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4299172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5-01-1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제I부 역사와 유산
1장. 형평운동의 역사적 과정과 의의
1. 머리글
2. 신분제의 폐습 타파
3. 3.1운동의 성과
4. 인권 회복과 증진
5. 백정 전통 산업에 대한 관의 통제와 자본 침투
6. 공동체 복원
7. 사회적 연대 강화
8. 시류에 좌절
9. 맺음말
2장. 형평운동 연구의 성과와 동향
1. 머리글
2. 형평운동 연구의 성과
3. 외국에서의 형평운동 연구 성과
4. 형평운동 연구 방법과 경향
5. 맺음말: 형평운동 연구 활성화를 위한 제안
3장. 형평운동의 역사사회학적 탐구 되짚어보기
1. 머리글
2. 형평운동 연구 방법의 유산
3. 형평운동의 역사사회학적 분석
4. 맺음말
4장. 백정의 소멸(시론 에세이)
1. 오늘날의 백정 잔재
2. 백정 차별 관습
3. 형평운동의 흔적
5장. 형평운동 기념사업의 발전
1. 머리글
2. 형평운동70주년기념사업회 창립
3. 형평운동 70주년 기념행사
4. 형평운동 기념탑 건립을 향하여
5. 형평운동 기념탑 준공: “인간 존엄과 평등 사회를 여는 날”
6. 형평운동 80주년 기념행사
7. 맺음말: 형평운동 100주년을 기리며
제II부 인권과 연대
6장. 형평운동과 인권, 그리고 사회적 연대
1. 머리글
2. 인권 인식의 변화
3. 사회적 연대의 변화
4. 형평사의 쇠퇴와 활동 성격 변질
5. 맺음말
7장. 형평사 창립과 진주 지역 형평운동
1. 머리글
2. 형평사의 창립 과정
3. 형평사 창립 배경의 재검토
4. 형평사 창립 배경의 종합적 이해
5. 창립 이후 진주 지역의 형평사 활동
6. 파벌 대립과 진주 형평사
7. 1926년 이후의 진주 형평사
8. 맺음말
8장. 사회운동가 강상호와 형평운동
1. 머리글
2. 출생과 교육, 그리고 사회운동 입문
3. 진주 지역 3.1운동과 사회운동
4. 형평사 창립 주도
5. 형평사 지도부의 파벌 대립
6. 진주 지역의 사회운동 참여
7. 계속되는 형평사 파벌 대립
8. 진주 지역 현안 문제 참여
9. 대동사 참여와 일제 부역 활동
10. 맺음말
9장. 백정 해방운동가 장지필
1. 머리글
2. 출생과 성장
3. 형평사 창립과 반형평운동 대응
4. 형평사 혁신 활동 주도
5. 형평사 총본부의 서울 이전
6. 고려혁명당 사건과 형평사 지도부의 변화
7. 해소론과 형평청년전위동맹 사건
8. 대동사 개칭과 일제 부역
9. 해방 이후
10. 맺음말
마무리하며: 형평운동 탐구 과정 되돌아보기
1. 형평운동과의 만남
2. 차별 없는 사회, 인권의 지역화로
3. 형평운동 연구 확장: 일본 사회와의 비교 연구
4. 진주학을 강조하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