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91757378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2-03-10
책 소개
목차
머리글
일러두기
참고 자료
顔氏家訓 <제4권>
10. 名實(명실)
135 名分과 實質
136 마음의 여유
137 드러나는 거짓
138 돈으로 산 有識
139 자식의 문장 고쳐주기
140 眞情이 아니라면?
141 진정한 명성
11. 涉務(섭무)
142 國用의 인재
143 士大夫의 무능
144 士大夫의 허약
145 농사를 모르는 士大夫
顔氏家訓 <제5권>
12. 省事(생사)
146 無多言, 無多事
147 國事에 대한 上書
148 諫諍(간쟁)하기 전에
149 관직의 運
150 청탁 그리고 榮華(영화)
151 義理 지키기
152 명성만을 추구하다 보니
13. 止足(지족)
153 先祖의 유훈
154 살림의 규모
155 벼슬살이는?
14. 誡兵(계병)
156 有名 武人은 없었다
157 어설픈 智略(지략)
158 밥통이며 술독
15. 養生(양생)
159 神仙術과 養生
160 石崇(석숭)의 몰락
161 당당한 죽음
16. 歸心(귀심)
162 佛敎 信心
163 儒佛의 같은 宗旨(종지)
164 불교 비판의 요점
165 인간 세상만이 근거인가?
166 보고 들어야만 믿는가?
167 神通力을 못 믿는가?
168 인과응보
169 행실 나쁜 士人이나 승려
170 佛家와 국력 소모
171 불교의 來世
172 함부로 살생하지 말라
173 계란도 생명?
174 羊이 살려 달라 했는데
175 불당 앞, 소가 절을 했는데!
176 백성 손을 잘랐더니
177 소, 물고기에게 죽은 사람
178 며느리를 구박하면?
顔氏家訓 <제6권>
17. 書證(서증)
179 「參差荇菜(참치행채)」
180 「誰謂荼苦?」
181 「有杕之杜(유체지두)」
182 「駉駉牡馬(경경모마)」
183 「荔挺出(여정출)」
184 「將其來施施」
185 「興雲祁祁(흥운기기)」
186 「定猶豫(정유예)」
187 「齊侯痎, 遂痁.」
188 「惟影響」
189 軍陳의 陳
190 「集於灌木」
191 語助辭 ‘也’
192 ‘蜀才’란 저자
193 「臝股肱(나고굉)」
194 「田肯賀上」
195 《漢書 王莽傳》 贊
196 簡策의 策
197 ‘虙, 今伏羲氏也’
198 「寧爲雞口, 無爲牛後.」
199 伎癢(기양)
200 妒媚(투미)
201 隗林(외림. 人名)
202 「中外禔福」
203 禁中이 省中
204 四姓小侯
205 「鸛雀銜三鱔魚(관작함삼선어)」
206 虎穴(호혈)
207 「風吹削肺(풍취삭폐)」
208 鹽豉蒜果(염시산과)
209 弊攰(폐기)
210 濌伯(답백)
211 丈人(장인)
212 吹扊扅(취염이)
213 《通俗文》의 저자?
214 고전에 추가된 후대의 事實
215 鴟尾(치미)
216 罽䋿(계외)
217 巏嵍山(권무산)
218 一夜 五更(오경)
219 朮(출)은 山薊(산계)
220 傀儡子(괴뢰자)
221 長流
222 《說文解字》
223 俗字의 사용
224 破字(파자)
225 日中必熭(일중필위)
顔氏家訓 <제7권>
18. 音辭(음사)
226 言語不同
227 發音의 차이
228 口開而不閉
229 好惡(호오)의 발음
230 甫(보) - 男子의 美稱
231 焉(언)의 音訓
232 의문사 - 邪(야)
233 敗-自, 他動詞
234 발음은 정확해야
235 이름은 정확하게
19. 雜藝(잡예)
236 書法
237 道不同, 不相爲謀
238 王羲之의 영향력
239 남북 書法의 퇴폐
240 <畫書賦(획서부)>
241 繪畫(회화)
242 弓射(궁사)
243 卜筮(복서)
244 算術(산술)
245 醫學(의학)
246 악기 연주
247 바둑
248 投壺(투호)
20. 終制(종제)
249 죽음을 기다리며
250 나는 불효자
251 장례는 검소 간략하게
252 揚名(양명)
●부록
1. <顔之推傳>
2. 顔之推 年譜(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