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 권으로 읽는 청나라 역사 - 상

한 권으로 읽는 청나라 역사 - 상

따이이 (지은이), 김승일, 전영매, 김미란, 장성복, 김선화 (옮긴이)
경지출판사
25,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 권으로 읽는 청나라 역사 - 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 권으로 읽는 청나라 역사 - 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세사(원~ 아편전쟁)
· ISBN : 9791186819869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7-10-26

책 소개

한 권으로 읽는 청나라 역사. 이 책의 범위는 만족의 선조와 만족의 흥기로부터 시작해 1840년 아편전쟁에 이르기까지 역사를 다루었다. 아편전쟁 후부터 중국은 근대시기에 들어섰다고 할 수 있으며, 사회적 성격과 혁명적 성격이 청나라 시대의 전기 및 중기와는 전혀 다른 큰 변화가 일기 시작했던 시기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만족의 흥기와 후금(後金)정권의 수립과 발전
제1절 통일된 다민족 국가 - 중국 내 만족의 역사적 발전
1. 만족의 선조- 숙신(肅愼), 읍루, 물길(勿吉), 말갈(靺鞨), 여진(女眞)
2. 여진에 대한 명 왕조의 관할 및 여진 각 부족의 발전
제2절 만족의 흥기와 후금(後金)정권의 수립
1. 건주 3개 위(衛)의 설치와 해서 4개 부(部)의 형성 및 발전
2. 누르하치의 여진 여러 부 통일 및 후금(后金)의 건립
3. 살이호(薩爾滸)전투와 후금의 요심(遼沈)지역 진입
제3절 만족 사회경제의 발전-노예제에서 봉건제로 과도
1. 만족사회의 노예제시대
2. 노예제에서 봉건농노제로의 과도
제4절 후금의 정치개혁과 명조와의 전쟁
1. 정치개혁과 후금정권의 봉건화
2. 황태극의 즉위와 명조에 대한 화해 책략
3. 두 차례에 걸친 조선 출병
4. 몽골과 흑룡강 유역의 통일
5. 황태극의 명조에 대한 전쟁

제2장 청군의 입관과 농민봉기의 진압 및 각지 백성의 항청투쟁
제1절 정성공이 영도한 항청 투쟁과 대만 수복
1. 정성공이 영도한 항청 투쟁
2. 정성공의 대만 수복과 침략자 네덜란드에 대한 격퇴

제3장 청조의 전국 통치 및 초기의 통치정책
제1절 만주귀족을 핵심으로 한 만족·한족 지주계급 정권의 건립
1. 만주귀족의 특권을 수호하는 조치
2. 한족 지주계급을 유화적(宥和的)으로 통제
제2절 청조 초기의 경제정책과 통치계급의 내부 모순
1. 청조 초기의 사회경제 회복
2. 통치계급 내부의 모순투쟁과 황권 강화

제4장 17세기 후반기의 유물주의 진보사조
제1절 17세기 후반기의 진보사조는 시대적 산물
1. 명·청시기 진보사조의 탄생
2. 명·청시기의 학파와 사상가
제2절 17세기 후반기의 진보사조 내용
1. 봉건전제주의에 대한 반대
2. 민족사상
3. 균전설과 ‘공상개본(工商皆本)’
4. 송명이학에 대한 반대
5. 유물주의 철학사상
6. 인성론(人性論)과 이욕설(理欲說)

제5장 청조의 중앙집권 통치강화 및 정권기구
제1절 청조의 중앙집권 통치강화
1. 강희제의 친정, 오배그룹에 대한 제거
2. 대만 통일
제2절 청조 봉건황권의 강화 및 그 정권기구
1. 청조 봉건전제주의 황권의 강화
2. 청조의 정권기구
3. 청조의 관리임용과 면직제도 및 과거제도
제3절 청조의 군대와 법률
1. 군대
2. 법률

제6장 농업경제의 발전과 봉건조세제도
제1절 청 왕조의 농업정책과 수리건설
1. 강희(康熙) 연간의 농업정책
2. 치수
제2절 농업생산의 회복과 발전
1. 경작지 면적의 증가와 인구의 성장
2. 농산물의 상품화
제3절 봉건적인 토지점유와 소작료 착취
1. 봉건적인 토지점유형태
2. 소작관계를 위주로 하는 봉건착취형태
3. 청대의 실물지조(地租)
4. 고리대자본의 농촌 침투

