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독교 사용 설명서 세트 - 전12권

기독교 사용 설명서 세트 - 전12권

(구원과 삶에 관한 거의 모든 것)

강현복, 성희찬, 손재익, 안재경, 윤석준, 임경근, 한성훈, 한재술, 황대우, 황원하 (지은이)
세움북스
10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기독교 사용 설명서 세트 - 전12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독교 사용 설명서 세트 - 전12권 (구원과 삶에 관한 거의 모든 것)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성경공부교재 > 새신자
· ISBN : 9791191715200
· 쪽수 : 1736쪽
· 출판일 : 2021-12-30

책 소개

기독교의 근본을 다시 확인하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사는 삶! 교회의 역사와 제도, 신앙고백과 예전 그리고 신자의 거룩한 생활까지 기독교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 준다. 주일학교, 청장년 양육을 위한 최고의 양육교재 탄생. 한 달에 한 권씩, 총 12권, 1년 플랜의 교회 교육에 활용해 보자.

목차

1 종교개혁
2 교회정치
3 교회직원
4 사도신경
5 십계명
6 주기도문
7 공예배
8 교회예식
9 교회력
10 혼인
11 가정예배
12 신자의 생활

저자소개

안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신대학교와 고려신학대학원(Th.D Cand.)을 졸업하였다. 저작으로는 『고흐의 하나님』(홍성사), 『예배, 교회의 얼굴』(그라티아), 『예배의 모든 것』(SFC출판부), 『직분자반』(세움북스) 등이 있다. 고신총회 예전예식서개정전문위원, 교회건설연구소장을 맡고 있고, 온생명교회(남양주)를 담임하고 있다.
펼치기
황원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신대학교 신학과(B.A.)와 고려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하고, 남아공화국 University of Pretoria에서 얀 판 더 바트(Jan van der Watt) 교수의 지도로 신학석사 학위(Th.M.)와 신학박사 학위(Ph.D.)를 받았다. 귀국 후 모교인 고신대학교와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신약학을 가르치다가 현재 대구 산성교회 담임목사로 재직하고 있으며, 고신총회 성경주석 편집장, 개혁주의학술원 부이사장, 월간고신 기획위원장, 고려신학대학원 외래교수(신약학 담당) 등의 직책을 맡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그는 우리나라 정서와 현실에 맞는 ‘한국형 개혁교회’ 건설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산성교회와 한국교회를 섬기고 있다. 저서와 역서: 「The theological role of signs in the Gospel of John」 (Verlag Dr. Muller, 2008), 「40일간의 성경여행」 (공저, SFC, 2009), 「설교자를 위한 마가복음 주해」 (CLC, 2009), 「요한문헌 개론」 (역서, CLC, 2011), 「요한복음 해설노트」 (SFC, 2011), 「목회서신 주해」 (교회와 성경, 2014), 「마태복음: 고신교단 설립 60주년 기념주석」 (총회 출판국, 2014), 「갈라디아서 주해」(교회와 성경, 2014),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해설」 (교회와 성경, 2015), 「담임목사가 되기 전에 알아야 할 7가지」 (공저, 세움북스, 2016), 「응답하라 신약성경」 (세움북스, 2016), 「교회의 직분자가 알아야 할 7가지」 (공저, 세움북스, 2017), 「요한복음」 (SFC, 2017), 「성도가 알아야 할 7가지」 (공저, 세움북스, 2018), 「베드로전서 주해」 (교회와 성경, 2018), 「언약의 관점에서 본 다니엘서」(교회와 성경, 2018), 「사도행전: 고신교단 설립 60주년 기념주석」(총회 출판국, 2019), 「요한복음」 (개정판, SFC, 2021). 「기독교 사용 설명서: 십계명」 (세움북스, 2021), 「요한복음: 성경원문 새번역 노트」 (SFC, 2022), 「개혁신앙으로 시대읽기」 (편집, 담북, 2024), 「새 가족 안내서」 (생명의양식, 2024) 등. 