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6463703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4-03-1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교육과정 수업 평가, 모든 것이 여기 있었네
1부. 교사가 가장 궁금해하는 교육과정 수업 평가 기초
1. 수업이 바뀌면 평가가 바뀐다. 진짜 그럴까?
2. 수업과 평가를 바라보는 2가지 갈래, 규준참조 vs 기준참조
3. 수업과 평가 변화의 핵심, 기준참조교육
4. 기준참조 교육과 평가: 실제 수업을 공개합니다
5. 세상에서 가장 쉬운 교수평기 일체화
6. 실제 수업으로 알아보는 과정중심평가
2부. 연구부장도 궁금해하는 성취기준, 평가기준 사용설명서
1. 최무연의 도장 깨기: 의외로 잘 모르는 ‘○○기준’ 사용법
2. 성취기준의 탄생
3. 성취기준이란 무엇인가요? 키워드로 알아보는 성취기준
4. (성취기준 사용설명서 1) 성취기준 분석은 어떻게 하는 건가요?
5. (성취기준 사용설명서 2) 통합성취기준은 무엇이고, 어떻게 만드나요?
6. (평가준거 성취기준 사용설명서)
평가준거 성취기준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는 건가요?
7. (평가기준 사용설명서) 평가기준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는 건가요?
3부. 과정중심평가와 교수평기 일체화의 핵심, 채점기준표
1. 채점기준표는 무엇인가요?
2. (채점기준표 사용설명서 1) 성취기준 vs 평가기준 vs 채점기준표 제대로 알기
3. (채점기준표 사용설명서 2) 채점기준표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4. 채점기준표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나요?
5. 총체적 채점기준표는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나요?
6. 분석적 채점기준표는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나요?
7. 채점기준표를 개발하는 완벽한 방법
8. 채점기준표를 개발하는 6단계 비법
9. 채점기준표로 어떻게 채점할 것인가?
10. 채점기준표를 활용한 가정통지표 개발
11. 교육과정매핑과 지도안은 어떻게 써야 하나요?
12. <실제수업사례> 채점기준표로 보는 교수평기 일체화와 과정중심평가
4부. 세상에서 가장 쉬운 수행평가의 ABC
1. 수행평가란 무엇인가요?
2. 세상에서 가장 쉬운 수행평가 설계하기
3. <1단계> 성취기준을 분석해서 평가요소를 확인하라
4. <2단계> 동사를 보고, 평가할 사고 수준을 확인하라
5. <3단계> 동사에 맞는 평가 방법을 선택하라
6. <4단계>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하라
7. <5단계> 평가기준에서 평가요소와 수행평가 제한사항을 결정하라
8. <6단계> 수행과제가 성취기준에 부합하는지 확인하라
9. 수행평가의 구체적인 종류를 알려드립니다
5부. 교육과정 통합 솔루션: 수업 설계에서 수업과 평가, 가정통지까지
1.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수업을 설계하다
2. 성취기준을 분석해 평가를 설계하다
3. 채점기준표를 개발하다
4. 교육과정매핑을 완성하다
5. 프로젝트 수업으로 과정중심평가, 교수평기 일체화를 실천하다
6. 가정통지로 과정중심평가를 완성하다
│에필로그│세상에서 가장 쉬운 교육과정 수업 평가, 최무연과 함께합니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과정중심평가가 학교 현장에 들어오면서 다소 혼란스러운 분위기가 되었습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평가의 기본 원칙을 과정중심평가에 두고 있습니다. 그에 따른 요구가 많은 것에 비해, 실제 현장에서는 과정중심평가에 관한 이해가 부족한 것 역시 사실입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과정중심평가가 무엇이고, 어떻게 실시해야 하는지를 알아볼까 합니다.
- <1부. 교사가 가장 궁금해하는 교육과정 수업 평가 기초>
기준(준거)참조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네, 맞습니다. 바로 ‘기준’입니다. 그렇다면 학교에서 사용하는 ‘기준’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성취기준, 평가준거 성취기준, 평가기준, 채점기준표가 있습니다. 기준참조교육과 평가는 기준을 참조하는 교육과 평가이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기준’을 잘 알고 잘 다루어야 합니다. 기준은 수업과 평가를 하기 위한 직접적인 도구이기 때문이지요. 사실 학교 현장에서는 이 기준에 관한 이해가 부족한 것 같은 상황을 자주 마주칩니다. 그래서 이번 장에서는 이들 ‘기준’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2부. 연구부장도 궁금해하는 성취기준, 평가기준 사용설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