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근대종교란 무엇인가?

한국 근대종교란 무엇인가?

장석만 (지은이)
모시는사람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750원
16,000원 >
13,5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350원
1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한국 근대종교란 무엇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근대종교란 무엇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91186502853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7-05-30

책 소개

먼저 ‘종교 개념’의 형성의 역사와 한국사회 및 동아시아에서의 등장 배경을 살피고, ‘종교’와 ‘세속’의 구분이 어떠한 연원하에 이루어지고, 한국 근대사회에서는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고찰한다. 이어 ‘종교’ ‘종교-세속’의 문제가 어떻게 관철되고 반영되는지를 살펴본다.

목차

Ⅰ. 서론
1. 수원지라는 비유
2. 문제의식과 내용의 윤곽

Ⅱ. ‘렐리기오’와 그 개념 연구사
1. ‘렐리기오(religio)’의 어원과 서구 역사에서 그 의미의 전개
2. 서구의 ‘릴리지온’ 개념 연구사

Ⅲ. 교(敎)의 패러다임에서 종교(宗敎)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과 그 배경
1. 일본에서 ‘종교’ 개념의 의미와 그 성립의 역사
2. 중국에서 ‘종교’ 개념의 의미와 그 성립의 역사

Ⅳ. 종교로서의 정체성
1. 한국에서 종교 개념의 정착 과정
2. 한국에서 종교 개념 연구사
3. 교와 종교의 차이성

Ⅴ. 세속 개념의 연구 동향 검토
1. 세속의 연구에서 탈랄 아사드의 중요성
2. 종교-세속 구분에 관한 논쟁
3. 논쟁의 평가

Ⅵ. 한국에서 종교와 세속의 구분선 설정과 그 모호성
1. ‘이(異)’의 영역과 종교-세속의 구분
2. 한국의 전(前)근대 문헌 자료에 나타난 세속이라는 용어
3. 근대성 형성과 종교-세속의 구분

Ⅶ. 초기 개신교 신자의 개종이 지닌 성격
1. 단절의 수사학
2. 지식인의 옥중 개종
3. 1907년 대부흥 운동의 개종

Ⅷ. 동학에서 천도교로의 변화
1. ‘동(東)’의 의미 변화
2. 천도교의 등장
Ⅸ. 불교로의 변신: 1910-1920년대의 전환
1. 문제를 보는 관점
2. 유럽의 부디즘 ‘발견’
3. 한국의 불교 ‘발견’: 조선 시대의 불교
4. 근대적 종교 개념에서의 불교

Ⅹ. 기준점으로서의 3·1운동: 3·1운동 전후의 종교
1. 1919년 3·1운동 이전의 종교
2. 1919년 3·1운동과 종교의 위치
3. 호명(呼名) 체계로서의 종교: 종교적 주체의 등장
4. 종교와 민족의 융합

XI. 문명과 문화의 판도, 그리고 종교 개념과의 연관성
1. 문제 제기
2. 문명과 종교의 연관성
3. 문화 개념 등장과 그 성격
4. 문화-종교 개념의 연관성

XII. 조선총독부의 문화통치와 종교 연구의 의미
1. 문화통치와 종교: 3·1운동 이후-1937년
2. 종교를 연구한다는 것의 의미

XIII. 1937년 백백교(白白敎) 사건의 의미: 유사종교의 모델과 그 정당화
1. 2011년의 일화(逸話)와 1987년의 오대양(五大洋) 사건
2. 백백교의 호출
3. 1937년의 백백교와 그 연대기
4. 백백교의 사건의 의미
5. 종교인의 반응: 어느 기독교인의 관점

XIV. 결론: 종교전통의 정체성 수립 노력은 어떻게 정착되었는가?

책속에서

그동안 한국에서 이루어진 종교 연구는 대체로 종교 전통별로 진행되어 왔다고 말할 수 있다. 개신교, 천주교, 불교, 유교, 도교 혹은 신종교 등의 종교 전퉁을 분류의 기본단위로 하고, 각 종교 전통에서 어떤 연속성이 유지되었는가, 그리고 어떤 변화가 생겼는가를 살피는 것이 주된 방식이었다. ... 이처럼 종교 전통이 종교를 구분하고 연구하는 기본단위가 된 것은 ... 19세기 말부터 ... 이른바 ‘세계종교(world religion)’이라는 패러다임이다. ... 하지만 최근의 연구 가운데 ... 이런 ‘세계종교’ 패러다임과 종교 다원주의의 관점 자체를 당연하게 여기지 않고, 문제로 삼아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 이럴 경우, ‘세계종교’ 패러다임 안에 머물면서 그것을 계속 확인하고 정당화하는 반복 작업을 하는 대신에 ‘세계종교’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서 어떻게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지를 비로소 검토할 수 있게 된다.


종교학은 특정 종교 집단에 소속되어 발언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성을 무기로 하면서 인간의 전체적 맥락에서 보편적인 종교 의식(意識)에 관해 발언하였다. 또한 국가권력에 대해서 종교의 강력한 영향력을 내세우면서 국민 통합의 중요한 기반임을 강조하여 국가의 제도적 학문 체계에서 종교학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일본에서 종교학이 제도권에 자리 잡은 것은 1898년 도쿄제국대학에서 종교학개론이 설치되면서 이루어졌다. 일본 종교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는 아네자키 마사하루(姉崎正治, 1873-1949)가 1900년『종교학개론』을 발행하면서 종교학은 학문적인 기반을 마련하였고, 사회적인 영향력도 점차 확대되어 갔다.


전통 시대의 세속 용어는 근대성의 형성과 함께 만들어진 종교-세속 이분법에서의 세속과는 다르다. 종교-세속 이분법에서 종교라는 범주와 세속이라는 범주는 서로 의존적이다. 종교가 아닌 것이 세속 영역이고, 세속이 아닌 것이 종교 영역이다. ... 종교-세속 이분법에서 세속은 이중적인 성격을 갖는다. 한편으로는 종교와 대립적이고, 다른 한편으로 종교 자체를 포괄할 정도로 그 범위가 넓다. 하지만 세속은 늘 종교를 파트너로 삼아 자신의 정체성을 만든다. 종교-세속의 이분법이 만들어지는 모습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1890년부터 1940년까지의 시기를 고찰하는 것이 필요한데, ... 다음의 세 가지 담론이 서로 작용하며 종교-세속의 이분법을 공고하게 하였으므로, 각각을 검토한다. 세 가지는 각각 종교 신앙의 자유, 정치와 종교의 분리, 교육과 종교의 분리 담론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291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