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87607601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축사
머리말
Ⅰ부 전략의 모색
1장. 미-중 전략경쟁, 미-중-러 전략적 삼각관계, 그리고 한-러 전략협력
– 신범식
2장. 전환기적 국제질서와 러시아의 ‘전략적 가치’
- 장세호
3장. 바이든 시대 미중경쟁과 한국 중앙아시아 협력
- 백주현
4장. 러중 전략협력과 유라시아질서의 미래: 한국의 기회와 제약
- 최재덕
Ⅱ부 정책의 모색
5장. 신북방정책의 성과와 과제: 차기 정부를 위한 제언
- 성원용
6장. 한반도 비핵화·평화프로세스와 러시아의 역할
- 서동주
7장. 한-러 경제 협력 거버넌스의 현황과 과제
- 권원순
8장. 한-러 간 전략적 소통의 확대를 위한 과제: 한-러 관계 심화 발전을 위한 본질적 문제를 중심으로
– 이태림
Ⅲ부 실질협력의 모색
9장. 디지털 무역협정과 한-EAEU 경제협력
- 이대식
10장. 외국인 투자 촉진과 위험 회피를 위한 제도적 과제
- 백동화
11장. 러시아, 중앙아시아 물류, 유통 공동진출 방안
- 김익준
12장. 중앙아시아 ICT 분야 발전전략 및 협력방안
- 이백희
13장. 4차 산업혁명과 한-러 기술협력 유망 분야
- 이선영
저자 소개
기관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중국의 부상이 본격적으로 논의되면서 이에 대한 미국의 정책적 전환이 이루어졌다. 오바마 이후 미국의 아태 재균형 전략을 시작으로 트럼프 시기 가시화된 인도태평양 전략에 의해 본격적인 대중 견제정책이 가속화되었으며, 2019년 6월 1일자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보고서’(Indo-Pacific Strategy Report)에서는 미국의 군사적 준비태세 강화, 동맹 및 파트너십 강화, 역내 경제와 안보 네트워킹 증진에 힘쓸것을 천명하였다. 인도-태평양이 미국의 최우선의 전장이 되었다.
이 같은 소지역 협력으로 추동되는 지역협력의 모멘텀이 가시화될 경우 북한은 자국 개혁·개방에 이를 활용하기 위해 이 흐름에 편승하기를 원하게 될 수 있다. 다만 이 때 성급하게 북한을 특별한 참여자로 대우하기보다 1/n로 책임과 권리를 가지는 합리적 국제행위자로 학습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이 러시아는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의 고도화 과정에서 동북아 지역 내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군비경쟁이 심화하고 있는 데 대해 깊은 우려를 갖고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상대적으로 동부 영토의 안보·경제적 상황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여건에서 북한 핵·미사일 문제를 매개로 한 역내 긴장 고조와 군비경쟁 확대는 러시아에 여러모로 부담스런 도전 요소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