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쉐쏭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난카이(南開)대학에서 석사학위 취득 후 중앙텔레비전 마카오 주재 수석기자를 역임했고, 현재는 중앙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채널 부감독 및 고급 편집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중국신문문화촉진회 이사 및 중국TV예술가협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대형다큐멘터리인『20세기 중국여성사』『사명(使命)』『세기(世紀)여성』등이있다.1999년 말부터 팡따쩡의 발자취를 찾는 취재여행을 시작하여『팡따쩡 찾기』라는 다큐멘터리 촬영에 들어갔다. 이를 위해 빠오띵(保定), 스자좡(石家庄), 타이위안(太原), 따통(大同) 등지를 여러 차례 왕래하며 방문조사를 통해 방대한 사료를 수집했고 100여 명의 유관 인물들을 인터뷰했다. 이를 바탕으로 수차례에 걸쳐 원고를 수정 편집하다가 마침내 루꺼우차오(蘆溝橋)사변이 일어난 현장을 최초로 세상에 알려준『팡따쩡(方大曾)의 소실(消失)과 재현(再現)』이라는 저서와『해독(解讀) 팡따쩡』이라는 저술을 편찬했다. 이와 더불어 팡따쩡기념실을 창건했고, “팡따쩡 교원행(校園行)” 이라는 공공기획 사업을 발기하여 사회 각계로부터 넓은 관심을 불러일으켜 각 매체들로부터 “팡따쩡 현상”을 일으켰다는 명성을 얻었다. 중공중앙선전부에서 주관하는 정신문명상인 “5개1공정상(五個一工程償)”, “전국 소수민족 문학창작 준마상(駿馬償)”, “전국인이 제일 좋아하는 소식 일등상(全國人大好新聞一等償)”, “중국라디오ㆍ텔레비전상”, “중국 텔레비전 문예 별빛상(星光償)”, “중국 텔레비전 금 매(鷹)상 특등상”, “중국신문(新聞) 사학회가 주관하는 “신문전파학 국가학회상 조직위원회 특별상” 등을수상했다.
펼치기
김승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7년 중국대만(정치대학 문학석사)과 1992년 일본(국립규슈대학 문학박사)에서 중국현대사를 전공한 후 귀국해 동아시아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 등으로 활동하는 동안 하와이대학 동서문화센터에서 연수한 바 있다. 2002년부터 국민대 한국학과와 동아대 동북아특수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했고, 2012년부터 ‘동아시아미래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구 성과로는 『한민족과 동아시아세계』, 『[중문] 내 눈 속의 한중관계(我眼中的韓中關係)』, 『[일문] 중국혁명의 기원』등 40종의 저술과 「한중일 삼국의 근대화 좌절과 성공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비교연구」를 비롯해 200여 편의 논문이 있으며, 『모택동선집』등 200여 종의 역서가 있다. 이러한 공로를 중국정부로부터 인정받아 2012년에 ‘중화도서특수공헌상”을 수상했고, 2018년에는 저서『내 눈 속의 한중관계』가 ‘135중국중점출판물출판계획항목’과 ‘2021-2022년도 중국문화수출중점항목’에 선정된 바 있다.
펼치기
김미란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1년생으로 연변대학 한어학부를 졸업했다. 졸업 후 흑룡강신문사에서 기자와 편집으로 근무했고, 현재는 흑룡강라디오텔레비전방송국 기자와 편집으로 재직하고 있다. 흑룡강성 신문보도상을 여러 차례 수상했으며, 언론 보도 관련 논문 2편을 발표했다. 공동번역서로는 『국사속술』 『중국금융정세전망보고』 『예와 법』 『호요방문선』 등이 있다.
펼치기
윤선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0년 생으로 2007년 하얼빈사범대학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흑룡강신문사에 입사하여, 현재는 기자 및 고급 편집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7년 중국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의 번역 업무를 담당했고, 역서로는『위안화 국제화 보고 2015』『주석과 전우를 추억하다』『위안부』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송재준 (감수)
정보 더보기
1957년 충북 보은에서 출생.청주대학교 법학과 졸업.1984년부터 32년 간 충주MBC PD로 방송프로그램 제작. 정년퇴임 후 충주중원문화재단 대표이사 역임.
다큐멘터리 : 중원문화재조명 3부작, 남한강 수석, 일본 온천을 가다,
독립운동가 류자명 2부작, 영원한 유혹, 사과 2부작,
수소시대를 여는 사람들 등 연출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