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과학과 종교

한국의 과학과 종교

장석만, 김호덕, 조현범, 이진구, 전철, 민순의, 박상언, 김태연, 도태수, 방원일 (지은이)
들녘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4,500원 -10% 1220원 20,830원 >

책 이미지

한국의 과학과 종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과학과 종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종교일반 > 종교의 이해
· ISBN : 9791159254291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9-08-20

책 소개

과학과 종교라는 말이 등장하고 양자의 영역이 구분되어나간 과정에 대한 개념사적 성찰에서 출발하여, 이후 과학과 종교의 관계가 새롭게 전개되는 상황 속에서 과학이 종교에 미친 영향 및 과학에 대한 종교의 반응이 어떠했는지를 개별 종교들을 중심으로 살핀 책이다.

목차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장 _김호덕


I부 개념사의 관점에서 본 과학과 종교 _장석만

과학/종교를 묻는다
1장 서구의 ‘science & religion’ 담론과 그 성격
2장 ‘science’의 출현의 문명적 기반: 인도와 중국 문명의 비교
1. ‘science’의 출현과 중국 문명
2. ‘science’의 출현과 인도 문명
3장 동아시아 ‘과학과 종교’ 담론의 출현: 일본과 중국의 경우
1. 일본의 경우
2. 중국의 경우
4장 19세기 말-20세기 초 한국 관련 사전에 나타난 science와 religion, 과학과 종교라는 말
5장 ‘과학과 종교’ 담론의 유형
1. 과학에 의한 종교의 해소
2. 과학을 복속하는 종교의 자세
3. 종교와 과학의 각자도생(各自圖生)
과학/종교의 경계선과 그 관계의 양상


2부 근대과학과 한국 기독교

1장 근대과학과 한국 천주교: 서학 수용론의 인식구조 _조현범
1. 동아시아에 소개된 천주교
2. 리치 패러다임에 대한 재검토
1) 예수회의 중국 선교에 대한 기존 해석
2) 자연신학적 사유
3) 예수회 신학교의 교육 내용
4) 리치 자신의 언명에 나타난 선교 방법론
3. 조선 유학자들의 서학 인식
1) 과연 과학과 종교를 구분하였을까
2) 대안적인 해석
4. 과학과 종교의 구분을 넘어서
2장 근대과학과 일제하 개신교: 일제하 한국 개신교의 과학 담론과 진화론에 대한 태도 _이진구
1. 일제하 한국 개신교의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 대한 이해
1) 반종교 담론의 등장과 전개
2) 일제하 한국 개신교의 과학 담론
2. 일제하 한국 개신교의 진화론에 대한 인식과 태도
1) 미국 개신교계의 창조-진화 논쟁
2) 일제하 한국 개신교의 진화론에 대한 태도
3장 근대과학과 해방 이후 개신교: 해방 이후 개신교의 ‘과학과 종교’ 담론 _전철
1. 한국 개신교와 과학문명 논쟁
2. 해방 이후 한국 개신교의 과학문명 이해
3. ‘진리’의 관점에서 본 종교와 과학의 지형
4. ‘과학’과 ‘종교’ 개념의 재구성
5. ‘과학과 종교’ 논쟁의 핵심 쟁점
6. 한국 개신교와 과학문명의 과제


3부 근대과학과 한국 전통종교

1장 근대과학과 한국 불교: 근대 불교 지식인의 과학 개념과 과학기술 수용 _민순의
1. 한국의 불교와 과학
2. 근대 동아시아 불교계의 과학 이해: 합리주의적 세계관과 사회진화론
3. 한용운의 연기론적(緣起論的) 인과율(因果律) 이해: 불교의 과학적 재발견
4. 대중불교운동의 실용주의적 과학관: 과학기술의 방편적 수용과 확산
5. 근대 심화기 불교 대중에게 각인된 과학기술의 이미지: 서울 흥천사 감로탱의 사례
6. 한국 불교의 과학 수용과 교리적 접목
2장 근대과학과 한국 신종교: 근대과학 및 문명에 대한 한국 신종교의 인식과 대응 _박상언
1. 근대 한국 사회와 신종교의 자리
2. 근대과학?문명에 대한 한국 신종교의 인식
3. 한국 신종교의 과학/문명 비판
4. 근대과학에 대한 한국 신종교의 종교적 대응의 특징


4부 과학적 이기의 도입과 종교 경험의 변화

1장 테크놀로지의 진화와 종교적 체험의 동역학 _김태연
1. 테크놀로지의 경험을 통한 종교적 경험의 변화
2. 테크놀로지: 피조된 인간이 만든 작품
3. 테크놀로지의 진화와 천도교의 해석학
1) 과학은 인간 정신력의 산물
2) 기술의 진보는 인간 영적 능력의 진보
3) 테크놀로지의 진보와 인간과 우주의 융합
4. 테크놀로지와 종교적 상상력
2장 근대 소리 매체(라디오, 유성기)가 생산한 종교적 풍경 _도태수
1. 근대적 ‘이기’(利器)의 출현과 감각적 실천
2. 근대의 소리와 상상력
3. 라디오, 유성기, 종교에 대한 발화
4. 근대적 공간의 형성과 감각적 ‘자기 훈련’
3장 사진의 보급과 의례문화의 변화 _방원일
1. 선교사들이 촬영한 한국의 종교문화
2. 사진과 의례문화의 변화
1) 망자의 형상화와 비형상화
2) 사진으로 증명되는 결혼
3) 사후의 인연을 맺어주는 사진
3. 사진과 새로운 의례문화


