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85093017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3-06-24
책 소개
목차
1장 손바닥 뒤집듯 할 수 없는 감정
2장 상처의 황무지
3장 고문 그 후
4장 용서할 의무?
5장 분노, 분개, 원한
6장 살인 그 후
7장 영성으로서의 용서
8장 용서자 신드롬
9장 악마와의 대면
10장 다시 상상하는 용서
11장 용서하는 마음
12장 현자의 선물
역자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나의 관심사는 피해자들이 상처를 딛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또한 용기와 힘을 되찾고 영적·신학적 유대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일이다. 성서든 예배든 성찬례든 윤리든, 기독교는 용서라는 말로부터 벗어날 수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말하고 행하고 제안하게 될 진지한 사고인 신학과, 용서가 중요해보이지만 도저히 불가능한 상황 간에는 괴리가 있다. 나는 이 괴리를 아들을 잃은 그 어머니를 위로하려 할 때 가슴 깊이 경험했다. 그건 너무나도 고통스러운 일이었다. 이후 수년간 그때의 경험을 돌이켜보면서 내 나름대로 하나의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용서가 곧 고통이라는 것을! 용서는 결코 쉬운 해결책도 즉효의 처방도 아니다. 긴 시간이 걸리는 고통이다. 다만 그냥 고통이 아닌, 치유의 고통이다.
용서를 한다는 것은 이처럼 도덕적이면서도 개인적인 어려운 도전과 마주하는 일이다. 내 옆구리에 깊숙이 박힌 창을 내 손으로 뽑아내는 일이다. 내 도덕적 감수성, 내 자존감, 내 원칙, 내 희망인 내 속의 창자들을 절대로 다치지 않게 하면서 정말로 조심스럽게 빼내야 하는 일이다. 헬렌은 이를 “우리 안의 열정을 죽이는 열정”이라고 표현했다. 헬렌이 주장하는 열정은 내가 상처받거나 남이 상처받는 걸 보았을 때 감정적인 반응을 보이지 말라는 뜻이 아니다. 분노, 복수, 비통, 원한을 넘어서서 앞으로 나아가는 더 나은 방법을 찾으려는 열정을 말하는 것이다. 우리가 받은 상처에 평생 사로잡혀 있거나 우리를 다치게 한 자들에 의해 한계가 지워진다거나, 그로 인한 피해의식에 짓눌리고 꺾이지 않으려는 열정을 말하는 것이다.
로맥스의 아내는 나가세가 수기에 쓴 내용을 매우 불쾌하고 모욕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녀는 곧장 나가세에게 편지를 썼다. 편지에는 두 사람이 직접 만날 것을 제안하는 내용과 함께 이런 질문이 덧붙여져 있었다.
“‘용서받은’ 나가세 씨는 어떤 기분일까요? 전쟁포로로 붙잡혀 있던 내 남편은 아직 당신을 용서하지도 않았는데 말이에요.”
나가세는 편지를 받고 이렇게 답신을 보냈다.
“당신의 그 말씀이 죽비처럼 저를 내리쳤습니다. 저의 더럽고 추한 과거를 다시 상기시켜주었습니다.”
그 편지 말미에는 이런 말이 씌어 있었다.
“당신 편지가 비수처럼 제 마음 깊숙이 꽂혀 들어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