연구 논문: “The identity of the recipients of the Fourth Gospel in the light of the purpose of the Gospel,” Hervormde Teologiese Studies 63/2(2007/June) 등 다수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임경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한 후 네덜란드에서 개혁신학을 공부(Drs. Th. D.)한 후 한국에 들어와, 샘물기독학교에서 기독교 교육에 몸담았다. 기독교 학교의 기초와 실제를 다룬 『기독교 학교 이야기』를 저술했다. 네 명의 자녀를 홈스쿨링으로 교육하면서 성품 교육에 많은 경험을 쌓았다. 그리고 수 권의 가정예배서 『교리와 함께하는 365 가정예배』, 『365 교리 묵상』, 『콕 집어 알려주는 가정예배 가이드』를 저술했으며, 전공을 살려 교회사 책 『세계 교회사 걷기』, 『한국 교회사 걷기』도 출간했다. 그리고 『easy 성경통독(구약)』, 『easy 성경통독(신약)』을 엮어 개혁신앙으로 성경 읽기를 시도하고 있으며, 하나님의 형상인 성품의 회복을 위한 책 『성품 - 하나님의 형상을 찾아서』를 출간했다. 번역서로는 헤르만 바빙크의 『믿음의 확신』과 아브라함 카이퍼의 『반혁명 국가학』이 있다. 고신대, 고려신학대학원, 백석대학교 대학원에서 후학들을 가르쳤고, 지금은 다우리교회를 개척하여 목회 현장에서 사역하고 있다.
펼치기
황대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신대학교 신학과와 신학대학원 및 일반대학원을 졸업하고 네덜란드 기독개혁신학대학교(Theologische Universiteit te Apeldoorn)에서 빌름 판 엇 스뻬이꺼르(Willem van ‘t Spijker) 교수의 지도 아래 “그리스도의 신비한 몸: 부써와 칼빈의 교회론”(Het mystieke lichaam van Christus: de ecclesiologie van Martin Bucer en Johannes Calvijn)으로 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고신대 학부대학 교회사 교수, 개혁주의학술원 원장이며 한국칼빈학회 회장 역임 후 명예회장으로 『칼빈연구』 편집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기독교사용설명서 1: 종교개혁』(세움북스), 『부써, 교회연합운동의 선구자』(익투스), 『칼빈과 개혁주의』(깔뱅), 『종교개혁과 교리』, 『삶, 나 아닌 남을 위하여』(이상 SFC), 『고신교회의 태동: 원자료와 논문』(개혁주의 학술원) 등이 있고, 역서로는 『문답식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 『루터: 약속과 경험』, 『기도 묵상 시련: 루터와 칼빈이 말하는 참 신앙의 삼중주』 등이 있다.
펼치기
강현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4년 울릉도에서 태어났다. 조모의 신앙을 이어받아 어린 시절 막내 고모의 등에 업혀 예배당을 출입했고 부지런히 주일학교를 다녔다. 초등학교 4학년, 섬에서 온 가족이 경북 경산의 한 시골로 이사를 했다. 압량중앙교회(구 신대교회)를 만나 비로소 고신교회를 알게 되었다. 내성적이며 소극적인 성향으로 조용하고 눈에 띄지 않는 학창시절을 보내다 고등학교 시절 학생신앙운동을 통해 교회 생활의 즐거움을 깨닫기 시작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재수와 군 생활을 마치고 약간의 고민 끝에 신학교에 진학했다. 대구신학교에서 신학훈련과 목회훈련을 받으며 목회자의 길에 확신을 가졌다. 전국학생신앙운동 위원장으로 섬겼고, 고려신학대학원에서 본격적인 신학과 목회훈련을 받았다(고려신학대학원 49회 졸업). 현흥교회, 실로암 교회, 포항 대흥교회, 경주 경일교회에서 부 교역자로 섬기다 밀양의 파서교회에서 약 삼 년 동안 목회했다. 2000년 6월, 포항에서 샘터교회를 개척하여 지금까지 섬기고 있다. 개혁주의 신학에 근거한 장로교회를 세우는 것을 저자의 평생에 사명으로 생각하며 목회하고 있다. 10여 년간 준비한 기독교학교(초등 및 중·고등학교)의 설립과 성숙을 위해 학부모들과 교사들을 교육하는 일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다른 목회자들과 지속적인 말씀 연구에도 헌신하고 있다. 그루터기 기독교학교(2021년 개교), 보편교회를 꿈꾸는 목회자 성경연구 모임과 개혁주의 성경연구 모임은 그 열매이다. 가족으로는 아내 최애리와 두 아들(영래, 영빈)이 있다. 저서로는 신앙에세이 『별들을 위한 노래』, 『동지여 저 하늘을 위해』와 개혁신앙강해인 『땅 위에 아로새겨진 하늘나라』, 『에클레시아』가 있다. 또한 신앙고백서 해설인 『성경이 꽃피운 고백』(이상 R&F)과 예배에 대한 설명으로 『기독교 사용 설명서 7: 공예배』(세움북스)를 집필하였다. 『땅 위에 아로새겨진 하늘나라』, 『에클레시아』, 『구속사적 설교의 실제 II』는 몽골어로 번역되었다. 현재는 『우리가 오해하는 성경이야기』를 집필 중이고, 먹고 마심에 대한 성경신학적 의미를 연구 중이다.
