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개발협력의 세계정치

개발협력의 세계정치

박성우, 박종희, 김지영, 김부열, 이정환, 여유경, 최정훈 (지은이), 서울대학교국제문제연구소 (엮은이)
사회평론아카데미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개발협력의 세계정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개발협력의 세계정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85617749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6-04-29

책 소개

세계정치 시리즈 24권. 본 특집호는 개발협력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국제정치학과 국제사회의 변화에 미칠 영향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차

서 문 박종희

제1장 글로벌 분배적 정의의 관점에서 본 해외원조의 윤리적 토대
I. 서론: 해외원조와 글로벌 정의
II. 분배적 정의의 글로벌 확장과 해외원조
III. 해외원조 의무에 대한 최소주의적 접근: 내이글과 밀러의 논의를 중심으로
IV. 해외원조에 대한 평등주의적 접근: 베이츠와 캐이니의 논의를 중심으로
V. 결론

제2장 국제개발협력의 기원과 구조적 변화 ? 연속성과 불연속성
I. 서론
II. 모겐쏘 원조이론의 패러독스
III. 국제개발협력의 기원
1. 영국의 식민지발전법
2. 트루만의 포인트포 프로그램(The Point Four Program)
III. 국제개발협력의 구조적 변화: 도구에서 목적으로
1. 국제원조의 주인-대리인 문제
2. 위임실패와 그 보완: 원조효과성 논쟁
IV. 결론

제3장 국제개발협력 레짐 변천사 김지영
I. 서론
II.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
III. 국제개발협력 변천사
1. 1940-1950년대: 미국 주도의 공산주의 팽창 억제 수단으로서 원조
2. 1960-1970년대: 빈곤 및 인간의 기본적 욕구 해소를 위한 원조
3. 1980-1990년대 초기: IMF와 세계은행의 신자유주의 경제 구조조정 시기
4. 1990년대 말 이후: 빈곤의 부활과 원조 효과성 논의 부상
IV. 국제개발협력 레짐 변화의 특징
1. 공여기관 주도의 원조 역사
2. 공여국의 이익 vs. 수원국의 지속적 발전
3. 공여기관의 부상 및 등장과 레짐 변화
V. 결론

제4장 국제개발협력 거대담론으로부터의 탈출 ? 효과성 평가 방법론을 중심으로
I. 서론
II. 원조옹호론과 원조비관론
III. 효과성 평가: 거대담론으로부터의 탈출
IV. 가상결과모델(Potential Outcome Model)
V. 무작위통제실험 기반 효과성 평가 사례
1. 케냐 말라리아 모기장 보급 연구사례
2. 인도 발사키 보충학습 프로그램(Balsakhi Remedial Tutoring in India)
VI. 무작위통제실험 평가방법론의 한계
VII. 무작위통제실험 기반 효과성 평가의 확산
VIII. 결론

제5장 일본 정부개발원조의 보편주의적 이상과 특수주의적 현실 ? ‘이익선’과 ‘인간안보’ 사이에서
I. 일본의 국제공헌과 정부개발원조
II. 냉전기 일본 정부개발원조의 중상주의적 성격: 이익선 사고의 연장선
1. 전후배상에서 개발수입으로
2. 아시아 중심성과 유상원조 중심성
3. 중상주의적 민관협동의 정착
III. 1990년대 일본의 인간안보 규범 수용
1. 탈냉전 시대 일본의 국제적 역할에 대한 고민
2. 일본에서 ‘인간안보’ 개념의 대두
3. ‘인간안보’ 관점에서의 정부개발원조 정책의 변화
IV. 2000년대 이후 일본 정부개발원조의 특수주의로의 회귀
1. 해외시장 창출로서의 정부개발원조 의미 강화
2. 정치적 보수화와 인간안보의 의미 변화
V. 결론

