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래의 고급 일자리, 주택 가격을 결정한다

미래의 고급 일자리, 주택 가격을 결정한다

(직주근접, 미래 부동산 투자의 핵심 키워드)

심형석 (지은이)
두드림미디어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래의 고급 일자리, 주택 가격을 결정한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래의 고급 일자리, 주택 가격을 결정한다 (직주근접, 미래 부동산 투자의 핵심 키워드)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91193210451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4-01-25

책 소개

직주근접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발간된 최초의 부동산 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왜 미래에는 직주근접이 중요하게 될 것인지로 시작해 서울의 3도심을 제외하고 직주근접으로 주목받고 있는 지역들도 살펴본다.

목차

프롤로그 5

1장. 왜 직주근접일까요?

직주근접, 미래 주택 시장의 바로미터입니다 13
2030세대는 직주근접 단지를 선호합니다 18
직주근접은 상가도 춤추게 합니다 20
저출산이 도심 집중을 강화합니다 25
MZ세대는 어디에 살까요? 30
기업에는 물어봤나요? 반도체 특화단지 유감 35
하이퍼로컬이 뜹니다! 39
팬데믹 재택근무, 직주근접이 바뀔까요? 43
줌타운(Zoom Town)이 뜰까요? 47
직주근접이 왜 중요할까요? 가구 증가율이 위험하기 때문입니다 52
부동산 양극화 한국만의 문제일까요? 56

2장. 어디를 사야 할까요?
주거선호지역은 왜 바뀌지 않을까요? 63
판교, 이제 강남과 경쟁합니다 68
천지개벽, 마곡지구 73
용산은 강남을 넘어설 수 있을까요? 76
삼표레미콘공장이 떠나면 성수동이 좋아질까요? 80
광교로 기업들이 몰려듭니다 83
왜 송도 아파트가 많이 오를까요? 86
세종시, 공공의 직주근접에서 민간의 직주근접으로 91
서울 아파트는 가장 좋은 안전자산입니다 94
서울, 거주인구는 줄었지만 생활인구는 늘고 있습니다 98
서울 아파트의 요새(Gated)화 102
일본에서도 계속 오르는 부동산 107
강원도에서 배우는 부동산 투자의 실패학 111

3장. 잘못된 정책
공급 부족이 아니라 필요한 주택이 부족한 것입니다 119
GTX가 뚫리면 경기도 외곽이 좋아질까요? 123
신도시 개발은 빈집만 늘립니다 129
인구 감소보다 청년층 인구 유출이 더 큰 문제입니다 133
실버타운을 짓지 않으면 137

4장. 부동산 투자, 어떻게 할까요?
갈아타기 지금이 최적입니다 145
부동산의 ‘소음’과 ‘신호’를 제대로 파악하는 법 149
부동산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입니다 153
당신의 아파트는 누구와 경쟁합니까? 158
아파트 가격의 움직임은 갭 메우기 160
부동산 양극화는 개인의 발전을 부릅니다 164
수요가 늘어나는 부동산에 투자하십시오 169
역세권의 중요성이 커집니다 173
상급지 이동으로 부동산 자산의 구매력 가치를 유지해야 합니다 179

5장. 다시 기본으로
지금은 시황보다는 매물에 집중할 때입니다 187
DSR 유감 190
아파트 커뮤니티 과잉시대 193
차 없는 거리는 행복할까요? 197
‘부모 은행’, 주택 수요를 자극할까요? 201
임대 주택을 넣는다고 소셜 믹스가 될까요? 205
집은 소득을 모아서 사는 것이아닙니다 209
월세시대, 사모펀드 진출에 대비해야 합니다 213
주거 구독서비스, 활성화될까요? 217
아파트 매물이 늘어난다고 가격이 떨어질까요? 221