펼치기
한재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경과 경건 서적들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를 크게 경험한 지은이는 동료 그리스도인들도 성경과 경건 서적들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를 크게 경험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현재 “그 책의 사람들” 출판사 대표이며 사랑하는 아내와 네 아이, 하영, 민하, 서준, 다혜와 함께 광교장로교회에서 신앙생활하고 있다.
펼치기
성희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신대학교와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아펠도른 신학대학에서 공부하였다. 저작으로는 『한국장로교회 헌법개정역사』(생명의 양식)가 있고, 『하이델베르크요리문답해설』,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에게 주신 찬송 시편』(이상 성약출판사)를 번역하였다. 고신총회 이단대책위원회 서기, 예전예식서개정위원으로 섬기고 있으며, 작은빛교회(창원)를 담임하고 있다.
펼치기
손재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길교회(서울남부노회) 담임목사다. 5세 때 혼자서 교회를 다녔다. 10세 때부터 목사 직분을 사모했고, 15세 때 삼위 하나님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28세 때 신학대학원에 입학하여, 35세 때 목사로 임직했다. 36세에 한길교회를 개척하여 지금까지 섬기고 있다. 부산대학교(B.A), 고려신학대학원(M.Div),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Th.M)에서 공부했다. 지금까지 지은 책으로는 성경 전반을 구속사적으로 살핀 『우리가 성경을 오해했다』(세움북스), 구원론의 기본을 다룬 『나에게 거듭났냐고 묻는다면?』, 『나는 하나님 앞에서 의로울 수 있을까?』, 『성화, 이미와 아직의 은혜』를 비롯해, 『설교, 어떻게 들을 것인가?』(이상 좋은씨앗), 『특강 예배모범』(흑곰북스), 『분쟁하는 성도 화평케 하는 복음』(지우), 『사도신경, 12문장에 담긴 기독교 신앙(해설서와 교재)』, 『십계명, 언약의 10가지 말씀(해설서와 교재)』, 『벨기에 신앙고백서 강해(해설서와 교재)』(상 디다스코) 등이 있으며, 공저로 『결혼매뉴얼』, 『장례매뉴얼』, 『청빙매뉴얼』(이상 교회건설연구소), 『담임목사가 되기 전에 알아야 할 7가지』, 『교회의 직분자가 알아야 할 7가지』, 『성도가 알아야 할 7가지』(이상 세움북스), 『교회건설 매뉴얼』, 『종교개혁, 왜 오직인가?』(생명의 양식)가 있다. 유튜브 채널 [기독교의 모든 것](youtube.com/christ00)을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윤석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유은교회 목사. 고려신학대학원에서 목사 수업(M.Div)을 받고 교의학(Th.M)을 전공했다. 네덜란드 개혁교회를 모범으로 삼아 개혁교회 건설을 목표로 사역 중이다. 세 가지 분야에 관심을 갖고 글을 쓰고 있는데, 첫째, 구속사적 성경 해석, 둘째, 신앙고백과 교리문답, 셋째, 개혁교회 생활 안내가 그것이다. 『한국교회가 잘못 알고 있는 101가지 성경 이야기 1, 2』,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설교 1, 2, 3』(이상 부흥과개혁사), 『목회를 위한 교회론』(송영목 공저, 도서출판향기), 『지하철에서 읽는 사도신경』(퓨리탄리폼드북스), 『기독교 사용 설명서 10: 혼인』, 『견고한 확신: 도르트 신조 강해의 정석』, 『참된 신앙을 위한 세 하모니』(이상 세움북스)를 출간하였다.
펼치기
한성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주대학교를 졸업한 뒤 학생선교단체인 SFC에서 평신도 간사로 사역을 시작하였다. 중도에 잠시 기독교방송(CBS-TV)에서 일하기도 하였지만 말씀의 사역자로 부르심을 깨닫고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2013년부터 수원에서 살림교회를 개척하여 행복하게 사역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시리즈 서문

