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95727414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6-07-20
책 소개
목차
서장 "야생의 마음"과 "문명의 마음"
/ "감정"과 "이성"은 완전히 다른 것이 아니다
/ ”감정”이 "사고"를 조종한다
/ "감정"은 정글과 초원에서 왔다
제1장 공포와 불안
/ "고소 공포"도 "폐소 공포"도 유전된다
/ "공포"가 위험을 피하게 만든다
/ 두려움은 긍정적인 일을 한다
/ 과잉 ”불안”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제2장 분노와 죄책감
/ 사람도 원숭이도 "분노"로 상하 관계를 확립한다
/ 분노는 권리를 지키고 집단 생활을 발전시켰다
/ 분노가 집단 내의 협력과 평화를 만들었다
/ 집단 간의 경쟁이 개인의 능력을 다양화했다
/ "자신에 대한 분노"는 왜 일어날까?
제3장 애정과 우정
/ 종족 번식에는 "애정"과 "냉혹함"이 함께한다
/ 육아 때문에 배우자에게 애정을 표현한다
/ "우정"이 집단 내의 협력을 양성한다
/ 박애의 정신은 진화와 어긋난다
/ 협력을 못하는 것은 유전 정보의 결함 때문이다
제4장 호감과 비호감
/ 편식도 살아남기 위해서 필요했다
/ 배우자를 고르는 취향은 후손을 남길 가능성이 결정했다
/ 집단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이 장점으로 발전했다
/ 읽기, 쓰기, 계산은 문명 고유의 능력
제5장 질투와 후회
/ 배우자에 대한 질투는 일부일처제에 도움이 됐다
/ 집단 내의 질투는 이익을 분배하기 위함이었다
/ 이익 배분은 현대에도 중요한 문제이다
/ "후회"는 잃어버린 배분을 되찾기 위한 감정이다
제6장 자기 과시욕과 승인
/ "욕구"와 "감정"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 자기 과시욕의 목적은 자신의 장점을 드러내고 집단에 공헌하는 것이다
/ 수렵 채집 시대에는 집단에서 인정받는 것이 생사의 문제였다
/ 자기 과시가 언어의 진화를 가져온 것은 아닐까?
/ 현대의 자기 과시는 불완전하다
제7장 즐거움과 웃음
/ 긍정적 감정이 없는 개체는 도태되었다
/ "공감"은 집단의 협력 필요성에서 생겼다
/ 웃음은 즐거움을 전파하는 효과가 높다
/ 공감 능력은 여성이 높다
제8장 슬픔과 희망
/ 고통과 슬픔은 생존에 필요했다
/ "동정"이냐 "돈"이냐는 문제의 이면에는 야생과 문명의 대립이 있다
/ 통증은 감정에 가깝다
/ 희망은 인간에게만 있는 특이한 감정이다
제9장 믿음과 의심
/ 믿음은 집단의 협력을 강화하는 기능이 있다
/ 자신을 믿지 못하는 사람은 쉽게 신비주의에 빠진다
/ 원시 소규모 무리들은 서로 신뢰하는 집단이었다
/ 무엇을 믿어야 할지 모르는 현대 사회
/ 비판적 사고는 현대에 등장한 “문명의 마음”이다
제10장 놀라움과 호기심
/ "놀라움"이 타고난 감정임을 보여주는 실험
/ 놀라움은 웃음으로 전환되기 쉽다
/ 호기심을 양성하는 놀이는 진화 때문에 중요했다
/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호기심은 집단의 생존에 꼭 필요했다
제11장 명예와 도덕관
/ 리더에게는 존경과 감사 등 감정적 보수가 지불되도록 진화했다
/ 집단 속에서의 평판이 살아남는 데 중요하다
/ 과거에는 집단 밖의 사람은 적이었다
/ 특정 감정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진화했다
제12장 행복과 무력감
/ 행복을 느끼는 정도는 유전되다
/ 행복감은 비교함으로써 느껴진다
/ 행복을 느끼는 주체는 의식이다
/ 문명화와 함께 진정한 행복은 줄어들었다
/ 다양한 집단에 속해 다양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미래의 모습이다