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88701506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4-04-01
책 소개
목차
제1부 : 경주 남산
• 박씨 임금들의 영원한 안식처, 남산 서쪽
― 경애왕릉, 삼릉, 배리 삼존석불 입상, 지마왕릉, 포석정, 삼릉계 불교 유적
• 신라 역사가 시작된 남산 서북쪽
― 창림사 터, 남간사 터 당간지주, 일성왕릉, 양산재, 나정
• 석굴암과 황룡사 원형이 있는 남산 동북쪽
― 상서장, 부처골 감실석불, 탑골 부처바위, 보리사 석불좌상, 보리사 마애불
• 설화와 역사가 어우러진 남산 동쪽
― 헌강왕 ‧ 정강왕릉, 서출지, 남산동 쌍탑, 칠불암 마애불상군, 신선암 보살반가상
• 김시습이 〈금오신화〉를 쓴 남산 남쪽
― 설잠교, 용장사 터, 지곡 삼층석탑
• 불교 기초 지식
• 경주 남산, 생명의 본향이었나 ‧ 우소영
• 경주 남산 일주 여정
• [남산 시] 김규원 / 이상일
제2부 : 현진건, 문학작품
어려운 낱말의 뜻을 풀어 쓴 ‘적도’
중문으로 옮긴 ‘적도’
영문으로 옮긴 ‘적도’
서사시 [나는 현진건이다]
일장기를 지워라(현진건 약전)
[대하소설 난중일기 3] 1592년 정월 초하루
저자소개
책속에서
[경주 남산 일주 여정] 상서장 - *경주(이하 생략)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속칭: 부처골 감실석불, 할매부처) -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탑골 부처바위) -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보리사 석불좌상) - 보리사 마애석불 - 헌강왕릉 - 정강왕릉 - *서출지 - 남산동 동서 삼층석탑(남산동 쌍탑) - 전 염불사 터 동서 삼층석탑(염불사 쌍탑) -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칠불암) -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신선암) - 남산 용장계 지곡 제3사지 삼층석탑 - 설잠교(에서 가파른 오르막을 올라) - **용장사 터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삼륜대좌불),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 삼화령 연화대좌(에 갔다가 되돌아서) - 삼릉 계곡 - 삼릉, 경애왕릉 - 배동 석조여래 삼존입상(배리 삼존석불) - 지마왕릉 - **포석정 - 창림사 터 삼층석탑 - 남간사 터 당간지주 - 일성왕릉 - 양산재 - **나정(**가장 중요, *중요)
[서서시] 나는 현진건이다 9(첫눈) : 첫눈이/ 펑펑/ 올 거 같다// 낮부터 마신 술병이 늘어나도/ 첫눈은/ 없고// 독립운동을 하다 죽은/ 사람들의 청춘이 아깝다는 생각만 수북이/ 쌓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