제6장 중국식 개발원조의 등장 ? 역사적 변화와 특색
I. 중국 대외원조를 어떻게 볼 것인가?
II. 중국 대외원조 레짐의 역사적 진화
1. 초기단계(1950-1963년)
2. 발전단계(1964-1970년)
3. 급변기(1971-1978년)
4. 조정과 초기개혁(1979-1994년)
5. 개혁의 심화(1995-2010년)
III. 사례연구: 아프리카
1. 직접투자와 해외경제특구를 통한 개발원조
2. 기업주도의 원조와 투자
3. 중국-아프리카 발전기금(中非?展基金有限公司)
4. 상무부 주도의 대외원조
IV. 맺음말: 도전과 과제

자유주제
제7장 메이지 전기 국가이성과 반국가이성 ? 국가 폭력의 정당화 담론을 중심으로 한 일 고찰
I. 서론
II. 1880년대 국가 폭력 정당화의 몇 가지 유형
1. 이익 추구와 국가이성의 논리
2. 이익론과 의리론의 혼효
3. 도덕주의·반국가이성론의 제기
4. 국가이성론의 대응
III. 청일전쟁 국면 사회 담론장의 대립
1. 혼효된 이익·의리론의 전개
2. 의협론·반국가이성론의 재등장
3. 국가이성론의 대응
IV. 청일전쟁 국면에서의 정부의 이중적 정당화
V. 결론

저자소개

박성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아렌트, 니체, 스트라우스의 관점에서 플라톤 정치철학을 재조명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앙대학교 조교수, 부교수를 지냈다.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고, 서울대학교 국제정치사상센터장을 맡고 있다. 연구 분야는 고전정치철학과 국제정치사상이며, 양 분야의 학제적 결합을 모색하는 연구 영역도 개척하고 있다. 단독 저서로는 ≪국가: 플라톤≫(2022), ≪영혼 돌봄의 정치: 플라톤 정치철학의 기원과 전개≫(2014)가 있으며, 책임 편집한 책으로 ≪동굴 속의 철학자들≫(2021), ≪정치사상사 속 제국≫(2019) 등이 있다. 스트라우스와 관련된 논문으로 “스트라우스의 니체 해석을 통해 본 스트라우스 정치철학의 의도”, “레오 스트라우스의 플라톤주의”, “이라크 전쟁의 레오 스트라우스 책임론에 대한 정치철학적 비판” 등이 있다.
펼치기
박종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2007년 워싱턴대학교(세인트루이스)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고 시카고대학에서 정치학과 조교수로 근무했으며 2012년부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에서 국제정치경제와 사회과학 방법론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주제로는 국제무역, 경제안보, 베이지안 사회과학 방법론, 선거여론조사에 대한 메타분석, 국제뉴스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실험방법을 이용한 외교정책 태도 연구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사회과학자를 위한 데이터 과학』, 『정치학 방법론 핸드북』(편), 『개발협력의 세계정치』(편)가 있으며 국내외 주요 저널에 다수의 논문(http://jhp.snu.ac.kr 참조)을 발표한바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경제안보클러스터 연구책임자와 국제문제연구소의 국제정치데이터센터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김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Soongsil University)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미국 캘리포니아 어바인 주립대학교 정치학 박사
펼치기
김부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KDI 국제정책대학원(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교수 한동대학교 경영경제학부 학사, 미국 콜롬비아대학교 개발학 박사
펼치기
이정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국제학부(Schoo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Kookmin University)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미국 캘리포니아버클리대학교 정치학 박사
펼치기
여유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국제대학 국제학과 교수다. 미국 메릴랜드대학-컬리지파크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홍콩시립대학에서 조교수를 역임했으며, 하버드대학교 페어뱅크 중국연구센터에서 방문학자로 활동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정치경제, 중국 외교경제 정책, 동아시아 국제관계, 글로벌 거버넌스와 중국이다. 대표 저서로 Varieties of State Regulation: How China Regulates Its Socialist Market Economy(Cambridge: Havard University Press, 2020)가 있다.
펼치기
최정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학사,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외교학전공 석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