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지방자치
· ISBN : 9791187254553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4-06-3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1부 : 지방정부, 왜 ESG 행정인가?
1. 소멸 위험에 처한 지방정부
2. ESG의 발전 역사와 논란
3. 악화되는 지구환경과 자본주의의 위기
4.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을 위한 노력
5. 지구적으로 사고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라
6. 지방정부의 ESG 행정 도입 필요성
2부. 해외 지방정부의 ESG 행정
1. 독일 라인란트-팔츠주정부의 SDGs 지표
2. 독일 바덴뷰르템베르크주의 SDGs 지표
3. 거버넌스(G) 사례와 평가
4. 사회(S) 사례와 평가
5. 환경(E) 사례와 평가
3부. 지방정부를 위한 ESG 평가지표
1. 지방자치의 역사와 문제점
2. ESG 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3. 주요 ESG 평가지표 소개
4. 팔기생태계 평가지표 소개
5. ESG 평가지표 운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6. ESG의 지방정부 내부 확산 전략
4부. 국내 지방정부 ESG 행정
1. 거버넌스(G) 사례와 평가
2. 사회(S) 사례와 평가
3. 환경(E) 사례와 평가
5부. 지방정부 ESG 행정 추진전략
1. 거버넌스(G) 정책 제안
2. 사회(S) 정책 제안
3. 환경(E) 정책 제안
4. 단체장의 마음 자세
5. 공무원의 행동강령
6. 주민의 인식변화
7. 기업의 상생 노력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단순히 이론서가 아니라, 시민들과 함께 모색하고 대안을 찾고자 하는 실천서입니다.
인류가 ‘호모사피엔스’란 호칭처럼 지혜롭게 위기를 극복해나갈지는 미지수다. 인류가 제각기 삶의 터전으로 삼고 있는 지역은 문제해결을 위한 최선의 공간이다. 지역의 훌륭한 리더가 이해관계자와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모델을 만들고 확산을 해나갈 지혜를 찾아야 한다.
우리나라 지방정부가 시의 재정 여건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경쟁적으로 지하철이나 경전철을 도입하는 행태는 바람직하지 않다. 다만 서울시가 버스 전용차로를 도입한 것은 좋은 시도다. 1985년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로 시작해 1996년 중앙버스전용차로까지 진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