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91170280200
· 쪽수 : 96쪽
· 출판일 : 2015-11-18
책 소개
목차
기획의 글
전승일
노순택
조습
김월식
임흥순
김황
이부록
김진주
다음 세대가 기억하는 민청련
-김병곤, 박문숙의 딸 은희
-이범영, 김설이의 딸 승민
-이을호, 최정순의 아들 준의
-김근태, 인재근의 딸 병민
-민주화운동청년연합 권형택
김근태
-불티나게 팔린 개성남비
-평화
-병곤이의 삶은 승리이고 완성이었습니다
-사슴의 영혼을 간직한 채 불꽃으로 살다 간 사람
저자소개
책속에서
<전쟁놀이>를 만든 2013년은 나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 상태가 매우 좋지 않을 때였다. 경희대병원 정신과에 두 차례 입원했었고, 거의 최악의 상태였다. 대개의 애니메이션은 1초 단위(혹은 그 이하)로 '콘티'를 만들고, 그에 기반을 두어 영상을 만드는데, <전쟁놀이>는 이러한 '콘티' 없이 만든 작품이다. 작업의 과정은 전쟁, 광기, 혼돈, 트라우마, 상처, 고통 등을 'Key Concept'으로 하여, 각종 신문과 잡지 등에서 이미지를 추출하여 이를 영상의 프레임 안으로 옮기고 뒤섞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일종의 '포토 콜라주'라고 할 수 있는 분절된 이미지들을 뒤섞는 이러한 작업은 특별한 시간 순서 없이 만들어졌고, 흐트러지고 얽히고 섞인 이미지들은 'Key Concept'을 시각화하였다.
-- 전승일
누군가 삶을 등진 뒤에 그의 산 모습이 담긴 사진을 찾으려 애쓰는 건 우리의 오래된 습관이다. 언젠가 김근태를 인터뷰했고, 먼 발치에서 여러 번 그를 봤으므로, 내게도 그를 담은 사진이 있으련만, 이상하게도 필름 더미에서 그의 사진을 찾을 수 없었다. 기어이 찾아내야 할 이유도 없긴 했다.
그러다가, 용산참사 3주기를 맞으며 그 사진들을 정리하다가 김근태를 만났다. 빗줄기가 내리치던 어느 날, 죽은 철거민의 가족들 뒤에 비옷을 입은 김근태가 조용히 앉아 있었다.
-- 노순택
이런 유령들이 아직도 유효하게 우리들 체내에 내재화되어 있고 이 시대를 무리지어 떠돌아 다닌다는 의심이 연작의 시발점이었다. 이번 전시 주제인 《포스트 트라우마》는 트라우마로서의 분단과 전이를 이야기하지만, 나는 현재 분단이 우리들 삶 그 자체라고 생각한다. 북한도 남한도 분단의 상황을 삶으로 살아가고 있지 않나 반문하고 싶다.
-- 조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