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6463475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0-03-0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교사는 교육평가로 성장한다
1부. 교육평가의 출발점: 교.사.성.장
01. 우리는 매일매일 성장한다
02. 교육평가의 근본적인 기능은 티칭이다
03. 학생평가의 키워드: 측정, 평가, 총평
04. 교수학습평가의 3가지: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05. 형성평가와 피드백은 수업을 풍성하게 한다
06. 수업계획-수업성찰-학습성찰의 구조를 디자인하라
2부. 교육과정 문해력은 평가의 핵심이다
01. 교육과정 문해력과 성취기준, 그것이 알고 싶다
02.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관계가 핵심이다
03. 교과별 수행평가의 성취기준에 주목하라
04. 평가기준, 성취기준의 중심에는 참조근거가 있다
05. 참조근거에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를 더하다
06.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를 위한 수업사례
07. 같은 뜻, 다른 느낌? 상대평가와 규준참조평가
08. 규준참조평가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라
09. 규준참조평가의 핵심은 변별력에 있다
10. 같은 뜻, 다른 느낌? 절대평가와 준거참조평가
11. 준거참조평가의 영역과 목표를 파악하라
12. 준거참조평가의 핵심은 학생의 성취기준이다
3부. 서술형과 논술형 시대를 준비하라
01. 교육평가의 양호도 = 신뢰도 + 타당도
02. 신뢰도와 타당도가 중요한 이유: 교육평가의 철학
03. 문항의 일관성을 체크하라
04. 평가문항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05. 평가문항의 제작원리를 이해하라
06. 평가문항의 특성을 고려하라
07. 검사개발을 어떻게 할 것인가?
08. 검사개발의 원리를 이해하라
09. 교사가 만드는 검사개발의 마침표, 이원목적분류표
10. 이원목적분류표를 기준으로 시험문제를 만들어라
11. 결국 평가의 핵심은 서술형과 논술형이다
12. 과정중심평가를 반영하는 서술형, 논술형 문항은 따로 있다
13.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담은 좋은 문항을 개발하라
4부. 교육평가의 베이스캠프, 수행평가와 과정중심평가를 주목하라
01. 수업의 전문성은 수행평가로 피어난다
02. 수행평가의 시기와 성격을 분석하다
03. 현장에서 활용하는 수행평가와 교수·학습의 하모니
04. 교육평가의 패러다임, 과정중심평가에 주목하라
05. 과정중심평가, 수업의 과정과 피드백을 담다
06. 교사의 전문성을 완성하는 세 글자: 피.드.백
│에필로그│ 교육평가를 완성하는 것은 교사입니다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수업 및 평가개선 전략을 수립하는 일은 학교교육의 전반적인 질을 높이기 위한 핵심 중 하나다. 학교교육의 질은 학습자들의 다양한 특성에 반응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통해 실행되어야 하며, 결국 학습의 수월성과 형평성을 높일 수 있는 양질의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이 그 질적 수준을 판가름하는 가늠자가 된다.
- <1부. 교육평가의 출발점: 교.사.성.장>
성취기준을 왜 알아야 할까?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첫 번째 이유는 학교 평가의 주목적이 학생의 교육목표 도달도 확인에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성취기준이 수업과 평가를 잇는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는 데 있다.
- <2부. 교육과정 문해력은 평가의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