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86440759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2-03-25
책 소개
목차
서문
광주 인문 지도
제1부
도도히 흐르는 광주정신
1. 한국 민주주의의 촛불, 5·18민주화운동
2. 산자여 따르라, 망월묘지
3. ‘학생의 날’이 11월 3일인 이유
4. 독립운동의 시작, 호남 의병
5.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 운주사와 조광조
6. 한 사람의 소유가 되지 않도록 하라, 소쇄원의 유훈
7. 광주공동체의 뿌리, 광주향약와 양과동동약
8. 광주정신의 상징, 김대중컨벤션센터
제2부
도시의 역사, 역사의 도시
1. 광주인은 어디에서 살았을까? 영산강과 광주천
2. 남도의 중심이 되다, 도시 광주의 성장사
3. 길 위의 인문학, 조선시대 누정
4. 광주의 관문이 된 철길의 역사
5. 광주 근대의 요람, 양림동
6. 사라진 역사와 공간, 경양방죽과 광주읍성
7. 광주 최초의 도시공원, 광주공원
8. 옛 광주의 나들목, 서창마을
제3부
도시 산책
1. 광주 사람들의 등대, 무등을 걷다
2. 구도심의 중심, 충장로
3. 광주송정역과 역사를 같이 한, 송정역시장
4. 뜨거운 삶의 현장, 전통시장
5. 민주화운동의 성지, 전남대학교
6. 도심 재생의 원조, 푸른길공원
7. 광주의 경리단길, 동명동
8. 청년과 주민의 만남, 청춘발산마을
9. 도시공동체를 꿈꾼다, 문산마을
10. 전국 유일 단관극장, 광주극장
제4부
남도의 맛과 풍류
1. 남도 음식의 집합, 한정식
2. 광주 맛의 진수, 김치
3. ‘광주 오미’에 도전하는, 상추튀김
4. 어머니가 좋아하시는, 송정떡갈비
5. 광주에서 꼭 먹어야 할 고기, 생고기
6. ‘오매’ 광주, ‘거시기’한 전라도말
7. 판소리계 아이돌, 쑥대머리 임방울
8. <바윗돌>부터 <임을 위한 행진곡>까지, 육자배기토리
9. 마을굿의 진화, 칠석동 고싸움
제5부
기억해야 할 인물
1. 조선 왕의 멘토, 기대승
2. 의로운 집안, 김덕령 家
3. 한센인과 결핵 환자의 아버지, 최흥종
4. 남종화의 마지막 거목, 허백련
5. 한국 YWCA 설립자, 김필례
6. 광주의 어머니, 조아라
7. 나 두 야 간다, 용아의 꿈
8.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들불열사
부록
‘걸어서 광주 인문여행’ 추천 코스
#1 민주와 인권을 찾아가는 길
#2 전남대 교정 산책, 민주길
#3 광주 근대를 찾다, 양림역사문화마을
#4 도심에서 만나는 숲길, 푸른길
#5 가사문학을 찾아가는 길
#6 무등산을 걷다
#7 안전하고 아름다운 광주천 자전거길
#8 자전거로 달리는 화려광산길
#9 광주의 둘레길, 빛고을산들길
찾아보기_키워드로 읽는 광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무등산과 영산강이 없었다면 광주라는 도시가 가능했을까? 불가능했을 일이다. 광주에 머물렀던 선사인들의 흔적은 영산강변에 있다. 씨를 뿌려 농사를 짓고 도구를 만들고 옷과 집을 지어서 살았다. … 새로 들어선 상무지구나 수완지구, 첨단지구 역시 영산강 상류에 만들어진 도시들이다. 무등산 안으로도 도시는 확대되었다. 호환을 두려워했던 곳에 아파트가 들어섰다. | <서문>
광주에서 가장 넓은 도로였던 8차선 금남로. 145만여 명이 거주하는 광역시의 그 길은 지금 넓지 않다. 은행과 증권회사, 백화점과 언론사, 극장들이 모여 있던 그곳을 지금은 ‘유네스코 민주인권로’라 부른다. 그 정점은 ‘5·18민주광장’이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들이 모여 대성회를 했던 도청 앞 분수대 광장이다. | <5·18민주화운동>
1929년 11월 3일은 일왕의 생일을 축하하는 기념일인 명치절로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날이었다. 광주역에서의 충돌은 경찰과 교사에 의해 중단되었지만 가두시위가 이어졌다. 일본 순사들은 칼을 들고 시위대를 진압하며 위협했다. 독서회 지도부는 흥학관에 모여 학생들의 시위를 단순한 패싸움이 아니라 ‘독립투쟁, 반일운동’으로 전환할 것을 결의했다. | <‘학생의 날’이 11월 3일인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