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반정의 얼굴](/img_thumb2/9791193946411.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93946411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5-06-1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1_운수 좋은 날
폭풍은 다시 몰려오고
누군가에게는 지난 꿈이지만
하루라도 늦출 수 있다면
새재로 가는 길
바람은 더 가까이 오고 있다
그래도 살아야 할 날들이라면
낡은 하늘은 무너지고
2_삼대장
거사의 순간
누가 어떻게 나설 것인가
뒤집어 바로잡아야 할
시간은 누구의 편인가
1506년 9월 1일
3_집으로 가는 길
말 머리가 향하는 곳
조강지처를 어찌 내치는가
아무도 찾지 않는 밤
어린 아이를 어찌 두고
살아내고 살아내야 할
칼춤은 멈추지 않고
4_폭정의 두 얼굴
그가 꿈꾸는 나라
아버지와 아들
뱃놀이는 바람에 멈추고
어찌하여 제 어미를 죽였습니까
왜 여태 참고 사는가
이처럼 무거운 국새
교동으로 떠나는 배
5_의적과 선비
광대패 두령
임금이 임금의 도를 잃으면
길이 끝나는 곳에서 길은
답할 수 없는 답
나라가 나라답지 못하면
다시 돛을 올리고
저자소개
책속에서
연산군은 광기에 사로잡혀 대소 신료와 만백성을 겁박했다. 그가 입버릇처럼 외던 말이‘ 능상지풍(凌上之風)’, 위를 능멸하는 풍습이었다. 그것을 ‘혁거(革去)’, 고쳐 없애는 것이야말로 지상과제라고 믿었다. 감히 신하가 임금을 업신여기는 못된 풍습을 엄히 다스려 뿌리뽑겠다는 것이다. 이는 선전포고였다. 임금에게 무조건 복종하라는 것이었다. 토를 달면 죽여버리겠다는 것이었다.
본보기로 신하들이 간언한 기록을 샅샅이 뒤져 지난날 왕에게 바른말이나 쓴소리한 자들을 추렸다. 날이면 날마다 처참한 국문이 이어졌다. 주리를 틀고, 인두로 지지고, 압슬을 가하며 능상의 경위를 추궁했다.
변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왕은 불만 세력을 선제적으로 색출했다. 1504년에 어머니 폐비 윤씨 사사를 빌미로 처형한 대신들이 떠올랐다. 죄인과 직계가족은 다 죽였지만 친인척들이 꺼림칙했다. 혈족과 처족을 마구 잡아들여 죽을 때까지 고문했다. 바른말을 하다가 멀리 귀양 간 관리들은 감찰관을 파견해 닦달하고 의심스러우면 처형했다.
인심은 묘한 것이다. 폭군이 잔인무도하게 나올수록 모반의 기운은 더욱 무르익었다. 절대권력을 휘두르는 무시무시한 왕인 줄 알았는데 가만 보니 정변이 일어날까 두려워 광기에 휩싸인 나약한 군주였다.
집에 돌아온 박원종은 마당에서 활을 쏘며 허전한 마음을 달랬다. 이때 청지기가 달려와 급보를 전했다. 전라병영 종사관으로 있는 박원종의 옛 부하가 보낸 것이다. 놀랍게도 호남으로 귀양 갔던 이과, 유빈, 김준손 등이 현지의 수령 및 장수들과 함께 거병한다는 소식이었다. 그들은 서울로 진격하기에 앞서 격문을 지어 팔도에 돌렸다.
“주상의 죄가 하나라 걸왕과 은나라 주왕보다 심하니, 백성들의 죽을 고생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왕조가 바뀌는 화가 생길까 두렵다. 이에 진성대군을 추대하여 의병을 일으키려 하니,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은 9월 보름까지 서울에 모여 위태로운 종묘사직을 구하라.”
사태는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박원종은 결단해야 할 때가 왔음을 직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