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일본소설 > 1950년대 이후 일본소설
· ISBN : 9791190065467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9-06-05
책 소개
목차
「히짱은 폭죽」
「불타는 스커트의 그 아이」
「나는 마법을 쓸 줄 모른다」
「다시 한번 태어나다」
「찢고 싶은 모든 것」
옮긴이의 글
리뷰
책속에서
“히짱.”
“응?”
“좋아하면 안 되는 사람을 좋아하게 됐을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
누운 채 어두워진 휴대전화 화면을 응시하며 가자토에게서 온 메일을 읽어주었다. 히짱의 얼굴은 보이지 않았다. 하얀 천장이 조금 지저분했다.
“……좋아하게 됐을 때, 란 말은 이미 좋아하게 된 거니까 어쩔 수 없지 않아?”
역시 히짱의 얼굴은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안다. 히짱은 다정함으로 가득한 막에 눈동자를 담그고, 뒹굴고 있는 나를 내려다보고 있을 것이다. 한껏 커진 폭죽처럼 모든 걸 머금은 동그랗게 빛나는 눈동자로 나를 보고 있을 것이다.
언젠가 사라져버릴 것 같은 히짱은 폭죽을 닮았다.
어느새 잠이 들었다. 히짱은 내가 잠든 뒤에도 깨어 있었던 것 같다. 티셔츠와 트레이닝 바지 빌려주는 건 깜빡하고 말았다. 첫차가 다니기 시작할 무렵, 나는 아주 살짝 눈을 뜨고 이른 아침 바람에 날리는 검은 머리칼을 바라보았다.
(「히짱은 폭죽」)
“그걸로 먹고살 수 있을 리가 없잖아.”
하루는 예쁘게 생긴 하얀 치아로 말을 잘근잘근 씹듯이 한번 더 중얼거렸다. 심장으로 직접 듣는 듯한 음악 속에서 춤을 추는 하루와 마틸다를 이 손으로 만들겠다고 하는 레오. 누가 누군지도 모르는 심야 클럽에서 조명을 받는 하루와 맥락 없는 어슴푸레한 분위기의 영상만 계속 찍는 레오.
마찬가지인 걸까.
자신은 무언가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자신에게는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 어느 쪽이 더 잘 살까. 어느 쪽이 고통스럽다는 생각을 덜 할까. 나는 현대시 강의 시간에 생기 넘치는 녀석들을 이해하지 못한다. 레오가 찍는 영화도 모른다. 하지만 그건 내 눈으로 직접 보고 생각한 것이다.
나는 하루의 춤을 본 적이 없다.
“자기 눈으로 보지도 않았으면서 그렇게 말하는 것, 좋지 않아.”
“뭐?”
하루가 나를 노려보았다.
“그 영화, 하루가 보면 아주 재미있어할지도 모르잖아. 자기 눈으로 본 뒤에야 비로소 알게 되는 게 있다고 생각해.”
어째서 나는 레오를 감싸는 걸까. 말하면서도 부끄러워서 목소리를 한 톤 높였다.
(「불타는 스커트의 그 아이」)
나쓰 선배의 재능은 잔혹하다고 하는 사람이 많다. 휘릭 그린 그림이 기발해서 어쩌다 많은 사람의 눈에 든 것뿐이라고 질투하는 사람도 입학한 지 두 달도 안 되는 사이에 많이 보았다. 나쓰 선배의 재능은 누군가의 등에 달린, 필사적으로 돌아가는 태엽을 날름 맛있게 먹어버린다.
아틀리에에 가까워졌다. 저 작은 건물 속에는 오늘도 필사적으로 돌아가는 태엽이 많이 있다.
하지만 나쓰 선배의 등에서 도는 태엽은 더 절실했을지도 모른다.
나쓰 선배의 뺨에는 휴지 찌꺼기가 묻어 있었다.
나는 알고 있다. 화장실 휴지로 눈물을 닦으면 흐물흐물 녹아서 뺨에 묻는다는 것. 아버지가 죽은 날, 병원 화장실에서 울었던 내 뺨에도 휴지가 잔뜩 묻었다. 화장실 휴지는 눈물에 녹는다. 나쓰 선배는 액자 속에서 찢긴 여동생을 보고 화장실에서 혼자 울었을 것이다.
어째서 나는 그 사람을 천재라고 생각했을까. 강하다고 생각했을까. 마법사 같다고 생각했을까.
마법사처럼 보이는 마법사는 사실 세상에 없다.
(「나는 마법을 쓸 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