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석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융합고고학과 교수, 북방문화유산연구소 소장. 발해와 북방고고학을 공부하고 있다. 국립모스크바대학교 고고학과 석사 및 박사. 해외에서는 고대 루시 유적(1994), 스키타이 쿠르간(1996), 아무르강 유역 신석기시대 유적(2000~2002), 연해주 발해유적(1995, 2003~2008, 2011~2016, 2018) 등의 발굴조사에 참여하였다. 대표 저서로 『북방유라시아대륙의 청동기문화』(학연문화사, 2004), 『크라스키노 발해성-발굴 40년의 성과』(동북아역사재단, 2021, 공저), 『발해유적총람 Ⅰ-Ⅳ』(예지안, 2023, 공저), 『몽골의 역사와 유적』(예지안, 2024) 등이 있다. 러시아 연해주, 아무르, 시베리아, 알타이, 몽골,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탄, 튀르키예, 중국 길림성, 흑룡강성, 요녕성 등의 역사 및 고고학 유적을 답사하였으며, 자연을 느끼고 자연과 하나가 되는 것을 좋아한다.
펼치기
백종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통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및 박물관장
『안시성, 기록과 기억』(공저, 역사공간, 2023), 『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과 유물 I~X』(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2022), 『충주 고구려비 어제와 오늘』(공저, 서경문화사, 2022), 『요하유역의 청동기문화와 고조선』(지식산업사, 2018), THE HISTORY AND ARCHAEOLOGY OF THE KOGURYO KINGDOM(공저, HAVARD UNIVERSITY, 2016), 『발해유적사전』(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고구려와 중원문화』(공저, 주류성, 2014), 『고구려 기와의 성립과 왕권』(주류성, 2006)
펼치기
김진광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박사(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사전편찬부 문화콘텐츠편찬실장.
연변대학 발해사연구소 객원연구원 역임.
주요 저서: 『해동성국, 고구려를 품은 발해』, 『당으로 간 고구려·백제인』, 『일제 강점기 간도 발해유적 조사』 외 다수.
펼치기
이병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원대학교 실내건축과 교수, 건축이론ㆍ역사 전공.
펼치기
전현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안동대학교, 한남대학교, 계명대학교 강사 역임
현재 가톨릭대학교 강사
국립청주박물관 의생활 부문 교육강사
펼치기
김진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사학과 강사이다. 저서 및 논문으로 『고구려 후기 대외관계사 연구』(한국 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 「8세기 신라의 대발해(對渤海) 인식 변화와 그 배경: 북적(北狄)에서 북국(北國)으로」(『한국학』 171, 2023), 「무왕대 발해·당 전쟁에 대한 재인식」(『한국문화』 99, 2022), 「1~4세기 고구려 대왜인식의 형성과 변화-동아 시아 국제정세의 변동과 관련하여」(『국학연구』 48, 2022)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