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91195291373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14-11-2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6p
제1장. 반기문 대망론
유엔 사무총장 반기문의 변신 가능성 13p
대통령 후보로서의 관문 22p
제19대 대통령 경선 후보 반기문 29p
대통령 후보의 정치 과제 36p
제2장. 한반도에 불어오는 통일의 분위기
외부에 감지되는 북한 내부의 위기 47p
언제 통일이 되는가? 55p
통일한국의 경제적 효과 63p
미국과 중국이 한반도 통일에 미치는 영향 71p
제3장. 한반도 통일과 반기문의 역할
분단과 패전상태에서의 국가 재건의 사례 83p
통일 한반도의 정치 지형 91p
통일한국의 프로세스 99p
통일한국의 미래 전망 107p
제4장. 대통령 후보로서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외교관 반기문의 일생 119p
대한민국 대통령의 전례 127p
정당 없는 대통령 후보의 당선 가능성p
센세이셔널리즘과 국민의 선택 135p
제5장. 통일 대통령의 역할론
통일 시대 선도하는 철학의 필요성 155p
통일 대통령에게 요구되는 덕목 163p
통일 대통령의 시대적 사명 171p
통일 한국의 국제적 통제 능력 179p
제6장. 통일 한국의 위상
통일의 출발 191p
통일의 전개 199p
통일 후의 한국 207p
통일 후의 궁극적 목표 215p
나가는 글 224p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14년 11월 3일, 국내 언론들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하 반기문)의 대선후보 출마 가능성을 일제히 보도했다. 보도의 근원지는 새정치민주연합 권노갑 상임고문이었고, 발언 장소는 자신의 회고록『순명』의 출판기념회에서였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재인 의원의 자서전이『운명』이었던 것과 비교해서, 권노갑 상임고문의 회고록 제목이『순명』인 것은 상징하는 바가 크다. 어쨌든 권노갑 상임고문은 “반 총장의 측근이라고 할 수 있는 분들이 와서 새정치연합 쪽 대통령 후보로 나왔으면 쓰겠다는 의사를 나한테 타진하기에 ‘반 총장을 존경한다, 그만한 훌륭한 분이 없다’는 얘기를 했다”고 주장했다.
권노갑 고문의 발언 이후, 정국은 갑자기 반기문 사무총장의 대선 출마 문제로 끓어올랐다. 여권에서조차 반기문 사무총장에 대한 영입 가능성을 거론하면서, 정국은 2017년 12월의 대통령 선거 분위기로 전환되었다.
반기문이 대통령 후보로 나서는 상황을 가정하면, 가장 큰 논제는 남북통일이 될 것이다. 남북통일은 박근혜 대통령도 ‘통일대박’이라고 표현했듯이 한반도 발전의 계기가 될 역사적 전기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남북통일에 관한 논의가 대통령 선거 전후로 가장 큰 사회적 이슈가 될 것이다.
대망론을 전제로 하고 반기문의 경력을 따져보자면, 이러한 경력을 통해서 반기문이 국가수반으로서 갖출 어떤 능력을 키웠는가 하는 점이다. 업무적인 측면에서만 보면, 반기문은 대사나 공사 급의 외교관이 된 이후에는 공관업무보다 외교행정업무를 주로 담당했다. 외교행정업무의 대부분은 미국과 연관된 것이다. 1980년대 초반의 하버드대학교 케네디 행정대학원에서 수학한 것까지 포함하면, 반기문은 외교관 업무의 절반 이상을 미국과 관련된 일을 하거나, 미국에서 생
활하면서 보냈다. 여기에 지난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 뉴욕의 유엔본부에서 유엔 사무총장으로 재직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반기문은 정말로 미국통(通)이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이후, 20년 경력의 외무공무원 반기문이 미국과 관련된 업무에 주력한 것은 누구보다 여실하게 미국의 세계 경영을 직,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한국 외교부의 중요한 위치에서, 반기
문은 동구권의 붕괴와 중국의 실용주의 선택, 소련의 해체를 보았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이 수교할 때에는 외무부장관 특별보좌관으로, 교섭체결과정을 점검했다.
외교관으로서, 반기문은 한국의 어떤 외교관도 갖기 힘든 경력과 기회를 가진 것은 분명하다. 그리고 이러한 경력과 기회가 유엔 사무총장 발탁의 배경이 된 것은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