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책] 안씨가훈 - 상

[큰글자책] 안씨가훈 - 상

(안씨가훈)

안지추 (지은이), 진기환 (옮긴이)
명문당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1,50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책] 안씨가훈 - 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안씨가훈 - 상 (안씨가훈)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91757477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2-05-31

목차

머리글
일러두기
참고 자료

一. 저자 顔之推
二. 《顔氏家訓》
三. 魏晉南北朝(위진남북조)의 역사 개관
1. 삼국시대
2. 西晉(서진)의 통일
3. 南北朝 시대
4. 隋(수)의 통일

顔氏家訓 <제1권>

1. 序致(서치)
001 믿고 따라주기를 바란다
002 우리의 家風
2. 敎子(교자)
003 자식 가르치기
004 嚴父(엄부)의 회초리
005 嚴敎(엄교)와 失敎(실교)
006 엄격한 父子 관계
007 자식을 망친 총애
008 자식 偏愛(편애)
009 時流에 영합하지 말라
3. 兄弟(형제)
010 부모의 氣를 이어받은 형제
011 서로 돌볼 형제
012 兄弟가 不和하면?
013 同壻(동서) 사이는?
014 兄을 父親처럼 모신다면?
015 죽음도 같이 한 3형제
4. 後娶(후취)
016 愼重(신중)해야 할 後娶(후취)
017 後娶에 따른 폐해
018 家門의 禍(화)
019 繼母(계모)와 生母
020 孝子의 兄弟 友愛
5. 治家(치가)
021 上行下效
022 治家는 治國과 같다
023 검소와 절약
024 生業의 기본
025 지나친 刻薄(각박)
026 寬容(관용)의 폐단
027 지나친 관용
028 자선과 인색
029 새벽에 암탉이 울 수 없다
030 女風의 南北 차이
031 여아 혐오
032 며느리 학대
033 婚事의 상대방
034 빌려온 책
035 미신을 믿지 말라

顔氏家訓 <제2권>


6. 風操(풍조)
036 사대부의 예의범절
037 지나친 避諱(피휘)
038 아첨하는 避諱(피휘)
039 피휘 - 같은 뜻으로 대체
040 피해야 할 비천한 이름
041 후손의 처지를 고려해야
042 옛 名人을 본뜬 이름
043 천박한 名字
044 陶朱公의 長男
045 家內 호칭
046 남의 친족에 대한 호칭
047 問喪(문상)과 接客(접객)의 남북 차이
048 自稱(자칭)의 禮
049 古人에 대한 호칭
050 백숙부와 조카에 대한 호칭
051 남, 북의 이별
052 친족 호칭은 분명하게
053 宗親 내의 호칭
054 姑母(고모)와 姨母(이모)의 호칭
055 호칭에 따른 조롱
056 名, 字, 諱
057 喪禮의 哭
058 問喪(문상)
059 辰日 不哭
060 亡者의 혼령이 殺人을?
061 부모 한 분을 여윈 뒤에
062 탈상 후의 모습
063 양친을 추모하는 마음
064 부모 유품
065 斷腸(단장)의 슬픔
066 忌日不樂(기일불락)
067 節日에도 근신하기
068 글자로 피휘하기
069 말실수
070 돌날의 돌잡이
071 괴로울 때의 탄식
072 탄핵, 재판 중일 때
073 家長의 出征, 臥病(와병)의 경우
074 義兄弟 맺기
075 손님맞이하기
7. 慕賢(모현)
076 聖賢(성현)은 만나기 어렵나니!
077 옆집 노인 孔氏
078 他人을 인정하기
079 출신은 미천하지만
080 능력의 차이
081 생사에 따른 存亡
082 나라의 기둥