에필로그 225

저자소개

심형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미국 IAU(International American University)의 교수(Chair of Korean Track Program)로 국내 최대의 부동산 중개플랫폼인 에스테이트클라우드(우대빵부동산중개법인의 지주회사)의 부동산 연구소와 가맹사업 본부장을 맡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동산114 등에서 일했으며, 영산대학교 부동산금융학과 부교수, 성결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직방, 부동산114, 소비자연맹 등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장과 학교에서 두루 얻은 지식과 경험을 사회에 환원하는 중이다. 이를 통해 많은 이들이 부동산 시장을 제대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키우고, 자신만의 자산 관리 방법을 만들기를 기대한다. 부동산만이 아니라 자산 시장 전반에서 폭넓은 시각을 가지려고 노력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성공 부동산중개사무소 창업》, 《초규제 시대, 부동산 투자의 정석》, 《누가 뭐래도 서울 아파트를 사라》, 《진보정권 시대 대한민국 부동산의 미래》, 《부자 되는 주택임대사업》, 《스타들의 부동산 재테크》, 《재개발 재건축 지금 사도 될까요?》, 《아파트 제대로 고르는 법》, 《월세 받는 부동산 제대로 고르는 법》 등이 있다. 밴드 : https://band.us/@wolse
펼치기

책속에서

30대는 실수요 성향이 큽니다. 실수요의 경우 비교적 작은 평형을 매입합니다. 서울에서 발생한 전체 거래 중에서 40제곱미터 이상~85제곱미터 이하의 비중은 무려 75.6%에 이릅니다. 물론 제도적 수혜도 있습니다. 특례보금자리론이 대표적입니다. 30대 실수요자들이 주택 시장을 주도하면서 일자리의 중요성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가 조사한 ‘2020 대도시권 광역교통 통행량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의 평균 출근 시간은 52분, 퇴근 시간은 59분이 걸렸다고 합니다. 이렇게 통근 시간이 길어지면 정서적, 신체적 행복감이 떨어지게 됩니다. 대한의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출퇴근에 1시간 이상이 소요되면 의학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정신건강 악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근 시간이 길어지면 수면 시간과 여가 시간이 줄어들고, 출퇴근에서 겪는 소음 및 타인과의 접촉 등이 행복감을 줄어들게 만듭니다.
일자리가 많은 지역은 주택 거래도 활발합니다. 2023년 상반기 주택 시장이 지역별로 차별화가 크게 나타나고 있지만, 일자리가 풍부한 지역을 중심으로 반등의 움직임이 큽니다. 양질의 고급 일자리가 주택 수요를 창출하고, 결과적으로 거래량과 매매 가격에도 좋은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됩니다.


날씨: 비가 후드득후드
MZ세대들의 주거이동에 관한 실태조사를 보면 ‘직주근접을 위해 혹은 직장 변동(취직, 전근)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고, 두 번째로 많은 응답 또한 ‘교통이 편리하고 입지가 좋은 지역으로 가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따라서 절반 이상의 MZ세대들이 집을 옮기려는 가장 큰 요인은 직장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투자 목적과 교육환경 때문에 주택을 구입했던 베이비붐세대에 비해 MZ세대는 실수요자가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직장과의 접근성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는 과거 베이붐세대와는 다르게 직장에서는 초과근무를 시키기가 쉽지 않고, 맞벌이 부부가 많은 점 등을 고려하면 직주근접이라는 부동산 시장의 대명제는 더욱 크게 다가옵니다.
부동산 시장에서 ‘직주근접’보다 더 강력한 투자 격언은 없습니다. 주택 시장에서 직장의 영향력은 상당합니다. 내 집 마련 조건에서 직주근접이 중요시되면서 주택구매 여력이 높은 전문직, 연구직, 대기업 직장인 등이 많은 업무밀집지역의 주거 가치는 계속 올라갈 수밖에 없습니다. 직장에서 퇴근 후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려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가 직장과 주거지가 가까운 직주근접을 더욱 가속화시킬 것입니다.


‘갈아타기’란 주식 시장에서도 회자되는 전략 중 하나입니다. 보유하고 있는 종목보다 상승 잠재력이 높은 종목을 발견해 보유 주식을 매도하고 상승 잠재력이 높은 종목으로 전환해나가는 것을 말합니다. 주식 시장에서 갈아타기를 할 때 유의할 점은 주가의 등락이 엇갈리는 상황에서 매도한 종목의 주가가 상승하고 매수한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경우에는 이득이 아닌 손실을 자초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주식 시장이 보합이나 약세권에 있을 때 갈아타기가 유리합니다.
아파트 시장에서도 이런 논리는 정확히 적용됩니다. 현재 부동산 시장의 최대 화두는 똘똘한 한 채입니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문재인정부의 잘못된 부동산 정책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법을 바꾸는 것은 어렵기에 한계가 많습니다. 따라서 당분간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는 늘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