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91187201274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9-10-07
책 소개
목차
1 읽기 능력 키우기
메시지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의사소통 능력
기계적인 읽기와 이해하며 읽기
문맥을 읽어야 정확한 의미를 이해한다
맥락을 읽는 방법
의미 단위 읽기
읽었는데 왜 기억나지 않을까?
읽는 목적을 생각한다
2 핵심을 찾는 읽기 방법
소리 내서 읽고 키워드에 밑줄을 긋는다
읽은 후에 서평과 독후감을 쓴다
핵심은 어디에 있나?
생각한 후에 읽고, 읽으면서 생각하고, 읽고 나서 생각하기
문장에도 해상도가 있다
빨리 많이 읽기
빨리 읽으면서 완전히 이해하기
이해력을 높이는 읽기
지식의 양과 질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읽기 방법
3 핵심 찾기
필요한 내용만 골라서 읽어야 하는 이유
빨리 많이 읽기보다 핵심 읽기를 실천한다
어려운 책은 쉽게 쓴 책으로 읽는다
그 많은 책을 다 읽을 수는 없다
시카고대학 고전 100권 읽기
하버드 클래식과 사례 연구법
끝까지 읽어야 한다 vs 필요한 부분만 읽어도 된다
생각하는 능력을 키우는 효과적인 방법
4 소통하는 능력 키우기
정보 읽기 능력 테스트
문서를 이해하는 능력
글과 말에서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
경청 능력, 듣고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
기초 외국어 능력
핵심을 읽어야 핵심을 쓸 수 있다
읽기 능력이 소통 능력이다
5 핵심 읽기와 쓰기로 생각을 정리한다
생각을 자극하는 읽기 방법
글을 읽고 재구성하는 능력
반증하며 읽기
논리적인 글이 모두 옳은 건 아니다
읽은 후에 무엇을 어떻게 하는지가 중요하다
배경지식과 연결하기
정보를 지식으로 만드는 읽기 방법
종이에 쓰면서 생각을 정리한다
6 형식을 이용하면 핵심을 찾기 쉽다
읽는 사람의 프레임
끝까지 정독하지 않아도 된다
읽은 책의 숫자는 중요하지 않다
동영상에서 핵심 읽기
7 콘텐츠 읽기
웹 콘텐츠 담아두고 읽기
연관된 콘텐츠 모아서 읽고 보고 듣기
화면으로 읽으면서 집중력을 유지하는 방법
필요한 부분만 몰입해서 읽는다
스키밍으로 핵심만 읽는다
목표가 명확해야 핵심이 보인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지 않아도 괜찮다
8 읽어서 배운 지식을 실천하기
지식의 기능과 독서의 함정
한 번만 읽고 완전히 이해하는 비법은 없다
핵심 읽기는 실천으로 완성된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효과적으로 읽는 과정은 다섯 단계로 구분된다. 투입(Input), 처리(Processing), 부호화(Coding), 산출(Output). 다섯 단계를 거치면 비로소 ‘읽기’가 완성된다. 읽기의 효과는 실천과 활용으로 나타난다. 읽은 책의 수와 상관없이 어떤 콘텐츠에서든지 필요한 내용, 핵심을 찾아내서 성과를 만들면 된다.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 새로운 지식을 습득해야 하는 직장인과 사업가는 처음 보는 문서, 콘텐츠에서 핵심을 파악하고 맥락을 이해하는 읽기 기술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
- 기계적인 읽기와 이해하며 읽기
긴 지문을 시험 시간 안에 읽고 문제를 푸는 수험생은 지문에서 빨리 핵심을 파악해야 한다. 속독을 배웠다면 지문을 빨리 읽을 수는 있다. 하지만 빨리 읽기만 하고 핵심을 찾지 못한다면 출제자가 의도한 통합적 추론 능력을 발휘할 수 없다.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려면 책을 많이 읽으라고 하는데, 많이 읽으면 분명히 도움이 된다. 하지만 학습에 도움이 되는 참고서를 모두 읽기란 불가능하다. 읽은 책의 숫자에 비례해서 이해도가 향상되는 건 아니다. 빠르게 읽으면서 핵심을 파악한 다음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의미 단위 읽기
책을 읽고도 기억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출판평론가 김성신이 제시한 답은 두 가지다. 첫째, 책을 읽으면서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면 기억에 남지 않는다. 이해하지 못한 글은 ‘읽었었다’라고만 기억해도 다행이다. 둘째,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해서 삶의 일부가 되면 더 기억할 필요가 없다. 글을 읽고 얻은 지식, 교훈이 생활 속으로 들어오면 굳이 내용을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이해하지 못한 책은 기억에 남지 않는다. 그리고 완전히 이해한 책은 기억할 필요가 없다.”
- 읽었는데 왜 기억나지 않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