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91192628400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4-11-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풍(齊風), 제 지역의 노래
1 계명(鷄鳴)
2 선(還)
3 저(著)
4 동방지일(東方之日)
5 동방미명(東方未明)
6 남산(南山)
7 보전(甫田)
8 노령(盧令)
9 폐구(敝笱)
10 재구(載驅)
11 의차(猗嗟)
「제풍」을 마치며
진풍(陳風), 진 지역의 노래
1 완구(宛丘)
2 동문지분(東門之枌)
3 횡문(衡門)
4 동문지지(東門之池)
5 동문지양(東門之楊)
6 묘문(墓門)
7 방유작소(防有鵲巢)
8 월출(月出)
9 주림(株林)
10 택피(澤陂)
「진풍」을 마치며
조풍(曹風), 조 지역의 노래
1 부유(蜉蝣)
2 후인(候人)
3 시구(鳲鳩)
4 하천(下泉)
「조풍」을 마치며
책속에서
천자의 입장에서 제후에게 땅과 백성에 대한 전권을 위임하는 것은 큰 권한을 주는 것으로, 위험한 선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중할 수밖에 없지요. 그래서 무왕은 다시 종법제를 택하여 자신의 동생들을 제후로 삼습니다. 동성(同姓)의 제후국이지요. 장자의 집안인 본가(本家)에서 분가(分家)한 것처럼요. 본가를 ‘대종’(大宗)이라 하고 분가를 ‘소종’(小宗)이라 합니다. 지금도 종갓집, 큰집, 작은집, 이런 단어가 익숙하실 겁니다.
동생 주공 단(旦)을 노(魯)에, 소공 석(奭)을 연(燕)에, 숙선(叔鮮)을 관(管)에, 진탁(振鐸)을 조(曹)에, 이런 식으로 차례대로 봉했습니다. 동성의 제후국을 만든 것이지요. 나중에 성왕(成王)이 작은아버지 봉(封)을 위(衛)에, 동생 당숙우(唐叔友)를 진(晉)에 봉합니다. 11대 천자 선왕(宣王)은 마지막으로 동생 희우(姬友)를 정(鄭)에 봉하는데요. 그래서 노, 위, 정, 진, 조 등은 모두 ‘희’(姬) 성의 제후국으로 서로 결혼할 수 없습니다. 제나라 강(姜)씨 여인들이 노, 위 등 주변의 제후들과 계속 결혼한 이유입니다. 문강, 애강, 목강, 이강, 장강, 선강…. 모두 제나라 제후의 딸들입니다.
‘전지도지 자공소지’(顚之倒之 自公召之). 방안에서 왜 전도하고 있는가, 이유가 있지요. ‘자공소지’라고 합니다. ‘자’(自)는 ‘~로부터’[從]이지요. ‘공’(公)은 ‘공소’(公所)로 군주가 있는 왕궁입니다. 왕궁에서 찾는다는 명이 왔군요. 아직 일어날 시간도 아니니 당황하고 서두를 수밖에요. 그래서 군주의 하루 스케줄에 일정한 원칙이 없다고 비난하는 겁니다. 여러분, 이 시는 연극의 한 장면처럼 보면 더 재미있습니다. 상상해 보세요. 신하가 새벽에 곤히 자고 있는데, 군주가 갑자기 사람을 보내서 “어서 궁으로 듭시랍니다”라고 하면 얼마나 정신이 없겠습니까? 옷을 뒤바꿔 입는 소동이 일어나지요.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어떤 조직이 제대로 돌아가려면 규칙이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피곤해서 직장생활 하기 어려워요. 군주와 신하는 계약 관계일 뿐이건만 왜 멋대로 부릴 수 있다고 생각할까요.
이 한 편의 드라마에는 두 명의 남성과 한 명의 여인이 등장합니다. 두 남성은 제 양공(재위 : 기원전 697~686)과 노 환공(재위 : 기원전 711~694)인데요. 여주인공 문강(文姜)은 제 양공의 여동생이자 노 환공의 아내입니다. 고우영 화백은 『만화 십팔사략』에서 이들의 관계에 대해 적나라하게 묘사했지요. 문강을 색기 가득한 요부(妖婦)로 그렸는데, 그랬을 수도 있지요. 하지만 당시 제와 노 양국의 정치 상황, 국제 질서의 변화를 보면 단순히 남녀 스캔들로만 볼 수 없습니다. 천자의 권위가 무력해지면서 패자의 시대가 열릴 때였지요. 제 양공은 주변 제후들을 결집하여 패권을 장악하려 했고, 결국 동생 제 환공이 패자가 되었습니다. 문강은 남편 환공, 아들 장공 시대에 제와의 외교에 고심하면서 두 남자의 적극적 조력자역할을 했습니다. 유능한 책사(策士)였지요. 스캔들에 가려졌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