의 현실
규정하기 어려운 ‘있음’
팩트(사실)와 포스트트루스(탈진실)
팩트는 현실의 부분
현실을 담아내기 어려운 통계
중간세계로서 현실
‘가짜 뉴스’라는 불편한 표현

12장
인(仁)

인(仁, humanity) - 안중근 의사의 바탕
인(仁)은 사람의 보편적 정서
인(仁)은 민첩한 감수성
안중근, 인(仁)으로 악(惡)과 대결
안중근 붓글씨는 인술(仁術)
저널리스트로서의 현실 감각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권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가톨릭대학교 프란치스코칼리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국 명대의 통섭형 유학자 이탁오의 『분서(焚書)』 연구로 동양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간신문 기자로 24년 일했다. 저서로 『뉴스의 비유 왜곡』, 『공자의 일상 공경: 논어 향당 편』, 『개념 잉태가 소통이다』, 『내 삶의 뉴스메이커』, 『류성룡 징비력』, 『논어신편: 새로 편집한 논어』, 『뉴스메이커 공자』, 『논어로 읽는 퇴계 언행 100구: 올바름이 이치입니까』, 『한글로 통하는 논어』, 『헤드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있다. 논문으로는 「매스미디어 뉴스에 나타난 유교의 인식과 이미지 연구」, 「위기의식과 철학의 정체성 검토」, 「호학의 관점에서 본 이지 분서의 문제의식」, 「이탁오에 관한 신문 기사의 분석과 평가」, 「현상학적 판단중지의 의의와 철학적 태도」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막말, 궤변, 오만, 독선, 혐오, 증오, 분노, 내로남불, 갈라치기, 편가르기, 이중잣대, 낙인찍기, 내편 네편, 세대 갈등, 남녀 갈등, 확증 편향, 진영논리, 냉소, 분열, 정치적 도덕적 부족주의, 이념 대립, 불신, 독단, 아전인수, 견강부회, 불통’ 같은 현상에는 말(언어) 문제가 놓여 있다. 대중사회는 언어로 연결된 언어 공동체이기 때문이다. 그 ‘연결 상태’의 맞고 틀림, 좋고 나쁨, 옳고 그름, 아름다움과 추함이 문제이다.
말은 이미 있는 현실을 비추는 기호가 아니라 현실을 이런 식으로 또는 저런 식으로 드러내고 규정한다. 현실이 혼란스러워 언어가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 동시에 언어가 혼란스러워 현실을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 수도 있다. 삶과 공동체의 질서는 언어의 질서와 깊은 관련이 있다.


‘꼰대질’, ‘꼰대 공포증’, ‘안티 꼰대’, ‘꼰대 정당’, ‘꼰대 감별사’, ‘꼰대 이미지 쇄신’, ‘젊은 꼰대’.
일상에서 자주 쓰기 때문에 매스미디어에 자주 등장하는지, 매스미디어에 자주 쓰기 때문에 일상에서도 자주 쓰는지 알기 어렵지만 꼰대라는 말이 너무 흔하게 쓰인다. ‘꼰대’는 매우 불편한 낙인(烙印, 불에 달구어 찍는 쇠도장) 같은 말이 되고 있다. 누군가 상대방을 꼰대라고 단정하면, 그 규정이 맞든 틀리든 옳든 그르든, 기분을 몹시 상하게 만든다. 이는 꼰대라는 말에서 받는 느낌, 즉 어감(뉘앙스)이 불쾌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꼰대는 ‘나이 든 늙은이’를 가리키는 속어였지만 그냥 속어가 아니라 비속어, 즉 상대방을 인격적으로 낮추는 말이다.
나는 꼰대라는 말을 접할 때마다 ‘꼰질꼰질(하는 짓이 너무 꼼꼼하고 갑갑한 모양)’, ‘꼴값(얼굴값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격에 맞지 아니하는 아니꼬운 행동)’, ‘꼴같잖다(생김새나 됨됨이가 같잖다)’, ‘꼴사납다(모양이나 하는 짓이 보기에 흉하다)’, ‘꼼수(쩨쩨한 수단이나 방법)’, ‘아니꼽다(비위가 뒤집혀 구역이 날 듯하다. 같잖은 언행이 눈에 거슬려 불쾌하다)’ 같은 말이 떠오른다. 이런 말들은 꼰대에서 연상되는 말이나 행동과 직접적으로,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늙은 사람이라고 했을 때 반드시 나이를 기준으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몇 살부터 늙은이 또는 노인이라고 규정하는 것이 적당한지는 명확하지 않다) 꼰대는 늙은이 또는 기성세대를 가리키는 특수한 말로 각인된 것은 분명하다. 그렇다면 꼰대라고 부르거나 규정하는 주체 또는 상대방은 젊은이 또는 젊은 세대가 된다. 어떤 세대가 다른 어떤 세대를 겨냥해 업신여기는 말로는 꼰대가 유일할 것이다.


‘인(仁)’이라는 말은 동양이나 서양 사회를 구분하지 않고 사람의 바람직한 성품으로서 가장 높은 차원일 것이다. 특히 동양에서는 오래전부터 사람됨의 시작은 인(仁)에서 시작해서 인으로 끝난다고 할 정도로 그 의미가 무척 컸다. 인(仁)을 주제로 하는 책이나 논문은 너무나 많아 헤아리기조차 어렵다. 그런데도 ‘인(仁)이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에 대해서는 동양철학을 전공했다는 나부터 선명하지 않다. ‘남을 사랑하고 어질게 행동하는 것’이라는 국어사전의 풀이는 막연하여 인(仁)의 특성이 구체적으로 와닿지 않는다. 어질다는 ‘마음이 너그럽고 착하여 슬기롭고 덕이 높다’라고 풀이하는데, 이 또한 두루뭉술한 인격을 말하는 것 같아 잘 와닿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인(仁)이라고 하면 공자와 맹자 등으로 대표되는 유학(儒學)이나 유가(儒家)를 떠올리기 쉽지만 인(仁)은 유학이 독점할 개념이 아니다.
인(仁)은 공자 시대보다 훨씬 앞선 『시경』과 『서경』에 나타나는 점으로 미뤄 뿌리가 매우 깊다. 『시경』에는 2회 언급되는데 모두 어떤 사람을 가리켜 “아름답고 멋진(美且仁. 미차인.)”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서경』에는 ‘훌륭한 인품을 가진 사람’이라고 할 수 있는 인인(仁人) 등 5회 언급된다. 『시경』과 『서경』에서 인(仁)은 특별히 강조되는 덕목이 아니라 ‘훌륭한 인품’정도로 간단히 언급되는 수준이다. 공자보다 200년 앞서는 『관자』라는 문헌(관포지교 고사의 주인공인 춘추시대 제나라 정치가 관중의 사상을 담은 책)에도 인의(仁義)는 올바른 사람됨의 성품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자연스럽게 쓰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8362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