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프랑스사
· ISBN : 9791187064268
· 쪽수 : 812쪽
· 출판일 : 2018-06-29
책 소개
목차
● 개정판 머리말(클로드 마조리크)
● 머리말
서론부 _ 구체제의 위기
1장 사회의 위기
2장 제도의 위기
3장 부르주아 혁명의 서장 : 특권계급의 반란
1부 _ 국민, 국왕, 법 - 부르주아 혁명과 민중 운동(1789~1792년)
1장 부르주아 혁명과 구체제의 와해
2장 제헌의회 : 타협의 실패
3장 제헌의회의 부르주아지와 프랑스의 재건
4장 제헌의회와 국왕의 탈주
5장 입법의회 : 전쟁과 왕위의 전복
2부 _ ‘자유의 전제’ - 혁명정부와 민중 운동(1792~1795년)
1장 입법의회의 종언 : 혁명의 약진과 국가 방위
2장 지롱드파의 국민공회 : 자유주의적 부르주아지의 파산
3장 산악파의 국민공회 : 민중 운동과 공공 안전의 독재
4장 승리와 혁명정부의 몰락
5장 테르미도르파의 국민공회 : 부르주아 반동과 민중 운동의 종언
3부 _ ‘유산자가 지배하는 나라’ - 부르주아 공화국과 사회의 공고화(1795~1799년)
1장 테르미도르파 국민공회의 종언 : 1795년의 여러 조약과 혁명력 3년의 헌법
2장 제1차 총재정부 : 자유주의적 안정화의 실패
3장 제2차 총재정부 : 부르주아 공화국의 종언
결론부 _ 혁명과 현대 프랑스
새로운 사회
부르주아 국가
국민적 통합과 권리의 평등
혁명의 유산
부록1 _ 혁명적 군중 : 집단적 폭력과 사회적 관계
부록2 _ 혁명이란 무엇인가?
역자 후기
프랑스혁명 연표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전 인민에게 권력을’ - 루소 철학의 혁명성
평민의 영혼을 지닌 루소는 세기의 흐름에 맞섰다. <만약 과학과 예술의 부흥이 풍속의 순화에 이바지했다면>(1750)이라는 첫 번째 논문에서, 그는 당대의 문명을 비판하고 문명의 혜택을 받지 못한 자들을 변호하였다. “사치는 우리의 도시에서 백 명의 빈민을 먹여 살리나, 사실상 우리의 농촌에서는 십만 명을 죽게 한다.” 두 번째 논문에서(《인간불평등기원론》) 그는 소유권을 공격하였다. 그리고 《사회계약론》에서는 인민주권론을 개진하였다. 몽테스키외와 볼테르가 권력을 각각 특권계급과 상층 부르주아지에 국한했던 반면에, 루소는 미천한 자들을 해방하고 전 인민에게 권력을 부여하였다. 루소는 개인적 소유권의 남용을 억제하고 상속에 관한 입법과 누진세를 통하여 사회적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국가에 부여하였다. 정치적인 영역과 마찬가지로 사회적인 영역에서 평등을 촉구하는 이러한 주장은 18세기에는 새로운 것이었다. - 서론부·구체제의 위기
식비 비중 88퍼센트, 민중을 강타하다
18세기에 도시 민중계급의 생활 여건은 악화되었다. 물가 상승과 더불어 도시 인구의 증가로 생계비와 임금의 불균형이 심화되었다. 18세기 후반에는 임금 생활자 계층의 빈곤화 경향마저 나타났다. …… 서민 생계의 본질적인 문제는 임금과 구매력에 있었다. 물가 상승의 압력은 인구의 여러 계층에서 생계비 구성에 따라 불균등하게 나타났다. 곡물 가격 상승이 가장 심했는데, 특히 하위 계층에서 인구가 증가했고 생계비에서 빵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이 굉장히 컸기 때문에 자연히 민중층이 가장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
비극적인 결과를 야기한 것은 계절적인 가격 변동이었다. 1789년 직전 전반적인 물가 앙등 와중에 식비 지출은 이미 민중층 가계의 58퍼센트를 차지했으며, 1789년에는 88퍼센트까지 치솟았다. 식비 이외의 가처분 소득은 겨우 12퍼센트밖에 남지 않은 셈이다. 물가 폭등은 여유층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빈민층을 강타했다. - 서론부·구체제의 위기
본질적 위기는 농민층 몰락
민중의 근본적인 요구는 여전히 빵이었다. 1788~1789년에 인민대중이 정치적으로 극히 날카로워진 것도 그들의 생계를 점점 더 어렵게 만드는 경제 위기의 심각성 때문이었다. 1789년 대부분의 도시에서 일어난 폭동은 빈곤이 원인이었고, 그 폭동의 첫 번째 효과도 빵 가격 인하로 나타났다. 구체제 프랑스의 위기는 본질적으로 농업 위기였던 것이다. 평작이나 흉작이 계속되면 예외 없이 농업 위기가 나타났다. 그러면 곡물 가격이 엄청나게 상승하였고, 곡물을 사 먹어야 하는 대다수 영세농들의 구매력은 감소하였다. 이런 식으로 농업 위기는 공업 생산으로 파급되었다. 농업 위기는 18세기 전체를 통틀어 1788년에 가장 극심하게 나타났다. 그해 겨울, 기근이 나타났고 실업으로 말미암은 구걸 행각이 급증하였다. 이 굶주린 실업자들이 혁명 군중의 한 축을 이루었다. - 서론부·구체제의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