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보수주의와 보수의 정치철학

보수주의와 보수의 정치철학

강정인, 이완범, 김비환, 양승태, 조경란, 신충식, 설한, 최치원, 장의관, 김동하, 장인성, 김명하 (지은이)
이학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9,600원 -10% 980원 16,660원 >

책 이미지

보수주의와 보수의 정치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보수주의와 보수의 정치철학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61471800
· 쪽수 : 506쪽
· 출판일 : 2013-07-20

책 소개

정치사상총서 시리즈, 제4권. 사회의 기득권층, 지배층과 강력하게 결합하여 장구한 시간 동안 특정 사회―특히 해방 이후 한국 사회―의 지배적 이념이 된 보수와 보수주의에 대하여 그 역사와 의미, 정치철학을 탐구하는 책이다.

목차

머리말_양승태

제1부 보수주의의 정치철학적 기초
1장 인간 본성, 정치 그리고 보수주의_설한
2장 아르놀트 겔렌의 현상학적 인간학과 보수주의의 기원에 대한 고찰_신충식

제2부 한국 보수주의의 역사와 이념
3장 한국 보수 세력의 계보와 역사: 전통 보수주의와 신보수주의, 1945~1979_이완범
4장 개혁적 민주 정부 출범 이후(1998~) 한국의 보수주의: 보수주의의 자기 쇄신?_강정인
5장 한국에서 보수주의의 의미에 대한 하나의 해석_최치원

제3부 유럽의 보수주의
6장 영국 보수주의 사상의 형성과 진화: '변화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_김비환
7장 미국 신보수주의의 이론적 구성과 한계_장의관
8장 독일 바이마르 시기의 '보수 혁명' 담론과 정치의 우선성: 국가, 시장,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_김동하

제4부 동양의 보수주의
9장 현대 중국의 신보수주의의 출현과 유학의 재조명_조경란
10장 현대 일본의 보수주의_장인성
11장 동양적 사유에 나타난 보수주의_김명하