독일의 개혁자 마틴 루터가 비텐베르크 성곽교회 문에 면벌부를 반박하는 95개조 대자보를 내 붙인 지 500년을 훌쩍 지나 몇 년이 더 흘러가고 있습니다. 종교개혁은 제도적인 개혁, 도덕적인 개혁에 불과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종교개혁은 예배의 개혁이면서 동시에 교리와 삶의 총체적인 개혁이었습니다. 이 종교개혁이 거대한 로마교회체제와 성도들의 신앙생활을 흔들어 놓았습니다. 하나님을 참되게 예배하기 시작하면서 교인들은 두려움이 아니라 기쁨과 감사 가운데 살아가기 시작했습니다. 그 개혁의 불꽃이 교회만이 아니라 유럽 사회 전체를 새롭게 했습니다. 과연 우리 한국개신교회는 개혁의 그 아름다운 모습을 얼마나 누리고 있을까요?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종교개혁이 교회의 몇몇 악습을 제거한 것이 아니라 총체적인 개혁이었음을 드러내기 위해 『종교개혁자들과의 대화』(SFC출판부) 12권 시리즈를 발간한 바 있습니다. 그 시리즈를 통해 종교개혁이 예배, 교회, 역사, 교육, 가정, 정치, 경제, 문화, 학문, 교리, 과학, 선교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살펴 보았습니다. 우리 청소년들이 어떤 영역에서 일하든 하나님의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했습니다. 이 종교개혁 500주년의 후속 작업이 바로 본 시리즈 『기독교 사용 설명서』입니다. 본 시리즈는 우리 기독교의 근본을 재확인하고, 다시금 개혁의 정신을 되살려 오직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아가고자 하는 마음으로 기획했습니다.
본 시리즈에서는 기독교를 총 4부로 나누어서 설명합니다. 제1부는 종교개혁, 교회정치, 교회직분입니다. 우리는 종교개혁의 역사를 통해 교회정치와 직분이 어떻게 새로워졌는지를 잘 알아야 합니다. 제2부는 사도신경, 십계명, 주기도문입니다. 개혁자들은 교리문답을 만들었는데 그 교리문답들의 대부분은 이 세 가지를 해설하면서 기독교신앙의 요체를 드러내었습니다. 사도신경은 우리가 믿고 있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고백하는 것이고, 십계명과 주기도문은 우리가 어떻게 감사의 삶을 살아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제3부는 공예배, 교회예식, 교회력입니다. 교회는 예배를 위해 부름받았고, 각종 예식을 통해 풍성함을 누리고 교회력을 통해 이 세상에서 그리스도를 누리면서 새로운 시간을 살아갑니다. 마지막 제4부는 혼인, 가정예배, 신자의 생활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처음부터 제정하신 제도인 혼인을 통해 언약가정을 이루고 가정에서 예배하면서 기독교인으로서 이 세상을 살아갑니다.
그동안 덮어놓고 믿었던 것이 교회의 쇠퇴와 신앙의 배도에까지 이르고 있습니다. 코로나시대에 함께 모여 예배하고 교제하는 것이 힘들어졌지만 기독교신앙에 대해 치열하게 학습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우리가 무엇을 믿는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근본에서부터 잘 학습해야 하겠습니다. 각 세 권씩으로 구성된 총 4부의 『기독교 사용 설명서』를 통해 우리 기독교와 교회의 자태를 확인하고 누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12권 시리즈로 기획했기에 매월 한 권씩 함께 읽으면서 공부하고 토론하기에 좋을 것입니다. 기존 신자들 뿐만 아니라 자라나는 우리 청소년과 청년들이 이 시리즈를 통해 기독교의 요체를 확인하고 믿음의 사람들로 든든히 서서 교회를 잘 세우면서 이 세상에서 담대하게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교회를 세우기 위해 가르치면서 해당 주제를 잘 집필해 주신 집필자들의 수고에 감사를 드리고, 이 시리즈 기획을 흔쾌히 받아 출간하는 세움북스 강인구대표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2021년 11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