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목회일반
· ISBN : 9791189092153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0-11-11
책 소개
목차
• 한국어판 서문
• 서문
1. 신학과 교리
Ⅰ. 교회와 학계 사이의 신학
Ⅱ. 교리에 대한 신학의 관심
Ⅲ. 영원의 유혹
Ⅳ. 역사주의의 충격
Ⅴ. 언어적 전환
Ⅵ. 전망
2. 리츨에서 브룬너까지: 신비주의도 형이상학도 아닌, 슐라이어마허 문제
Ⅰ. 교리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Ⅱ. 리츨과 칭의 교리
Ⅲ. 신비주의에서 매개로
Ⅳ. 브룬너, 그리고 슐라이어마허와 대립되는 말씀
Ⅴ. 슐라이어마허 문제
3. 삼위일체적 표상으로부터 인식적-우위 모델까지: 말씀, 교리, 신학
제1부
Ⅰ. 말씀에서 교리까지
Ⅱ. 신학과 삼위일체적 표상
제2부
Ⅰ. 교리에 대한 인식적-우위 모델
Ⅱ. 교리의 종말
4. 언어와 실재: 슐라이어마허에게 약간 도움받은 신학적 인식론
Ⅰ. 종말의 자리에서, (잠정적인) 시작
Ⅱ. 신약성서에서 언어와 실재
Ⅲ. 신학적 인식론과 교리
Ⅳ. 인식론에서 내용으로
5. 사회적 구성임을 인정하고 해체 너머로 나아가기: 신학과 종교학을 위한 교리
Ⅰ. 사회적 구성물일 수밖에 없는 교리
Ⅱ. 해체를 넘어서
Ⅲ. 현실이 사회적으로 구성됨을 분명히 하기
Ⅳ. 언어, 교리, 실재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해설: 교리의 본성에 관한 현대적 논쟁
• 추천의 글
책속에서
나는 자신들이 근대성의 공격으로 여긴 것으로부터 교리를 보호하려고 했던 사람들이 오늘날 교리가 맞이한 도전을 초래했음을 논증할 것이다. 이는 교리의 수호자들이 만든 위기지, 교리의 비방자들이 만든 것이 아니다. … 내가 교리의 종말이라는 말로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교리가 어떤 새로운 것도 말할 수 없는 게 당연해질 때, 교회의 정체성을 권위 있게 강화하는 기여도에 따라 교리의 중요성이 측정될 때, 교리는 종말에 이른 것이다.
개인의 경험과 역사 속에서 살아 계신 하나님의 행동에 대한 예기치 못한 놀라운 것이 교리에서 인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교리를 재개념화하는 것이 내가 공언하는 목표이기 때문이다.
신학자는 자신이 이해하고, 해석하고, 설명하고자 하는 실재로 인해 자신의 말을 낸다. 하지만 신학자의 말은 인간의 말로서 불가피하게 역사적으로, 사회적으로 조건 지어진 자리에 있으며, 그 말이 가리키는 현실에 예속된다. 하나님 말씀에 대한 신실한 순종은 책임 있는 신학자의 성향에 나타나는 특징이다. 그럼에도 신학자는 하나님 말씀이 자신의 말을 중단시킬 때 놀라서는 안 된다. 하나님이 말씀하실 때, 하나님 말씀은 위기를 촉발한다. 이 사건의 길을 열어 줘야 하는 인간의 말에 대해서조차 하나님의 말씀은 위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