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87038658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0-11-2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천국과 지옥으로의 여정
2장 두려운 죽음
3장 사후 세계 이전의 사후 세계
4장 정의의 실현: 사후 상벌 개념의 부상
5장 히브리 성경과 죽음 후의 죽음
6장 되살아난 시체들: 고대 이스라엘의 부활 개념
7장 왜 부활을 기다리는가: 죽음 직후의 사후 세계
8장 예수와 사후 세계
9장 예수 사후의 사후 세계관: 사도 바울
10장 수정된 예수의 사후 세계관: 후대의 복음서들
11장 요한계시록과 사후 세계의 신비
12장 육신으로 사는 영생
13장 기독교 사후 세계의 황홀경과 고문
14장 연옥, 윤회, 그리고 모두를 위한 구원
나가는 말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주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죽음을 앞두고 삶을 어찌 살아갈 것인가라는 질문에 답하자면, 우리 모두에게 언젠가는 닥칠 일을 두려워해 움츠릴 필요는 없다. 그보다 중요한 건, 그저 죽음을 피하려고 빤히 잘못됐음을 아는 일을 행하지 말아야 한다. 결과가 어찌되건 옳을 일을 하는 편이, 불가피할 뿐 아니라 좋기까지 한 일을 피하기 위해 잘못된 일을 행하는 것보다 백번 낫다.
_ 2장 두려운 죽음 가운데
플라톤은 육체적 쾌락이 사람들이 생각하는 만큼 그렇게 대단한 것이 아니며 오히려 궁극의 적이라고 간주한다. 쾌락은 인간을 육신에 속박시킨다. … 쾌락을 느끼는 세속적 육신보다 훨씬 중요한 것은 계속해서 살아갈 영혼이다. 우리는 육신의 욕구와 욕망을 무시하고 영혼에 집중해야 한다. 이는 사실상 강렬한 쾌락을 삼가는 것, 아니면 최소한 그것에 무관심한 것을 뜻한다. 인생의 목표는 모든 생각과 행동을 인간에게 내재한 불멸성과 신에 필적하는 부분들에 집중함으로써 육체에서 해방되는 것이다. 철학자들은 … 살아 있을 때 자신의 영혼이 육체를 초월하도록 힘쓰는데, 그런 면에서 그들은 죽음을 예습하고 있는 셈이다. 죽으면 영혼과 육체가 불가역적으로 분리되므로, 철학자들(더불어 제대로 사고할 줄 아는 모든 사람)은 영혼의 안녕에 집중함으로써 육신의 족쇄를 탈피해 “날마다 죽어”야 한다. 나아가, 죽음을 예습하는 게 마땅히 “사는” 법이라면 실제 물리적 죽음은 더더욱 두려워할 게 없다. 외려 기꺼이 환영해야 한다.
_ 2장 두려운 죽음 가운데
플라톤이 이야기하는 죽음과 사후 세계에 대한 관점은, 죽음 이후의 세계보다 현재의 삶에 방점이 있었다. 그의 철학적 견지는 지금 어떻게 살아야 할까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 「파이돈」에서 그가 내세운 견지는, 누구도 죽음 뒤에 올 것을 두려워하거나 죽음을 피하려고 비윤리적인 짓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 우리 모두, 죽음이 악한 게 아니며 그것을 피하기 위해 잘못된 일을 저지르는 건 결코 옳을 수 없음을 알고서 필멸의 죽음을 용감하게 직시해야 한다.
_ 2장 두려운 죽음 가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