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9119143220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1-09-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중국공산당의 승리
중국공산당 | 국민정부 | 혁명활동 | 국공내전
2장 중국공산당 통치의 제도화
인민민주독재 | 당·국가체제 | 양회(兩會) | 지방정부
3장 냉전과 자력갱생
냉전과 재건 | 1·5계획 | 반우파투쟁 | 중소균열
4장 대약진운동
인민공사 | 루산(廬山)회의 | 조정정책 | 독자외교
5장 문화대혁명
특권사회 | 권력투쟁 | 혁명열기 | 조반외교
6장 불신의 시대
비림비공(批林批孔) | 4·5운동 | 경제위기 | 다각외교
7장 계획과 시장의 양립
과거청산 | 계획과 시장 | 개혁개방 | 독립자주외교
8장 인민의 목소리
자유의 바람 | 개혁의 그늘 | 톈안먼사건 | 실용주의 외교
9장 거침없는 질주
남순강화(南巡講話) | 세계공장 | 세대교체 | 화평굴기(和平?起)
10장 책임 있는 국가
맺음말
참고문헌
도판 및 통계 자료 출처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머리말
일반인이 중국이라는 나라가 궁금해서 그 역사를 알려고 한다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중국현대사를 살펴보는 것이다. 중국현대사는 가장 최근 중국의 역사라는 점에서 비교적 접근하기 쉽기 때문이다. 일부 사람들은 중국의 역사라고 하면, 진시황의 통일제국 건설이나 유비나 조조로 대표되는 삼국지의 시대를 떠올릴 수도 있다. 하지만 단순한 흥미가 아니라 현재 중국 사회를 알고 싶다면, 우선 현대사의 전개 과정, 그 속에서 일어난 사건, 그 사건을 이끈 인물을 이해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중국의 현대사와 사회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은 중국인을 직접 만나고 교류하게 되었을 때 그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1장 중국공산당의 승리
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을 비롯한 중국공산당 지도부는 여러 정치세력의 대표자들과 함께 톈안먼의 망루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을 선포했다. 중국 전역에서 국민정부군이 산발적으로 저항하고 있었지만, 이미 승패를 되돌릴 수는 없었다. 국민정부는 비밀리에 정부와 주요 기관들을 이전했다. 12월, 장제스는 50만 군대와 여전히 자신을 따르던 사람들을 이끌고 타이완으로 달아났다. 일부 국민정부의 관계자들은 홍콩이나 미국으로 탈출했다. 중국공산당은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던 국민정부군과의 내전에서 농민의 지지를 바탕으로 승리했고, 창당 28년 만에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나라의 권력을 손에 쥐었다
2장 중국공산당 통치의 제도화
중국공산당의 통치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당·국가체제이다. 당·국가체제는 당이 국가를 다스리는 것(이당치국)으로, 독점적 권력을 지닌 정당이 중국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책임정치를 구현하려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하지만 여러 정당의 활동이 보장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공산당 이외의 정당이 집권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일당독재로 비난받을 여지도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