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85428604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0-11-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 당신은 완벽하진 않지만 사랑받을 만한 사람
PART 1 당신은 있는 그대로 사랑받을 만한 존재
1장 | 당신 스스로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는가
2장 | 자존감이 낮아지면 당신에게 생기는 일 들
자존감이 낮아질 때 당신이 느끼는 감정들
자존감이 낮아질 때 당신은 이렇게 행동한다
자존감이 낮아질 때 당신의 몸에 일어나는 변화들
자존감이 낮아질 때 당신이 일을 어떻게 대하는가
자존감이 낮아질 때 당신의 인간관계가 빠지는 함정들
3장 | 당신의 자존감을 떨어뜨리는 것들
부모가 정한 규칙이 당신을 옭아매고 있다
우리의 행동을 인격과 동일시하는 착각
부모의 기대와 다른 삶에 대한 소망
부모의 애정을 잃어버릴지도 모른다는 공포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
열등감은 비교 속에서 태어난다
칭찬을 아끼거나 꾸지람이 잦은 경우
실패와 좌절이 자신감을 위축시킨다
감정 표현을 지나치게 억눌렀을 때
별 뜻 없이 던진 말이 평생의 상처가 된다
부모도 불완전한 인간일 뿐
부모와 맺는 평화협정
PART 2 스스로를 사랑해야 다른 사람도 사랑할 수 있다
4장 | 자기 존중에서 자기 사랑으로
스스로를 존중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지금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될 필요 없다
스스로를 받아들이고 좋아한다는 것
스스로를 가장 좋은 친구로 대하라
스스로를 사랑해야 다른 사람도 사랑할 수 있다
5장 | 내면의 비판자, 친구인가 적인가
어린 시절 내면의 비판자는 친구이자 보호자
내면의 비판자는 왜 당신을 꾸짖는가
내면의 비판자가 하는 말을 믿지 말라
6장 | 자존감 향상은 어떤 기적을 가져왔나
자기 비하를 멈추다-크리스토프의 이야기
내면의 비판자가 아닌 친구를 만나라-시모네의 이야기
나 스스로에 이르는 여행-에리카의 이야기
PART 3 나 자신과 진정으로 화해하는 법
7장 | 내면의 비판자를 길들이는 26가지 연습
나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중단시키라(연습 1-3)
내면의 비판자를 존중하되, 무시하라(연습 4-8)
자신의 부정적인 면과 화해하고 장점 발견하라(연습 9-19)
매일매일 스스로를 기분 좋게 만들어주라(연습 20-26)
스스로에게 좋은 교사이자 친구가 되어주라
8장 | 자신의 몸과 화해하라
거울을 보는 시선을 바꿔라
당신의 몸과 화해하라
나가며 | ‘나’라는 가장 좋은 친구를 만나러 가는 길
역자후기 | 나를 받아들이기 위한 주문, “생긴 대로 살자”
리뷰
책속에서
스스로에 대해 안 좋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이나 말을 자신에 대한 거부나 비판으로 생각하기 쉽다. 주변 사람들도 자신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할 거라고 지레 짐작하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이런 호감 가지 않는 나를, 완벽하지 않는 나를 좋아할 수 있겠는가라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자신을 거부하는 사람들은 계속해서 스스로 위험에 처해 있으며, 공격당했고, 피해를 입었으며, 상처를 받았다고 느낀다. 그 결과 쉽게 모욕감을 느끼고 마음 상해하며, 섣불리 상심하고 아파한다.
(2장 ‘자존감이 낮아지면 당신에게 생기는 일 들’ 중에서)
자신의 행동 때문에 부모에게 더 이상 사랑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아이는 부모의 감정적 거부를 생명의 위협으로 생각한다. 그리하여 부모의 말을 가슴에 새기고 또다시 거부당하지 않도록 부모의 규칙을 받아들인다.
내면의 비판자는 바로 이렇게 태어난다. 사랑의 박탈이나 벌을 피하기 위해 아이들은 해야 할 것과 해서는 안 되는 것들을 내면화시킨다. 아이들은 속으로 이렇게 말한다.
“그런 행동 하면 안 돼.”
“그런 말을 해선 안 돼.”
“그건 나쁜 거야.”
그리하여 우리는 잘못을 저지르거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했을 때 부모가 우리를 꾸짖듯, 우리 자신을 꾸짖는다.
(3장 ‘당신의 자존감을 떨어뜨리는 것들’ 중에서)
우리는 어리석게도 타인의 사랑이 우리가 사랑받을 만하다는 증거라고 믿는다. 이것은 치명적인 오류이다. 타인의 좋은 평가를 잃어버리면, 그 결과가 어떻게 되겠는가? 도로 가치 없고 열등하다는 느낌으로 돌아가 버릴 것이다. (중략) 자꾸 스스로를 확인받고자 하는 것은 다름 아닌 낮은 자존감과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는 상태를 드러내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의 인정과 사랑 없이는 살 수 없다고 확신한다면, 다른 사람들이 떠날까 봐 크게 두려워하게 된다. 이런 두려움은 어쩔 수 없이 스스로를 희생양이 되게 하고 타인에 대한 종속으로 이어진다.
우리가 스스로를 열등하게 느끼면 파트너와 주변 사람들을 진정으로 사랑할 수 없다. 늘 사랑을 확인하려고만 하기 때문이다. 스스로를 거부하면 우리는 진정한 인간관계를 맺을 수 없다.
(4장 ‘자기 존중에서 자기 사랑으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