맺는말: 한국의 보수주의, 무엇을 지킬 것인가?_양승태

각 장에 대한 안내 및 각 장이 처음 게재된 학술지
지은이 소개

저자소개

강정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대 졸업(1977)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 분교 정치학 박사(1987)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1989-2020) 저서 : 『자유민주주의의이념적초상』(1993), 『소크라테스, 악법도법인가?』(1994),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2004), 『넘나듦의 정치사상』(2013), 『한국 현대 정치사상과 박정희』(2014), 『교차와 횡단의 정치사상』(2019 : 편저) 역서 : 『플라톤의 이해』(1991), 『마키아벨리의 이해』(1993), 『홉즈의 이해』(1993), 『마르크스에 있어서 필요의 이론』(1990), 『현대 민주주의론의 경향과 쟁점』(1994 : 공역), 『로크의 이해』(1995 : 공역), 『로마사 논고』(2003 : 공역), 『군주론』(2008 : 공역)
펼치기
이완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사회과학부 교수, 정치외교학 전공. 광복 이후 한국현대사의 흐름을 성공이나 실패로 보는 양극단의 시각을 지양하며 ‘성찰적 자부 사관’의 관점을 표방해온 저자는 100여 편이 넘는 논저를 저술하였으며, 대표 논저로는『카터시대의 남북한』(2017), 『한반도 분할의 역사』(2013), 『38선 획정의 진실』(2001), 『한국전쟁: 국제전적 조망』(2000), 『박정희와 한강의 기적: 1차 5개년계획과 무역입국』(2006), 『한국 해방 3년사: 1945~1948』(2007), 『해방전후사의 인식』 3·4·6(공저, 1987~1989) 등이 있다.
펼치기
김비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부터 2023년까지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재직하였고, 현재는 명예교수로서 현대 정치사상과 민주주의 이론을 강의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사유재산의 정치철학』, 『개인적 자유에서 사회적 자유로』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양승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전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 턴대학교에서 밀(J. S. Mill)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독일 튀빙엔대학교 철학부 및 고전학부와 미국 브라운대학교 고전학부에서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한국정치사상학회 초대 및 2대 회장,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을 역임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이다. 저서로는 『소크라테스의 앎과 잘남: 대화, 아이러니, 시민적 삶, 그리고 정치철학의 태동』, 『대한민국이란 무엇인가: 국가 정체성 문제에 대한 정치철학적 성찰』, 『우상과 이상 사이에서: 민주화 시대의 이데올로기들에 대한 비판적 성찰』, 『앎과 잘남: 희랍 지성사와 교육과 정치의 변증법』 등이 있고, 역서로는 레오 스트라우스의 『정치철학이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그 밖에 ‘의사변증법과 의사실천적 윤리학’, ‘맥퍼슨에서 로크로, 그리고 로크를 넘어서’, ‘미개적 대동, 문명적 대동, 소강, 그리고 정치적 이상의 역사적 진화론’, ‘새바인의 정치사상사 이념 연구 서설’ 등 정치철학 및 동서양 정치사상사에 관련된 다수의 논문이 있다. 동서양 철학사 및 정치사상사에서 변증법 이념의 발전, 국가 정체성 문제에 대한 정치사상사 및 정치철학적 탐색 등이 주요 연구 주제이다.
펼치기
조경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에서 중국 현대사상과 동아시아 현대사상을 연구하고 있다. 총리실 산하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특별위원회 위원,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을 지냈다. 『중앙일보』, 『주간동아』 등 칼럼니스트를 지냈다. 홍콩 중문대학교에서 포닥, 북경대 초빙교수, 절강대학 방문학자를 지냈다. 논문으로 「AI 시대, ‘레드차이나’와 ‘디지털 레닌주의’ - 이중의 감시 체계: ‘디지털차이나’와 ‘센티널차이나’」, 「중국의 ‘메타서사’와 소프트파워의 딜레마」 등이 있다. 단독저서로는 『현대중국 지식인 지도』, 『20세기 중국 지식의 탄생』, 『국가, 유학, 지식인』 등이 있다. 공저로 『보수주의와 보수의 정치철학』 등 다수가 있다. 대한민국 학술원, 열암철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신충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정치철학을 공부하고 미국 뉴스쿨 사회과학대학원 철학과에서 타자성과 시간 현상학에 관한 논문 “The Living Present and Otherness”(2005)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쳐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현상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현상학, 해석학, 정치 이론, 공직 윤리, 교양 교육이다. 최근 논문으로 〈슈미트와 하이데거: ‘정치현상학’의 가능성 모색〉, 〈책임의 역설과 행정악行政惡의 문제〉, 〈해석학으로서 행정학의 가능성에 대한 검토〉, 〈아렌트의 초기 시간 분석과 이웃사랑의 가능성〉, 〈아렌트의 ‘정치적 사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가다머와 아렌트: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네시스’〉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 《보수주의와 보수의 정치 철학》(공저), 《생태 문명 생각하기》(공저), 《공직 윤리》(공저) 등이 있고 《인간을 인간답게》, 《다른 하이데거》 등을 번역했다.
펼치기
설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치철학 전공. 서울대학교 철학과(미학전공)를 졸업하고 피츠버그대학(University of Pittsburgh)에서 정치학 석사,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 관심 분야는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민주주의, 다문화주의, 세계화 등을 핵심주제로 하여 서로 연계된 현대 정치철학 관련 제 문제들이다. 주요 연구성과로는 「주디스 슈클라(Judith Shklar)의 정치적 자유주의: ‘공포의 자유주의’를 중심으로」(2017), 「다원주의 사회의 민주적 시민권: 권리와 의무」(2015), 「배리(B. Barry)의 다문화주의 비판과 평등주의적 자유주의」(2014),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퇴조 원인 분석: 문화 개념과 규범성 문제를 중심으로」(2014), <좋은 삶의 정치사상>(공저, 2014), <보수주의와 보수의 정치철학>(공저,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최치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브레멘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평화연구소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치사상·철학 일반, 인간과 정치, 동서 비교 정치사상 등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베버(Max Weber)와 아렌트(Hannah Arent)의 정치철학과 방법론, 정치 현실 및 과정에 대한 사상적, 역사적 해석, 한국과 동아시아의 민주주의와 평화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미완의 근대기획'으로서 동북아시아: 계몽, 지식과 과학·기술의 의미 그리고 혼돈과 오류 성찰」(2013), 「종교문화적으로 이해된 막스 베버의 유교윤리에 대한 정치이론적 해석」(2012), 「칸트와 회페의 세계공화국 개념 고찰」(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장의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카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립통일교육원 교수와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및 정책대학원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는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에 재직 중이다. 주 전공 분야인 정치 이론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 저술이 있으며, 일반인을 위한 인문교양 저서인 『청소년을 위한 생각하는 사회』 『흥부의 딜레마: 흥부전과 사회 철학의 만남』 등을 집필했다.
펼치기
김동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서양 정치사상사와 현대 민주주의 이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정치 통합 문제, 정치와 종교의 관계, 사회적 소수자의 인정 문제 등이다. 저서로는 독일의 Koenigshausen & Neumann 출판사에서 출간된 Anerkennung und Integration: Zur Struktur der Sittlichkeit bei Hegel(2011), 『보수주의와 보수의 정치철학』(2013, 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헌법'과 통합의 정치: 헤겔 '법철학'의 현재성 옹호를 위한 요소들」(2013), 「시민종교와 정치통합: 헤겔의 규범적 통합이론의 문화론적 재구성」(2012), 「독일 바이마르 시기의 '보수혁명' 담론에 나타난 국가, 시장, 민주주의」(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장인성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에서 학술박사(국제관계론 전공)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동아시아의 정치사상과 국제 관계를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동아시아 국제사회, 근대 동아시아 정치사상, 한국 외교사 등이다. 저서로 『메이지유신』(2007), 『근대한국의 국제관념에 나타난 도덕과 권력』(2005), 『장소의 국제정치사상』(2002)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현대일본의 애국주의」(2013), "The Social Construction of an East Asian Community and Regional Culture"(2012), 「3.1운동의 정치사상에 나타난 '정의'와 '평화'」(2009) 등이 있다.
펼치기
김명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경북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로 한국 정치사상, 중국 정치사상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천인관계 및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둘러싼 문제들이다. 저서로는 『한국정치사상사』(2005), 『장자사상의 이해』(2003), 『중국 고대의 정치사상』(1997) 등이, 논문으로 「고대 중국정치사상에서의 보수와 진보」(2013), 「묵가 정치 이론에서의 국가와 권력」(2007), 「한국 상고대 정치사상에서의 천인관계」(2002)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1472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