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63247427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0-12-3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머리글: 역사도시 진주와 3·1운동 - 김중섭
1. 역사도시 진주의 의미
2. 진주 3·1운동의 배경과 성격
3. 진주 3·1운동의 영향
4. 이 책의 구성
권두논문: 3·1운동의 역사적 의미 - 이준식
1. 3·1운동의 올바른 이름 찾기
2. 동아시아 혁명의 시대와 3·1운동
3. 3·1운동과 새로운 근대 주체의 등장
4. 3·1운동과 민주주의
5. 3·1운동과 국제주의, 그리고 세계 평화
6. 맺음말
I 진주지역 3·1운동의 배경 - 김준형
1. 머리말
2. 진주의 입지 변화와 저항거점 형성
1) 진주의 역사지리적·행정적 입지의 변화
2) 저항운동 거점으로서의 진주
3. 19세기 후반 이후의 농민항쟁, 동학군 봉기와 의병투쟁
1) 1862년 진주농민항쟁과 1894년 동학군 봉기
2) 진주 부근에서의 의병투쟁
4. 진주지역 계몽운동의 분석
1) 다양한 계몽운동의 추이
2) 계몽운동의 주도 세력
5. 각 종교 세력의 추이
1) 보수 유림의 대응
2) 천도교의 입지
3) 불교 세력의 입지
4) 기독교 세력의 대응
6. 맺음말
II 진주지역 3·1운동의 전개 과정 - 조헌국
1. 들어가는 말
2. 본문
1) 진주만세시위의 주동자와 그 역할
2) 진주만세시위 장소와 참가자
3) 진주만세시위 날짜별 진행 과정
4) 진주만세시위 시작을 알렸던 신호
3. 마무리
III 진주 3·1운동과 지역사회운동: 청년, 농민, 노동운동을 중심으로 - 김희주
1. 머리말
2. 진주지역 사회운동의 사상적 기반
1) 개조론의 유입과 실력양성론
2) 사회주의 이념의 수용과 전파
3. 청년운동의 발흥과 추이
4. 농민운동의 양상과 진주농민조합
1) 소작운동의 전개
2) 진주농민조합의 결성과 활동
5. 노동운동의 발전
1) 노동조합의 조직과 파업투쟁
2) 1920년대 후반의 동향과 진주지방협의회
6. 맺음말
IV 진주지역 3·1운동과 사회적 약자: 어린이, 여성을 중심으로 - 김형목
1. 머리말
2. 진주지역 3·1운동의 전개 양상
3. 유치원교육과 소년운동 확산
4. 여성운동의 진전
5. 맺음말
V 진주지역 3·1운동과 형평운동의 전국적 전개 - 조미은
1. 시작하면서
2. 진주의 3·1운동과 사회운동의 확산
1) 진주지역 3·1운동과 사회운동의 확산
2) 형평사 창립과 형평운동의 출발
3. 형평사와 형평운동의 전국적 확산
1) 형평사 조직의 빠른 증가
2) 형평운동 정신의 상징성 확산: 백정들의 인권해방운동에서 한국의 독립·해방운동으로
4. 마무리하면서
마무리 논문: 진주지역 3·1운동과 근대 사회 발전 - 김중섭
1. 시작하며
2. 3·1운동 이후 진주지역 사회운동의 양상
3. 1920년대 진주지역 사회운동의 특징
4. 3·1운동 이후 진주지역 사회운동의 지향성
1) 신분제 청산
2) 유교 폐습의 타파
3) 소작 관행의 불공정 시정
4) 문맹 퇴치
5. 진주지역 사회운동 발전의 토양
6.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