종장 _김호덕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저자소개

조현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종교학 전공. 「19세기 한국 천주교 문헌 『주년첨례광익』 연구」(2023), 「다블뤼 주교의 교회사 기록에 나타난 성호학파 문인들의 행적」(2022) 등
펼치기
방원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종교 이해」(2011)라는 논문으로 종교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종교문화에서 만남의 의미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고, 특히 선교사 연구를 통해 새로운 문화와의 만남이 어떠한 종교적 언어로 번역되는지 탐구하였다. 종교변동을 설명하는 이론적 연구에도 계속 관심을 갖고 있다. 현재 숭실대학교 HK연구교수,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과 종교학과 강사로 일하고 있다. 저술로는 『메리 더글러스』, 『종교, 미디어, 감각』(공저), 『우리에게 종교란 무엇인가』(공저), 『한국의 과학과 종교』(공저), 『한국의 종교학-종교, 종교들, 종교문화』(공저), 『근대전환기 문화들의 조우와 메타모포시스』(공저), 『선교사와 한국학』(공저), 『메타모포시스의 현장』(공저)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자리 잡기-의례 내의 이론을 찾아서』, 『자연 상징-우주론 탐구』, 『근대전환공간의 한국종교 I-1879~1900』, 『근대전환공간의 한국종교 II-1900~1910』이 있다.
펼치기
전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 신학부 교수. 한신대 신학과와 동대학원 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신대 신학대학원 원장이며 한신대 종교와과학센터(CRS) 센터장이다. 서울대-한신대 포스트휴먼연구단에 소속되어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과 문명에 관한 논의에 참여했다. 주요 저서로 『화이트헤드의 창조성과 세계의 상대성』 등이 있고, 공저서로 『내가 만난 루만』 『AI 시대, 행복해질 용기』 『한국교회의 개혁을 위한 신학』 『한국의 과학과 종교』 『평화의 신학』 『소수자의 신학』 『포스트휴먼 시대, 생명・신학・교회를 돌아보다』 『한국신학의 선구자들』 『미디어와 여성신학』 등이 있다.
펼치기
박상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종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 중이다. 『우리에게 종교란 무엇인가』(공저, 2016) 등의 저서와, “Beauty will Save You: The Myth and Ritual of Dieting in Korean Society”, 「간디와 프랑켄슈타인, 그리고 채식주의의 노스탤지어」, 「신자유주의와 종교의 불안한 동거」, 「소전 정진홍의 몸짓현상학에 나타난 의례연구방법론 고찰」,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임신중절에 대한 종교 생명윤리 담론의 정당화 구조와 성격」, 「근대 미국사회의 종교와 의학의 상호간섭 현상에 관한 연구」, 「자살 관념의 종교적 회로와 구성 방식」, 「19세기 미국사회의 의학 담론과 몸의 성격: 새뮤얼 톰슨과 실베스터 그레이엄을 중심으로」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진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종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 및 서울대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 근현대사와 종교자유』, 『한국개신교의 타자인식』, 『한국종교의 민족의식』(공저), 『한국 기독교사 탐구』(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도태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종교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근대 개신교 문서를 주제로 박사논문을 집필중이다. 저서로 『종교, 미디어, 감각』(공저, 2016)이 있고, 논문으로 「한국 초기 개신교 문서에 나타난 문자성」, 「비평으로서 신화 연구하기」가 있다.
펼치기
김호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종교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과정을 마쳤다. 서울대학교 강사를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 종교문화사 강의』(공저, 1998), 『종교 다시 읽기』(공저, 1999), 『세계종교사입문』(공저, 2003), 『종교로 보는 세상』(편저, 2016) 등의 저서와, 「권근의 천인관계론 연구」(1994), 「퇴계 이황의 예 인식」(1997), 「이병헌의 천 관념 연구」(2018)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태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 인문과학연구소 조교수. 이화여대를 졸업하고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 신학부에서 상호문화신학, 종교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이델베르크 대학 동양학부 외래교수,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HK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숭실대 인문과학연구소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저서로 『축제』 『한국의 과학과 종교』 『도시 산책: 유럽 도시의 근대적 기억들』 『근대 담론의 형성과 지식장의 전환』 『근대 지식과 인간과학』 『한국 종교학: 성찰과 전망』 등이 있다.
펼치기
민순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이자 『불교평론』 연구위원. 서울대에서 「조선 전기 도첩제도(度牒制度)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객원연구원,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박사후 국내연수 전문연구원,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실장 등을 지냈다. 논문으로 「불교를 통한 허스토리(herstory) 복구의 일례: 조선시대 왕실의 불교 신앙을 중심으로」 등이 있으며, 공저로는 『한국의 과학과 종교』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9256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