顔氏家訓 <제3권>


8. 勉學(면학)
083 不學無識(불학무식)
084 자손을 위한 萬卷書
085 가장 고귀한 일은?
086 왜 학문을 해야 하는가?
087 누구에게 배웠는가?
088 배운 것은 실천해야
089 학문했다고 미움 받아서야!
090 학문은 나무 심기
091 晩學(만학) - 밤을 밝히는 촛불
092 실용성 있는 학문을 해야!
093 학문이 깊지 못하니!
094 老莊의 후예들
095 無知한 효도
096 梁 元帝의 好學
097 古人의 勤學(근학)
098 면학했던 환관
099 자식의 참된 효도는?
100 부정확한 지식
101 眼學과 耳學
102 학문의 바탕 文字學
103 정확한 글자 쓰기
104 地名의 유래 탐구
105 字意 탐구(一)
106 字意 탐구(二)
107 語源探究(어원탐구)
108 方言 탐구
109 鳥名 탐구
110 無識(무식)
111 同音異字
112 서적 校定

顔氏家訓 <제4권>


9. 文章(문장)
113 文人의 경박
114 학문의 재능
115 名文 짓기
116 文士의 지조
117 揚雄(양웅)에 대한 평가
118 風雪을 이기고 꽃도 피운다면?
119 良馬에 고삐를
120 문장 규범
121 古今 문장의 조화
122 우리 가문의 文風
123 문장은 쉬워야!
124 인물 평가
125 詩文에서 꺼리는 말
126 詩文 비평
127 代作의 어려움
128 輓歌(만가)
129 일관된 主題
130 典故의 바른 인용
131 文章의 지리적 지식
132 文外 絶唱 - 詩人 王籍(왕적)
133 완연한 정경
134 何遜(하손)의 詩

저자소개

안지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양 무제 중대통 3년(531) 강릉(江陵)에서 태어나, 수 문제 개황 11년(591) 6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부친 안협(顔?)은 양나라 상동왕 소역의 진서부자의참군을 지냈으며, 여러 서적을 두루 섭렵하고 초서와 예서에 뛰어났다. 처음 양나라에 벼슬해 상동왕 소역의 좌국상시를 시작으로 진서묵조참군을 지내고 산기시랑의 관직에까지 올랐다. 후경(侯景)의 난 때는 약 4년간 포로 생활을 하다가 풀려났으며, 승성 3년(554) 서위가 침공하자 다시 포로가 되어 북방으로 이송되었다. 그 후 양나라가 멸망했다는 소식을 접하고서는 북제에서 벼슬해 중서사인, 황문시랑 등의 주요 관직에 올랐다. 그러나 북제는 다시 북주에 의해 멸망했고, 그는 또 한 번의 포로 생활을 겪은 뒤 북조의 정권에서 어사상사의 벼슬을 지냈다. 이러한 그의 끊임없는 정치적 부침은 수나라 양견이 북조를 멸망시키고 천하를 통일하면서 일단락되고, 그는 태자의 학사로 부름을 받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병으로 생을 마감했다. 생전에 ≪문집(文集)≫ 30권을 남겼으나 현재 전하지 않는다. 현존하는 것으로는 ≪가훈≫ 20편 외에 ≪환원지(還寃志)≫ 3권이 있으며, ≪북제서(北齊書)≫와 ≪북사(北史)≫에 그의 전기가 기록되어 있다.
펼치기
진기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도연 진기환은 중국의 문학과 사학, 철학에 관련된 고전을 우리말로 국역하거나, 저술하였다. 서울의 대동세무고등학교 교장 역임. - 주요 저서 - 중국 고전소설 《儒林外史》 국내 최초 번역. 《史記講讀》, 《史記 人物評》,《中國의 土俗神과 그 神話》,《中國의 신선이야기》,《上洞八仙傳》,《三國志 故事成語 辭典》,《三國志 故事名言 三百選》,《三國志의 지혜》,《三國志 人物評論》,《精選 三國演義 原文 註解》,《中國人의 俗談》,《水滸傳 評說》,《金甁梅 評說》,《논술로 읽는 論語》,《十八史略 中(下)·下(上)·下(下)》,《唐詩三百首 上·中·下》 共譯 ,《唐詩逸話》,《唐詩絶句》,《王維》,《漢書》 全 15권 ,《後漢書》全 10권 외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