제7장 수공업과 상업의 발전
제1절 수공업의 발전과 자본주의의 맹아
1. 수공업의 회복과 발전
2. 수공업 분야의 자본주의 맹아
3. 자본주의 맹아 발전의 걸림돌 - 관부의 압력과 행회(行會)의 속박
제2절 도시와 상업
1. 대도시의 번영
2. 농촌시장

저자소개

따이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6년에 장수성 창수(常熟)에서 태어났고, 원래의 이름은 따이빙헝(戴秉衡)이었다. 1944년 창수중학교를 졸업하고, 1946년 상하이쨔오통(交通)대학을 수료한 후, 베이징대학 역사학과로 옮겨 공부했다. 1948년 해방구(解放區) 로 들어가 화베이(華北)대학 일부(一部)에서 공부했고, 후에 학교에 남아 정치연구실에서 근무했다. 1950年 중국런 민(人民)대학이 설립된 후 중국혁명사 실습교원으로 봉직 했다. 1953년부터 중국역사교연실(敎硏室)에서 강사로 재직하다가 1956년 부교수가 되었고, 1961년부터 중국런민 대학 역사과 부주임 겸 중국역사교연실 주임으로 임직했다. 1978년 중국런민대학으로 다시 복교한 후 청사(淸史) 연구소를 설립하여 부소장 및 교수로 임직하다가 1980년에 소장이 되었고, 후에 국무원학과평의조 소집인(召集人) 및 박사생 지도교수에 임명되었다. 1988년에 중국사학회 회장,1996년에는 베이징시문사연구관(北京市文史硏究館) 관장을 역임했다. 2002년 국가청사찬수공정(國家淸史纂修工程)이 시작되면서 국가청사편찬위원회 주임으로 활동했다. 저서 및 책임 편찬한 책으로 30여 종이 있는데, 그중 중요한 것으로는《중국근대사고 (稿)》, 《1689년의 중ㆍ러 네르친스크조약》, 《간명청사(簡明 淸史)》, 《건륭제 및 그 시대》, 《18세기의 중국과 세계》, 《청 통감(淸通鑑)》, 《이상집(履霜集)》, 《번로집(繁露集)》, 《어빙 집(?氷集)》등이 있다.
펼치기
김승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5년 생으로 경기도 안성 출신이다. 동국대 사학과를 졸업한 후, 중국대만(정치대학 문학석사[1987년])과 일본(국립규슈대학 문학박사[1992년])에서 유학한 후 귀국하여 2002년부터 국민대와 동아대에서 교수를 역임했고, 2012년부터 ‘동아시아미래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구의 중점은 동아시아세계의 교류사 연구를 통하여 동아시아의 정체성(正體性)을 재구성하는 일에 중점을 두어 왔다. 이들 성과는 『한민족과 동아시아세계』, 『[중문] 내 눈 속의 한중관계(我眼中的韓中關係)』, 『[일문] 중국혁명의 기원』등 40여 종의 저술과 「한중일 삼국의 근대화 좌절과 성공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비교연구」를 비롯해 2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모택동선집』『등소평문선』등 200여 종의 역서가 있다.
펼치기
전영매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94년 연변대학을 졸업한 후, 흑룡강신문사 기자로 입사하였고, 2011년 중국 민족어문 번역 중견 인원 고급 연수반을 졸업하여, 현재는 흑룡강신문사 고급 편집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역서로『13세 달라이라마』와 공동 번역한『중국전통법률문화총론-예와 법』『새로운 중국사회사상사』『중일한자유무역구문제연구』『한권으로 읽는 청나라 역사』『중국통사간본』『위안화의 국제화 보고』 등이 있다.
펼치기
김미란 (옮긴이)    정보 더보기
2004년 연변대학 한어학부를 졸업한 후 지금까지 흑룡강신문사 기자 및 편집 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흑룡강성 신문보도상을 여러 차례 수상하였다. 공동역서로는『국사속술』『중국금융정세전망보고』『예와 법』『호요방문선』등이 있다.
펼치기
장성복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9년생으로 1992년 연변대학 법률학부를 졸업한 후 2000년까지 흑룡강민족경제개발총회사에서 근무했으며, 2005년부터 현재까지 흑룡강신문사 편집 기자로 재직하며 흑룡강성신문보도상 등을 수상하였다. 공동번역으로『예와 법-중국전통법률문화총론』등 여러 책이 있다.
펼치기
김선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8년생으로 2003년 연변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현재까지 흑룡강신문사 편집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흑룡강성신문보도상 등 여러 상을 수상했고, 공동 번역으로 『예와 법―중국전통법률문화총론』등 여러 책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