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92999418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4-06-1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이 책의 구성과 사용법
PART 1 일상 속 자주 봤던 철학 용어
아이러니 │ 르상티망 │ 레종데트르 │ 레토릭 │ 메타포 │ 콘텍스트 │ 카타르시스 │ 포스트모던 │ 이데올로기 │ 패러다임 │ 패러독스 │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래디컬 │ 니힐리즘 │ 페시미즘 │ 에고이즘 │ 페티시즘 │ 리버럴리즘 │전체주의 │ 카오스/코스모스 │ 자아 │ 아이덴티티 │ 중용 │ 이성 │ 주체/객체
PART 2 상식으로 알아 두고 싶은 철학 용어
변증법 │ 테제/안티테제/진테제 │ 아우프헤벤 │귀납/연역 │ 토톨로지 │ 레세페르 │ 이데아│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심신이원론 │ 아우라 │ 아가페 │ 아나키즘 │ 아날로지 │ 애니미즘 │ 에토스 │ 스토아학파 │ 에피쿠로스학파 │ 영원회귀 │ 사회계약설 │ 일반의지 │ 페르소나 │ 소외 │ 궤변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승화
PART 3 뜻이 알쏭달쏭한 외래 용어
아타락시아 │ 어포던스 │ 아프리오리/아포스테리오리 │ 아포리아 │ 알레고리 │ 앙가주망│ 안티노미 │ 이돌라 │ 에피스테메 │ 시니피앙/시니피에 │ 시뮬라크르 │ 타불라 라사 │ 독사 │ 도그마 │ 노마드 │ 필리아 │ 프래그머티즘 │ 브리콜라주 │ 모럴리스트 │ 리버테리어니즘 │ 커뮤니테리어니즘 │ 코스모폴리타니즘 │ 로고스 │ 파토스 │ 메타
PART 4 시험에서 봤던 그 한자 용어
상부구조/하부구조 │ 유물사관 │ 구조주의 │ 실존주의 │ 공리주의 │ 계몽주의 │ 형이상학 │ 실증주의 │ 반증 가능성 │ 관념론 │합리론 │ 생득관념 │ 경험론 │ 초월론적 │ 인식론 │ 범신론 │ 집단 무의식 │ 즉자/대자/즉자적 대자 │ 주지주의/주의주의 │ 순수지속 │ 상호주관성 │ 심정 │ 표상 │ 가상 │ 심급
PART 5 철학적으로 해석하면 의미가 달라지는 용어
비판 │ 에로스 │ 반성 │ 폴리스 │ 예정조화 │ 카테고리 │ 정의 │ 명제 │ 직관 │ 실재 │ 정념 │ 초인 │ 연장 │ 기계 │ 강도 │ 사변 │ 자연상태 │ 한계상황 │ 자유의지 │ 회의주의 │ 유기적 │ 자율/타율 │ 보편/특수 │ 시스템 │ 의사소통적 행위
PART 6 아는 사람만 아는 고급 철학 용어
현상학 │ 에포케 │ 기호론 │ 분석철학│ 언어게임 │ 존재론 │ 현존재 │ 세계내존재 │ 기투 │ 탈구축 │ 차연 │ 에크리튀르 │ 정언명법 │ 격률 │ 오성 │ 절대지 │ 트리/리좀 │ 멀티튜드 │ 미메시스 │ 아르케 │ 프시케 │ 에이도스/휠레 │ 뒤나미스/에네르게이아 │ 모나드 │ 테오리아
맺음말
주요 참고문헌
표제어 색인
인명 색인
책속에서
일상생활에서는 울음을 터뜨려서 감정을 밖으로 표출하는 것을 카타르시스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원래 카타르시스라는 말은 정화나 배설을 뜻하는 그리스어입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죄를 범한 사람이 종교적 의식으로 죄를 씻고 사회에 복귀했습니다. 일본의 미소기 의례몸을 물로 씻어 죄를 벗기는 신도의 의례-역주와 가톨릭의 세례가 이와 비슷한 성격의 풍습이며 정화의 일종으로 여겨집니다. 의학에서도 배설(설사 등) 혹은 구토를 통해 불필요한 체액을 몸 밖으로 배출해 병을 치료하는 요법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정신의 정화라는 발상이 나왔습니다.
철학자 중에는 쇼펜하우어가 페시미즘에 대해 고찰했습니다. 그는 삶 자체가 고통이며, 그 고통에서 벗어나려면 철학으로 의지를 부정하는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인간이 살아가는 한 고통을 피할 수는 없으므로 오히려 고통을 느끼는 자신의 의지를 억누르라고 역설한 것입니다. 아마 그 반대는 고통을 극복하는 일이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페시미스트라서 그런지 쇼펜하우어는 그런 발상까지 할 형편이 아니었나 봅니다.
중용이라는 말은 ‘적당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유교의 시조인 공자孔子는 넘치거나 모자라지 않은 적당한 태도를 유지하라고 말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고대 그리스에서도 똑같은 의미의 메소테스mesotes라는 용어가 통용되었다는 사실입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메소테스’를 ‘중용’이라고 번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