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가족의 역사를 씁니다

가족의 역사를 씁니다

(어느 재일 사회학자가 쓴 가족의 생활사)

박사라 (지은이), 김경원 (옮긴이)
원더박스
1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820원 -10% 0원
990원
16,8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860원 -10% 690원 11,780원 >

책 이미지

가족의 역사를 씁니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가족의 역사를 씁니다 (어느 재일 사회학자가 쓴 가족의 생활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92953045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3-05-04

책 소개

제주 4·3 사건에서 살아남은 어느 재일코리안 가족의 생애. 이 책에서는 제주도를 떠나 일본에서 삶의 터전을 일군 네 명의 생애가 소개된다. 저자는 이들의 조카이자 사회학자라는 독특한 자리에 서서 가족의 생활사를 썼다.

목차

여는 글

제1장 생활사를 쓰다
당신의 인생을 들려주세요
알고 싶은 것을 알아내는 방법
‘사회학적’ 분석이란 무엇인가?
과거를 사회학의 대상으로 삼기
생활사를 쓰다
두 가지 ‘올바름’

제2장 아무도 모른다 ― 이연규 고모부
유소년 시절
일본 제일의 교육자가 되고 싶었어
‘해방’과 ‘패전’ 사이
3·1절 파업
체포당하다
하루라도 빨리 도망가야겠다
운을 하늘에 맡기고
남겨진 사람들
고모부의 해방
아름다운 제주

제3장 일인칭 주인공 시점의 역사 ― 박정희 고모
할아버지가 우셨을 때
어린 시절
제주도 생활
역사가 되지 않은 경험
일본으로 ‘밀항’
오무라 수용소에서의 추억
노름, 결혼, 일
신낙원과 실크로드
조각난 이야기
개인의 체험에서 역사적 사실을 읽는다는 것

제4장 재일코리안 1세의 전형적인 삶 ― 박성규 큰아버지
와카야마로 피란 가다
조선으로 돌아가다
제주도 생활
해방 후의 혼란
제주 4·3 사건
죽는다는 뜻이 뭔지 몰랐어
마을 사람들의 학살
한라산의 빽빽한 숲
일본으로
스이타 사건
제일 괴로운 일
차별을 인식한다는 것
허드레꾼에서 기술자로
돈놀이꾼의 경호원
전형적인 삶을 살다

제5장 말할 수 없는 이야기 ― 박준자 고모
나이 들어 낳았으니까 도시코
친구가 있었어
4·3 사건 이후
‘무서운 일’의 의미
어머니가 누군지도 몰랐어
다들 엮여 있으니까
조선, 조선, 발바닥이 좀 이상해
입주 노동자 시절
고모의 사랑
고모의 결혼
야간중학교에 진학하다
남한테 말할 수 없는 괴로움
이제는 노래방에서 가사를 읽을 수 있어
펜으로 벌어먹는 가족
말하지 않았지만 드러나는 진실

제6장 아름다운 제주 ― 나의 제주 답사
제주의 부 기사님
일본 할망
고향의 꿈
할아버지에 대하여
부 기사님 이야기
중첩된 폭력
기억의 장소

맺는 글
미주
참고문헌
연표
글의 출처

저자소개

박사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학자. 작가. 1984년 일본 교토시 출생. 교토대학교 문학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리츠메이칸대학 국제관계학부 부교수, 고베대학교 국제문화학연구과 강사를 거쳐, 현재 헬싱키대학교 문학부에서 강의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사회학, 국제 이주, 인종과 민족성, 민족주의로, 주요 저서로는 《집의 역사를 쓰다家の歴史を書く》, 《외국인을 만들어내다: 전 후 일본의 ‘도항’과 입국 관리제도의 운용外国人 をつくりだす: 戦後日本における「密航」と入国管 理制度の運用》가 있다. 공저로는 《최강의 사회조사 입문 最強の社会調査入門》, 역서로는 알렉산드로 포르텔리(Alessandro Portelli)의 《구술사란 무엇인가オ-ラルヒストリ-とは何か》가 있다.
펼치기
김경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인문대학 국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홋카이도대학 객원연구원을 지냈으며, 인하대 한국학연구소와 한양대 비교역사연구소에서 전임연구원을 역임했다. 서울대, 강원대, 인하대, 서울시립 대 등 여러 대학과 이화여대 통역번역대학원에서 강의했다. 동서문학상 평론 부문 신인상을 수상한 후 문학평론가로도 활동했고, 현재는 한겨레교육문화센터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국어 실력이 밥 먹여준다』(공저)가 있고, 역서로는 『가난뱅이의 역습』, 『단편적인 것의 사회학』, 『어떤 글이 살아남는가』, 『정정 가능성의 철학』, 『하루키 씨를 조심하세요』, 『아니, 이 쓰레기는 뭐지?』, 『어떻게든 되겠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대학원에 진학하고 나서 친척에게 “넌 무얼 해서 벌어 먹고살래?” 하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다. 차마 웃지도 못하고 머뭇거리는 나를 대신해 아버지가 나서서 갑자기 “이 애는 강상중(姜尙中) 같은 사람이 될 거래요” 하고 공표해 버렸다. 나는 당황해서 “무슨 말씀이세요! 그런 생각은 꿈에도 한 적이 없는걸요!” 하고 대꾸했지만 아무도 내 말은 들으려고 하지 않은 채, “흠, 강상중 말이지?” 하고 다들 고개를 끄덕였다. 대학원이라는 존재조차 몰랐던 그들이지만 강상중만큼은 알고 있었다. 재일코리안으로서 널리 알려진 유명인은 그들에게 영웅이었다.


생활사와 구술사의 차이는 무엇일까? 아주 범박하게 말해 보자면 개인이 살아온 삶에 흥미가 있느냐, 개인이 체험한 사건에 흥미가 있느냐의 차이 아닐까. (중략) ‘이 사람은 이때 왜 이렇게 결단하고 이렇게 행동했을까?’를 이해하려는 것은 생활사에 속하고, ‘이 사건은 무엇인가? 어떻게 발생했는가?’를 이해하고 재구성하려는 것은 구술사라는 식으로 말이다.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듯 나는 명명백백 ‘보통 일본인’이 아니다. 내가 글을 쓰거나 사람들 앞에서 이야기한 것은 모조리 ‘재일코리안 3세 여자아이’의 글이고 이야기였다. 아버지가 재일코리안이라는 것, 내 이름이 ‘박사라’인 것, 큰아버지나 고모 들이(내게는 그런 친척밖에 없어서 매우 자연스러웠지만) 학교 친구나 선생님에게는 ‘별나’ 보였다는 것, 초등학교에 들어가자마자 부모님에게 “난 어느 나라 사람이야?” 하고 물었던 것……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2953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