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91185571119
· 쪽수 : 103쪽
· 출판일 : 2019-07-25
책 소개
목차
학문 수준이 정치 현실을 구성하는 근본 요소
진정으로 의미 있는 실전적 처방은 철저히 이론적 탐색에
진보 보수의 갈등 핵심에 국가 실체와 역사적 상황에 대한 무지
아이러니, 절대적 비규정성
체계적인 역사의식 정립 부재, 보수 지리멸렬의 근본 원인
한국의 보수와 진보 : 향락주의와 범속한 출세주의,
그리고 허구와 위선의 도덕주의
여의도 정치구조, 진보와 보수 기득권화
품격·식견·능력의 정치적 프로페셔널리즘 출현할 때
근대적 교양층 형성, 개인주의적 사상 개화 중
3.1운동 100주년, 민주주의 100년
한국의 진보, 미묘한 차이와 뿌리
진정한 진보 보수와 사이비 집단 구분해야
큰 그림 그리는 정치 집단과 지식인 집단에 대한 갈망
보수와 진보, 우파와 좌파
보수와 진보 대립의 진정한 극복, 새로운 이상의 국가 정체성
정치의 경륜과 식견은 국가의 학문의 깊이
한국 근대 정신사 연구의 과제
철인왕, 대중, 민주정치
책속에서
“ … 한국의 보수는 결코 서구의 정치이론이나 서구의 보수 이념으로 기계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역사 및 정신사의 맥락을 통해서만 그 진정한 실체가 파악될 수 있으며, 또한 그러한 맥락에서 국가생활의 미래를 구상하고 기획할 때 스스로의 이념적 정체성을 정치적 현실과 조화롭게 정립하면서 국민들의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있 는 것입니다. 다만 그러한 작업은 정치적 구호를 양산하는 수준의 작업을 결코 아니며, 역사와 현실에 대한 깊은 성찰이 요구되는 어려운 과업이라는 사실을 제대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앞에서 보수와 진보의 문제를 포함하여 정치현실의 문제는 단지 실천의 문제가 아니며 이론과 실천의 종합 노력이 요구됨을 강조하였습니다. 처음의 얘기로 돌아가면, 현실 속에서 발생하는 인간의 삶이나 행동에 대한 깊은 관심과 이론적 성찰을 떠난 학문은 존재할 수 없으며, 실천하고 행동하는 사람들은 스스로의 실천 및 행동의 바탕이 되는 이론에 대해 끊임없이 새롭게 이해하려 노력하고 그 이념의 근거에 대해 끊임없이 새롭게 성찰하는 노력이 없을 때 행동은 고식 적이 되어 현실성을 잃거나 독단적이 되어 정치적 행위는 맹목적인 종교적 숭배 의식이 되고 맙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